상세 컨텐츠

본문 제목

여권 영어 이름 만들기, 영어 작명이 어려운 이유, 고제윤 글자로

고제윤 글자로 영어 발음 이해하기

by 새한글(고제윤) 2025. 1. 4. 14:26

본문

반응형

 여권에 작성할 영어 이름을 작성하기 위해서 많은 고민을 하게 됩니다. 태어날 때 가지고 있는 이름이 한자로 표현되어 있고, 그 한자를 우리말 발음으로 읽는 방식을 대부분 사용하고 있습니다.

 그런데 이제 알파벳으로 자신의 이름을 작성해야하는 제2의 작명을 두고 많은 고민을 하게 될 것입니다. 오늘은 이러한 알파벳으로 이름을 표기하기 어려운 원리를 'ㅡ'발음이 들어간 이름을 기준으로 살펴보고자 합니다.

 

 '으' 발음이 들어간 이름

 영어에는 우리말의 '으' 발음이 명시적으로 존재하지 않습니다. 거꾸로 우리는 영어 발음에 자음이 겹치면 'ㅡ'를 넣어서 발음합니다. 영어로 이름쓰기의 첫 번째 난관입니다. 

 제 경험을 통해 예를 들어 보겠습니다. 40여년 전 대학 입학과 동시에 외국인 교수들로 인해 알파벳 출석부를 따로 작성했습니다. 이때 제 앞 학생 이름이 '고근영'이었습니다. 자 이런 경우 알파벳을 영어로 어떻게 표현했을까요? 간단한 원리로 'ㄱ'은 'k혹은 g'이 비슷한 발음일 것이라고 생각합니다. 이런 과정을 거쳐서 'ㄱ ㅗ ㄱ ㅡ ㄴ ㄴ(ㅇ두음법칙) ㅕ ㅇ'에 맞춰 'Ko keun nyoung'이라고 적었을 것입니다. 한국인의 언어 구조에서는 너무도 당연한 방식입니다. 제가 대학시절 이야기를 한 이유도, 대학생 수준의 어학실력 역시 갖췄음을 말하기 위한 것입니다.

 이제 외국인 교수가 들어와 출석을 부릅니다. 지금은 전자식으로 출결이 확인되지만, 당시에는 불렀습니다. 자, 이제 외국인 발음을 옮겨봅니다.

"Number 1 코큰년"

 갑자기 엄숙한 수업 분위기가 '빵' 하고 웃음이 터집니다. 우리는 웃을 수 있는데, 외국인 교수는 당황스럽습니다. 심지어 왜 그러는지 몰라 화를 내는 경우도 있어습니다.

 

 알파벳이름쓰기와 훈민정음 글자 표기 원리

 우리는 세종대왕이 창제한 훈민정음의 글자 표기 원리를 가지고 있습니다. 알파벳과 훈민정음은 기본적으로 '음소 글자'라는 특성을 갖습니다. 음소 글자의 특성은 같지만 가장 다른 점은 훈민정음은 제가 항상 '소리 호흡 글자', 혹은 '숨 소리 글자'라고 말하는 방식에 있습니다.

 알파벳은 음소를 왼쪽에서 오른쪽으로 단순히 가로쓰기의 단 하나 원칙을 갖습니다. 이에 비해 훈민정음은 '숨 소리'에 맞춰서 받침글자의 원리를 갖습니다. 첫 소리가 두 번째 모음을 만나서 받침으로 끝나는 호흡의 구조를 지니고 있다는 점입니다.

alphabet과 고제윤 글자

 

 

 '근'이라는 이름을 분석해 보겠습니다. 'ㄱ ㅡ ㄴ'의 구조로 되어있습니다. 기역은 k, g 중에서 하나를 선택한다고 하더라도 'ㅡ'가 문제가 됩니다. 'ㅡ'는 알파벳 a, e, i, o, u중 어느 글자도 해당이 안됩니다. 표기할 방법이 없으니 생략해 버린다면 이제 모음이 사라지고 자음이 겹칩니다. '근'은 'Gn'처럼 표현한다면 모음이 없는 자음 겹침으로 이해합니다. 그래서 고민을 거듭한 후에 'ㅡ'를 'eu' 혹은 'ue' 'ee' 등의 모음 조합을 생각해 냅니다. 우리는 이렇게 생각하지만 외국인들의 언어 구조에서는 그대로 읽는다는 보장을 할 수가 없습니다. 그래서 '근'이라는 이름을 'guen, geun'으로 표현을 한 경우, 당황스런 외국인들의 발음을 경험할 것입니다.

 그리고 간혹 우리의 말이 알파벳에 맞지 않으니 우리글의 글자 표기에 문제가 있다는 황당한 결론에 도달하기도 합니다.

 '으'로만 구성된 '크르르릉, 드르릉'등을 알파벳으로 나타내기가 어려운 이유입니다. 세종대왕은 훈민정음을 창제하면서 영어에서는 독립된 모음으로 표기했고, 이 글자'ㅡ'를 모음 세 개의 기본 모음으로 만들어 글자를 표기했습니다. 자신의 이름에 'ㅡ'가 들어간 분들의 경우 이러한 소리의 원리를 생각하시어 표기하는 방법을 고민할 수 밖에 없습니다. 

 자신의 이름을 제대로 불러주기를 바라고 알파벳으로 표기하겠지만, 이런 당황스런 상황을 참고하시어 작명하는 방법 밖에 없다는 점을 말씀드립니다.

 

아래의 링크는  가로쓰기인 알파벳을 훈민정음 표기 원리로 숫자를 읽으며 발음을 교정하는 내용입니다.

https://youtu.be/PTCvw0McTnQ

 

알파벳과 훈민정음은 근본적으로 글자 표기 원리를 달리합니다. 훈민정음의 기본인 소리 호흡의 글자 표기 원리를 이해하는데 도움이 되기를 바랍니다.

반응형

관련글 더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