오늘의 영어 속담은 M으로 시작하는 단어입니다.
오늘의 영어 발음은 자음 두 개가 첫소리에 오는 경우입니다. 그중에서 great을 바탕으로 살펴보도록 하겠습니다. Great는 첫소리에 g와 r의 두 개의 자음이 연달아 나오는 것을 볼 수 있습니다. 자음 두 개가 첫소리에 나오는 경우는 훈민정음 창제 당시에는 두 개의 자음을 한 번에 표기하는 방법으로 나타냈습니다.
위의 "세종어제훈민정음"의 서문에서 볼 수 있듯이 초기 훈민정음에서는 두 개의 자음을 하나의 위치에 표기하는 것을 볼 수 있습니다. 자음이 두 개 겹치는 방식은 알파벳의 경우라면 왼쪽에서 오른쪽으로 차례대로 나열하면 됩니다. Great이나 cry에서 보듯이 'gr, cr'처럼 자음이 연달아 이어지더라도 왼쪽에서 오른쪽의 순서로 표시하면 됩니다.
반면에 훈민정음 방식의 표기는 단순히 소리글자를 왼쪽에서 오른쪽으로 나열하는 것이 아니라, 이들 소리를 하나의 소리 호흡에 맞춰 표기하는 방식입니다. 초성, 중성, 종성의 세 개의 소리가 하나의 소리 표기가 되는 것입니다.
당연히 자음끼리 겹치는 소리는 알파벳에는 무수히 많은 조합이 탄생합니다. 심지어 자음이 세 개, 네 개까지 겹치는 경우가 생길 수 있습니다. 훈민정음 표기 방식으로는 자음을 무한히 늘려서 표기하는 것이 글자를 읽는 데에 어려움이 있습니다. 너무 많은 자음을 표기한다면, 자음끼리 겹치는 상황에서 소리의 호흡이 흐려지게 됩니다.
훈민정음 표기에서 가장 두드러진 모음 중의 하나가 '으'입니다. 이 '으'발음은 알파벳에는 존재하지 않는 발음입니다. 알파벳에는 없지만, 훈민정음에는 있는 이유가 되는 것도 이러한 자음의 겹침 상황에서 하나의 호흡으로 끊어낼 수 있게 합니다. 예를 들어 우리말 '끙끙, 그르릉, 으르릉'처럼 모음 '으'가 들어있는 말들을 영어로 표현한다면 모두 모음 없는 글자가 되고 말 것입니다. 일정한 호흡으로 언어 표현이 가능케 된 것도, 자음이 여럿 겹치는 경우의 해결책도 모음 '으'가 담당하고 있음을 볼 수 있습니다.
따라서 이러한 훈민정음 표기원리를 바탕으로 자음이 여럿 겹칠 때, 최대한 세 개 까지 정도만 표시하고, 그 숫자를 넘어서는 경우에는 '으'를 넣어서 표기 해결이 가능합니다.
위의 글자 표기에서 볼 수 있듯이 두 개의 자음이 겹친 경우라면 두 개의 자음을 하나의 위치에 표기하는 것이 소리의 호흡이나, 길이에 적합하다고 할 수 있습니다. 또한 영어의 r발음은 우리말에서는 '루'나 '로'의 발음에 가깝기 때문에 위의 글자 표기 원리로 나타낸 것입니다.
기초 영단어 500개 고제윤 글자로 암기하기, 한 시간 100개 5회 통합 (0) | 2023.12.09 |
---|---|
영단어 한 시간 100개 암기하기, 고제윤 글자로 암기하는 영어단어 (4) | 2023.12.05 |
돕빠 영어로, 토퍼와 돕빠, 도빠, topper, 웨이퍼와 웨하스, 고제윤 글자(새한글) (0) | 2023.11.06 |
x, 엓, 엑스, 두 개의 자음, 고제윤 글자 표기(새한글)의 원리 (0) | 2023.11.05 |
긁어 부스럼 영어 속담, L 발음과 쌍리을, 고제윤 글자 표기(새한글) (0) | 2023.11.05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