일본식 영어 단어 관련입니다.
자동차의 방향을 조절하는 장치(조향장치)를 일컫는 말 중에서 '핸들'이라는 용어가 있습니다. Handle이라는 단어는 '조절하다, 조정하다'에 해당하기 때문에 운전대를 의미하는 단어로 사용되는 것을 볼 수 있습니다. 미국의 자동차 용어에서는 steering wheel이라는 표현에 해당합니다. 언뜻 보면 영어와 연관지어 보이는 발음과 단어의 뜻으로 인해서 우리 역시 쉽게 거부감 없이 일본식 영어 단어 '핸들'을 사용하고 있습니다. 일본식 영어 단어가 원래의 영어 단어 보다 더 세력을 얻게 된 경우라고 볼 수 있습니다. 자동차와 관련된 또 다른 의미의 '빠꾸'역시 일본식 영어 표현 'back'에서 온 말이라고 할 수 있습니다. Back가 가진 원래의 의미, '뒤'의 의미를 갖고 있기 때문에 쉽게 받아들이는 표현이 된 것입니다.
한국인들의 경우 대부분 자동차의 운전 PRND의 표현에서 Back에 해당하는 단어가 없음을 보고 당황해하는 경우도 있습니다. 확신에 찬 '뒤'에 해당하는 Back이 '후진' 기어에 해당할 것이라고 생각하기 때문입니다. Back이 아닌 Reverse의 표현이 사용되는 것에 당황하는 것이죠.
*자동차의 PRND관련 설명은 본 블로그의 다른 글과 아래의 동영상을 참조하시면 됩니다.
Reverse는 back과 다르게 그 의미가 우리말의 '거꾸로'에 해당한다고 할 수 있습니다. 앞으로 정면을 향해 나가는 방향과 '거꾸로'의 방향이라는 의미가 됩니다. 마치 연어가 먼 바다에서 성장한 후에 자신이 원래 태어난 강으로 거슬러 오르듯이 원래의 방향과는 다른 방향으로 나아가는 경우에 해당하는 단어입니다.
https://youtube.com/watch?v=Jq-t9lgM6xU&feature=shared
Back발음이 우리말에서 '빠꾸'로 발음되는 것은 일본어의 영향입니다. 일본인들이 영어를 읽을 때 back을 '빠끄' 발음을 사용합니다. 이 발음의 원리는 일본인들의 경우 b를 쌍비읍 발음으로 이해하고 있고 '애' 발음이 없기 때문에 a를 '아'로 읽는 원리, 그리고 k발음을 쌍기역 발음으로 이해하는 원리에 기인합니다. 여기에 일본인들의 경우 자음이 홀로 발음되는 경우는 없기 때문에 '쌍기역' 소리에 모음을 붙여서 '끄' 혹은 '꾸'와 같은 발음이 되는 것입니다. 이러한 일본인들의 영어 발음을 흉내 내면서 '빠꾸'라는 말이 우리말에서도 널리 사용되었던 것입니다.
자동차와 관련된 일본식 영어는 단순히 새로운 영어 단어로 설명하는 경우 뿐만 아니라, 발음도 일본식으로 표현하는 경우도 있습니다. Bumper의 우리말 발음은 '범퍼, 범펄' 등에 해당한다고 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bumper를 '밤바'라고 발음하는 경우를 더러 볼 수 있습니다. 본 블로그의 많은 글에서 설명하는 것처럼 일본어에는 '어' 발음이 없기 때문에 '범'이 아니라 '밤'이 되고, 이 발음을 우리가 흉내 내면서 '밤바'라는 발음이 되었던 것입니다. 우리말에서는 충분히 소리를 낼 수 있고, 글로도 표현할 수 있음에도 굳이 일본인들을 흉내 낸 것입니다.
캐즘, chasm 의미와 발음, z발음 고제윤 글자로 (0) | 2025.01.15 |
---|---|
무 영어로, 무우와 무, radish, radical, 루트 root, 고제윤 글자로 (0) | 2025.01.15 |
a글자의 여러 발음, 우리글 모음은 몇 개?, 글자의 혼란, 고제윤 글자로 (0) | 2025.01.15 |
코스프레 뜻, 코스프레 유래, cosplay와 프로테이지, 고제윤 글자로 (1) | 2025.01.15 |
메이데이 와 Help me, 헲미, 항공영어 알파벳, Help 고제윤 글자로 (0) | 2025.01.15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