상세 컨텐츠

본문 제목

코스프레 뜻, 코스프레 유래, cosplay와 프로테이지, 고제윤 글자로

고제윤 글자로 영어 발음 이해하기

by 새한글(고제윤) 2025. 1. 15. 13:14

본문

반응형

 1. 일본식 영어 단어 : Jinglish

 우리말에 한자어 표현이 매우 많은 것을 볼 수 있다면, 일본어는 우리말을 비롯한 외국어나 외래어를 자신들의 방식으로 단어를 조합하여 표현하는 경우가 매우 많이있습니다. 그중에서 일본식 영어 단어 '징글리쉬(Jinglish=Japanese+English)'의 표현도 흔하게 볼 수 있습니다. 오늘은 우리나라에서도 많이 쓰이는 일본인들의 영어 표현 '코스프레'를 살펴보고자 합니다.

 코스프레라는 단어는 costume(복장, 무대복, 전통복)이라는 단어와 play(연극)이라는 두 개의 단어가 결합된 단어입니다. '마치 무대에서 연기를 하듯이 옷을 차려입고 하는 것'이라는 의미를 담고 있습니다. 물론 우리말에서도 비숫한 의미로 사용되는 것을 볼 수 있습니다. 예를 들어 서민이 아니면서, 혹은 일반 서민의 삶은 경험해보지도 않았으면서, 서민인 척 연기하는 것과 같은 상태를 흔히 표현합니다

 Costume이라는 단어와 play의 두개의 단어를 합쳐서 새로운 표현으로 cosplay가 됩니다. 그런데 여기서 더 당황스런 사실은 일본어는 두 개의 리을을 발음하지 못합니다. Play라는 단어를 한국인들은 대부분 '플레이'라고 발음하지만, 일본인들의 발음은 '프레'로 발음됩니다. 이렇게 만들어진 단어를 우리나라에서는 어떤 정치인이 들여와서 사용하면서 대중화되었습니다.

cosplay 코스프레, 고제윤 글자로

2. Percent와 프로테이지

 같은 원리로 %(percent)'프로'라고 읽는 것을 볼 수 있습니다. 우리의 언어 표현에서 '프로'라는 영어 단어는 professional(직업, 전문)에 해당하는 경우도 있습니다. 반면에 "몇 프로야?" 혹은 "프로테이지가 어떻게 돼?"와 같은 표현을 자주 접하게 됩니다. 이 말 역시 일본인들이 만든 영어 단어에서 왔을 것으로 추정해 볼 수 있습니다. 아마도 Proportion(비율)이라는 단어와 Percentage(%)의 두개의 단어를 합친 protage라는 단어로 만들었고, 이 말이 영어에는 없는 protage라는 단어로 만들어진 것으로 볼 수 있습니다. 우리가 흔히 '프로테이지'라고 표현하면 영어 단어였을 것으로 생각하지만, 원래의 영어 단어에는 없는 일본식 영어 '징글리쉬'인 것을 볼 수 있습니다.

3. 스킨십도 징글리쉬

 우리의 언어 표현에서 사용하는 친밀감을 가져오는 신체적 접촉으로 '스킨십'이라는 표현도 있습니다. '친밀한 사이를 위해 신체 적인 접촉'을 의미하는 단어로 정의할 수 있습니다. 원래 영어 단어에는 없지만 skin(피부) +ship(friendship)과 같은 ship이라는 어미를 결합시켜서 만든 단어라고 볼 수 있습니다. 심리학의 용어로 자주 표현되는 '스킨십'이 바로 그것입니다.

 그 외에 영어 발음을 일본식 발음으로 표현한 수 백 개의 단어들은 본 블로그의 다른 글이나 Naver blog "글퍼블릭"을 참고하시면 얼마나 많은 영어 단어를 일본인들을 거쳐서, 혹은 일본인들을 흉내 낸 발음으로 표현되고 있는지를 알 수 있을 것입니다.

 

 일본식 영어 단어인 '징글리쉬'는 일본의 경제적 성장과 함께 다른 언어권에도 퍼져나가면서, 그 의미와 발음을 사용하는 경우도 흔하게 볼 수 있습니다. 제가 쓴 1993년에 발행한 "징글리쉬, 콩글리쉬, 잉글리쉬"에도 이러한 일본어 방식의 어법과 관련된 내용을 제시하기도 했습니다. 

 

반응형

관련글 더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