상세 컨텐츠

본문 제목

a글자의 여러 발음, 우리글 모음은 몇 개?, 글자의 혼란, 고제윤 글자로

고제윤 글자로 영어 발음 이해하기

by 새한글(고제윤) 2025. 1. 15. 13:42

본문

반응형

1. 모음(Vowel)의 이해

 사람이 소리를 내는 과정에서 그 흐름을 방해 받지 않고, 입을 벌려 내는 소리를 '모음(vowel)'로 정의합니다. 예를 들어 입을 벌린 상태로 다른 소리를 내는 기관은 자연스럽게 된 상태에서 '아, 오' 등의 소리를 내는 것입니다. 이에 비해 '자음'은 입술이나, 이, 잇몸 등이 마찰을 일으키거나, 움직임이 있는 상태에서 소리가 나는 것으로 볼 수 있습니다. 

 우리말에서는 '아, 야, 어, 여, 오, 요, 우, 유, 으, 이' 등을 모음으로 분류합니다. 물론 '야, 요, 유' 등의 발음에 대해서는 약간의 논란이 있을 수 있습니다. 그렇다고 하더라도, 우리말과 글을 가만히 살펴보면 다양한 모음이 있는 것을 볼 수 있습니다. 이에 비해 일본어의 모음은 '아, 에, 이, 오, 우'의 다섯입니다. 우리가 흔히 모음이라고 하면 이 다섯개의 모음으로 생각하는 경향이 있는데, 이것은 아마도 일제강점기를 거치면서 일본어처럼 우리말 모음을 제한하 결과가 아닐까 생각해 볼 수 있습니다. 일본어에 비해서는 그 숫자가 훨씬 많고, 여기에 해당하는 다양한 언어를 가지고 있음은 부인하기 어려운 사실입니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모음은 '아, 에, 이, 오, 우'라는 논리가 많은 사람들에게 자리하는 것을 볼 수 있습니다.

알파벳 a발음, 고제윤 글자로 이해하기

2. 영어 알파벳 a의 소리

 훈민정음의 표기를 사용하는 한국인들은 글자와 소리가 명확히 일치하고, 하나의 글자는 하나의 소리가 난다는 너무도 당연한 원리를 가지고 있습니다. 세종대왕이 훈민정음을 창제할 때 모음(아래아 .)와 'ㅡ', 'ㅣ'의 세개를 기본으로 하여 글자의 왼쪽 오른쪽, 위 아래에 각각 점을 표기하여 'ㅏ, ㅑ, ㅓ, ㅕ, ㅗ, ㅛ, ㅜ, ㅣ'와 같은 글자 형태를 만들어 냈습니다.

 사람의 소리 호흡을 하늘, 땅, 사람의 세 구성 성분으로 보고, 여기에 글자를 덧붙이는 방식으로 소리와 글자의 호흡을 일치시키는 방식이라고 볼 수 있습니다.

 당연히 우리는 각각의 글자는 각각의 소리와 일치한다는 생각을 하고, 이러한 기준으로 다른 외국어의 소리를 이해하고 발음하고자 합니다. 하지만 알파벳은 모음이 글자로는 다섯 개입니다. a, e, i, o, u가 그것입니다. 글자는 다섯 개 밖에 없는데 사람의 소리는 그보다 다양합니다. 따라서 같은 글자를 다른 발음으로 표현할 수 밖에 없는 한계를 갖게 됩니다.

 그 결과로 영어에서는 a라는 글자를 '에이, 아, 오, 어, 이' 등의 다양한 소리를 표현하고 있습니다. Banana의 영어 발음을 생각해보면 '버내너'처럼 a가 '어' 소리가 나기도 하고, park에서처럼 '아'로 소리가 나며, cable에서 처럼'에이'로 소리가 납니다. 즉, 하나의 소리와 하나의 글자 원리가 적용되지 않는 것을 볼 수 있습니다.

https://youtube.com/watch?v=2ysj-6unaT4&feature=shared

a 읽는 방법, 고제윤 글자로

 관련 발음 동영상은 위의 링크를 참고하시면 됩니다.

 

3. 모음의 변화

 게다가 언어학에서 영어의 경우 18세기에 커다란 모음의 변화를 거칩니다. 소리 자체의 변화가 있었기에 '대모음전이(Great Vowel Shift)'라고 표현하기도 하는 변화가 있었습니다. 이러한 소리의 변화는 우리말의 경우에도, 임진왜란이나, 일제 강점기 전후를 거치면서 생기기도 했습니다. 모음조화가 사라지거나, '에, 애'의 구별이 애매해지는 상황이 발생하는 등의 경우가 그것입니다. 사회의 혼란기나 변혁의 시기에는 우리의 언어 생활도 변화를 겪는 것을 볼 수 있습니다.

 글자는 모음 다섯 개인데 소리는 다양하게 변화된 경우, 소리의 변화를 글자가 따라갈 수 없게 되고 그 결과로 같은 글자를 서로 다르게 발음하는 상황이 생기게 됩니다.

 우리글은 다양한 모음을 가지고 있기 때문에 이러한 소리의 변화에도 적응할 수 있습니다. 소리의 변화에 맞춰 글자 표기의 변화 역시 그대로 표현할 수 있는 힘을 가지고 있습니다. 예를 들어 춘향전에서 '전'이라는 글자도 시대에 따라 '뎐, 젼, 전' 등으로 표현해내는 힘이 있다는 것입니다.

 모음에 관한 다양한 글자 표기의 힘이 훈민정음에 담겨있습니다.  

 

반응형

관련글 더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