상세 컨텐츠

본문 제목

[기본 영단어] 하루 10개 4회, 드래그 영어 발음 이해하기, 고제윤 글자

[기본 영단어] 고제윤 글자로 하루 10개

by 새한글(고제윤) 2025. 2. 15. 13:30

본문

반응형

 1. 가방 bag발음으로 10개 단어 외우기

 Bag은 '백' 발음을 가진 단어로 '가방'을 의미합니다. 이 발음은 가끔 '빽'으로 표현하는 경우도 있습니다. 영어의 b 발음은 우리말 비읍과 비슷한 소리이기는 하지만, 목젖이 울리는 소리(유성음)이라는 특성을 갖습니다.

 Bag 발음에서  'ag'라는 글자와 소리를 가진 단어들을 연결하여 이해하도록 해보겠습니다.

  

bag 가방으로 10단어 암기하기, 고제윤 글자로

 

 Bag 단어에서 b 자리를 g, h, l, fl등으로 바꾸어 발음하는 것입니다. G는 '기역'으로 h는 '히읗'으로 그리고 l 발음은 두 개의 리을 소리로 표현하는 것입니다. 뒤의 ag는 똑같이 들어가기 때문에 첫 글자만 연결하면 뒤의 발음은 자동으로 이어집니다.  Gag의 발음은 '객'처럼 비읍 자리를 기역으로 바꾸는 것입니다. 그 후에 단어의 뜻을 파악하고 반복한다면 단어를 암기할 수 있을 것입니다.

 *위의 표를 활용하여 단어 발음과 뜻을 연결해 보세요. 

drag 드래그, 고제윤 글자로

 같은 방법으로 tag는 티읕을 사용하여 '택'처럼 발음합니다. Nag의 경우에는 n을 니은으로 나타내어 '낵'발음으로 나타냅니다. Jag의 경우에는 j를 지읒으로 나타내어 단어의 발음을 이해합니다.

1) 받침 소리 원리

 영어의 소리는 알파벳을 사용하여 가로 쓰기를 합니다. Bag에서 보듯이 [ㅂ ㅐ ㄱ]처럼 우리글도 가로 쓰기를 할 수 있습니다. 각각의 소리를 대응하는 글자로 바꾼 것입니다.

 그런데 훈민정음은 소리의 호흡을 하나의 글자로 표기하는 과학적 원리를 갖고 있습니다. 사람이 숨을 들이 마시거나 내쉬는 과정을 글자로 표현했다고 볼 수 있습니다. Bag가 하나의 호흡이므로 하나의 글자로 표현하는 방법입니다. 이 원칙에 따라 받침 글자가 등장합니다. Bag이 [ㅂ ㅐ ㄱ]가 아니라 '백'이 되는 원리입니다. 받침 소리 ㄱ은 우리말이 아니므로 약하게 흘리듯이 소리를 내면 됩니다.

2) 두 개의 글자 겹침 : drag 발음

 'ag'발음과 글자를 가진 'drag'는 흔히 '드래그'라고 발음하는 것을 볼 수 있습니다. '끌다'에 해당하는 의미를 갖는 단어입니다. Drag는 'ag'의 공통 발음을 가진 단어입니다. 다른 단어들과 다르게 'dr'이라는 두 개의 자음을 갖고 있습니다. d는 우리말 디귿과 비슷한 소리이지만 목젖이 울리는 소리(유성음)이라는 특성을 갖습니다. 비교적 비슷한 발음인 디귿으로 d를 표현할 수 있을 것입니다. R발음은 우리말에서 '로, 루' 등의 발음을 갖습니다. 이 두 개의 자음이 하나의 위치인 첫 소리에서 만났습니다. 이런 경우 훈민정음 창제 당시에는 자음 두 개를 겹치는 글자 방식을 사용했지만, 오늘날의 한글에서는 찾아보기 어렵습니다. 다만 '쌍기역, 쌍디귿, 쌍비읍, 쌍시옷, 쌍지읒' 등에서 같은 글자를 두 번 사용하는 방식의 표기는 존재합니다. 디귿과 리을이라는 서로 다른 자음을 연결하여 표기하지는 않고 있습니다.

 1995년 이래로 훈민정음을 활용한 "고제윤 글자"는 이러한 제한을 극복하고 원래의 훈민정음 방식을 활용하여 표기하고 있습니다. 두 개, 혹은 세 개의 자음을 같은 위치에 표기하는 방법입니다.

 

 Sports처럼 하나의 모음 '오'를 두고 첫 소리 sp라는 자음 두 개, 받침 소리에 rts처럼 세 개의 자음이 겹치는 경우도 위의 표에서 제시하는 글자처럼 표기하는 방법을 사용하고 있습니다. 굳이 이렇게 표기하는 이유는 자음이 겹치면 그 사이에 모음 '으'를 넣는 방식을 바꾸기 위함입니다. 자음이 겹치는 경우 모음을 넣는 방법은 일본어의 기본 원리이며, 이 방식이 일제강점기를 거치면서 우리의 글자에도 적용되었습니다. 영어에 없는 '으' 소리를 자음이 겹치는 경우에 표기하면서 소리가 길어지고, 원래의 소리와는 다른 발음으로 변경되는 것을 볼 수 있습니다. 알파벳은 가로 쓰기, 훈민정음은 소리 호흡을 바탕으로한 받침 글자 원리가 적용됩니다.

 단순한 가로 쓰기라면 자음이 많이 겹치더라도 그대로 배열하면 끝이지만, 우리글은 소리 호흡을 기본으로 하고 있기에 겹치는 자음 배열은 훈민정음의 중요한 원칙이기도 합니다.

 flag는 '깃발'이라는 의미를 가진 단어입니다. Flag는 우리말에 없는 f소리가 있기 때문에 주의하여 발음하시기 바랍니다. 

F소리는 "윗니로 아랫입술을 물고 계속해서 마찰을 일으키는 소리"이므로, fl발음은 "윗니로 아랫입술을 물고 '플'이라는 발음을 한 후에 '랙'으로 연결하여 발음합니다.

 참고로 f소리는  "고제윤 글자"에서는 피읖 아래에 작은 동그라미를 그려 넣은 글자를 개발하여 표기하고 있습니다.

 

 Stag와 같은 단어는 [ㅅㄸ ㅐ ㄱ]의 소리를 연결하여 발음하는 방법을 권합니다. 시옷과 쌍디귿이 첫 소리에 해당하며 짧게 연결하여 발음하는 방법입니다. 또한 s뒤에 t 소리가 올 때에는 우리말 쌍디귿과 같은 소리가 나는 경우가 많으며, 이 소리를 우리의 언어 구조에서는 쉽게 받아들일 수 있을 것입니다.

 

 " 훈민정음을 활용한 "고제윤 글자"로 기본 단어 1000개 10시간 암기는 아래 동영상에서 보실 수 있습니다.

https://www.youtube.com/watch?v=LU5ysy9YiiI

 

반응형

관련글 더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