상세 컨텐츠

본문 제목

[하루 10 단어] 한 방에 외우기 2, '빠꾸' 발음을 '뱈'으로, 고제윤 글자

[기본 영단어] 고제윤 글자로 하루 10개

by 새한글(고제윤) 2025. 2. 14. 15:15

본문

반응형

1. 하루 10단어 한 방에 외우기 2 : 8 단어 한 번에 이해하기

 암기 원리는 아래의 글을 참고 하세요.  2회 부터는 암기 원리 설명없이 바로 이어집니다.

영단어 암기 한 방에 8개, 고제윤 글자로

 우선 위의 단어들을 암기하기 위해서 많은 사람들이 알고 있는 단어 back 발음 '뱈'을 기준으로 살펴보겠습니다. 참고로 'back'의 일본식 영어 발음은 "빠끄, 빠꾸'입니다. b를 쌍비읍으로, a는 'ㅏ'로 그리고 ㅋ발음을 'ㄲ' 발음으로 하고, 일본어는 쌍기역 만을 독립하여 발음할 수 없기 때문에 모음을 넣으면 '빠끄, 빠꾸'처럼 발음됩니다.

 

 Back에서 먼저 ack만 떼어내어 생각해보면 '앸'이 됩니다. 이제 이 자리에 비읍을 넣으면 '뱈'(뒤, 등)의 발음이 됩니다. Back에서 'b'자리에 다른 글자를 넣어 봅니다. s를 넣으면 시옷 소리 '샠'의 발음이 되고 '가방'이라는 의미가 됩니다. Pack에서 p는 우리말 '피읖'에 해당하므로 '퍀'이라는 발음이 됩니다. Hack는 마구 잡이로 칼질 하는 것을 의미하는 '난도질하다'와 같은 의미를 가진 단어이며 h는 히읗으로 나타냅니다. 따라서 hack는 '햌'이라는 발음으로 이어집니다.

2. 자음 겹칠 때 : sn, bl, tr

 다음으로 훈민정음을 활용한 "고제윤 글자"의 표기 원리이기도 한 자음이 두 개 겹칠 때의 발음입니다. 'ack'의 '앸'발음을 가진 과자, 간실을 의미하는 snack입니다. Sn의 두 개의 자음이 겹쳐 있습니다. 우리글로 표현하면 'ㅅㄴ'이라는 글자를 갖게 됩니다. 두 개의 자음을 한 자리에 표기하면 훈민정음의 글자 처럼 가운데 빨간색 글자로 나타낼 수 있습니다. 현재의 우리말과 글에서는 '쌍기역, 쌍비읍, 쌍시옷, 쌍디귿, 쌍지읒' 등이 남아있는 표기 원리입니다. 현재는 같은 글자를 두 번 표기하는 방법이지만 이 자리에 서로 다른 시옷과 니은을 함께 표기한 방법을 사용했습니다. Sn에서 'ㅅㄴ'이지 결고 '스느'가 아니기 때문입니다. 또한 'ㅅㄴ'이 겹칠 때 일본어 방식으로 모음 '으'를 넣는 원리를 제거하고, 원래의 소리 길이와 맞추기 위한 것입니다.

 * 현재의 한글로는 이러한 글자들이 입력 할 수 없어서 손으로 쓰거나, 글자를 오려 붙여서 올리고 있습니다.

 

 같은 위치에 쓰인 두 개의 글자를 '으' 넣지 않고 발음 한다는 마음으로 소리를 내면 됩니다. black, track, snack의 세 단어는 자음이 겹쳐있으며 'black'은 'ㅂㄹㄹ ㅐ ㅋ' 처럼 'ㅂㄹㄹ'의 자음 세 개가 겹칩니다. 자음이 셋 이상 겹치는 경우에만 '으'를 넣어서 '블랰'과 같이 발음하면 됩니다. Track는 'ㅌ뢬'처럼 발음하면 됩니다(track관련 내용은 본 블로그의 short track에서도 보실 수 있습니다.)

 위의 가운데 'snack'이라는 발음을 가지고 발음 연습 하시고, ack에 연결되는 발음들을 머릿속에 그려 보면서 그 뜻을 이해하시면  이들 발음과 단어 뜻을 이해할 수 있을 것입니다.

 자음 겹치는 글자는 100여 년 전에도 존재했던 글자 표기입니다. 위에서 오늘날 '꽃'이라는 두 개의 기역을 겹쳐서 나타내기 전에는 시옷과 기역을 합친 글자를 첫 글자 자리에 나타냈었습니다. 이는 훈민정음이 소리의 호흡을 기본으로 하는 것을 의미하며, 하나의 호흡을 모음 하나의 글자를 중심으로 표현했습니다. 알파벳은 모든 소리를 가로 쓰기의 단 하나 원리로 나타내지만 훈민정음은 받침 글자를 가지고 있어서 하나의 소리 호흡 단위를 표현할 수 있습니다.

 

 10시간 1000단어 집중 암기는 다음 동영상에서 보실 수 있습니다.

https://www.youtube.com/watch?v=LU5ysy9YiiI

 

 

반응형

관련글 더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