상세 컨텐츠

본문 제목

북엇국에는 코딱지가 들어있나? 코딱지가 영어로 북어, booger와 부거, 고제윤 글자로

고제윤 글자로 영어 발음 이해하기

by 새한글(고제윤) 2025. 1. 22. 01:01

본문

반응형

 1. 코딱지와 북어

 "네 코에 코딱지가 있을지 몰라 : You might have a booger in your nose."에 해당하는 문장을 보면 우리말로 들리기에 '북어'처럼 들리는 말이 있습니다. Booger라는 단어가 바로 '코딱지'를 의미하는 단어이며, 언뜻 들으면 '북어'처럼 들릴 것입니다.

코딱지가 영어로 북어, 고제윤 글자로

 

 이와 비슷한 사례로 "우울할 땐 똥싸."로 들리는 노래 가사도 있습니다. "Who let the dogs out?"에 해당하는 노래가 그것입니다. 전혀 다른 의미이기는 하지만 우리말에는 꽤 그럴듯한 말로 들리기도 합니다.

 

 그럼 아제 개그 하나

*  김칫국에는 김치가, 미역국에는 미역이, 북엇국에는 코딱지가?

 

* 오늘은 booger라는 단어를 통해서 우리글의 소리 원리와 영어의 발음 원리를 살펴보도록 하겠습니다.

 2. 같은 소리 글자이지만 알파벳은 가로 쓰기, 훈민정음은 소리 호흡 글자

 Booger라는 단어를 보면 b는 우리말 비읍에 가까운 소리가 납니다. 엄격하게 구별하면 영어의 b는 목젖이 울리는 소리(유성음)라는 점에서 우리말 비읍과는 다르지만, 소리를 내는 방법에서는 비슷하기에 우리말 비읍으로 들리는 것도 사실입니다. 다음으로 oo는 우리말 'ㅜ' 보다는 길지만, 'ㅜ' 소리를 담고 있습니다. G소리는 우리말 '기역'으로 볼 수 있습니다. 영어의 g소리 역시 우리말 기역과는 다르게 목젖이 울리는 소리(유성음)입니다. 예를 들어 '불고기'라는 말을 영어권 사람들이 발음하는 것을 보면, 우리 귀에는 조금 더 울림이 많은 소리, 혹은 기름진 소리처럼 느껴지는 것을 들을 수 있을 것입니다. '불고기'라는 말에서 비읍과 기역 소리가 목젖이 울리는 소리이기 때문에 생기는 현상입니다. Booger에서 e소리는 발음 기호로는 '어'를 의미하는 소리입니다. 마지막으로 r소리는 흘리듯이 약하게 소리가 납니다. 이 소리를 알파벳처럼 가로 쓰기를 하면 [ㅂ ㅜ ㄱ ㅓ ㄹ]가 되고 마지막 약하게 소리나는 리을을 생략하면 '부거'소리로 들리는 것입니다.

 [부거]소리는 우리말에서 받침으로 표기되는 '북어'에서 받침 기역이 뒤의 모음 '어'를 만나 연결되어 발음이 됩니다. 그 결과로 실제 소리에서는 '북어'로 표현된 글자가 '부거'로 소리가 나는 것입니다. 따라서 가로쓰기로 되어있는 booger와 발음 소리인 [부거]가 같은 소리로 들리는 것입니다.

알파벳과 고제윤 글자 표기

 알파벳이 음소를 단순한 가로 쓰기의 글자라면 훈민정음은 소리의 호흡 단위로 나뉘어 글자로 표현됩니다. '북어'에서 '북'만을 떼어서 소리를 따로 표현할 수도 있고, 받침으로 표기된 기역 소리는 뒤의 글자를 만날 때는 자연스럽게 뒤의 소리와 결합하는 방식이 적용됩니다. 즉, 한 번의 호흡으로 '북'이라는 소리도 가능하고, 받침 소리가 뒤의 소리와 연결되어 발음이 가능하도록 되어 있는 글자 표기 원리입니다. 

 알파벳이 단순한 음소의 가로 쓰기 배열이 이루어지기 때문에 자음이 겹치는 것은 너무도 당연한 결과입니다. 예를 들어 stand라는 단어에서 보듯이 자음 'st'가 겹치는 경우나, 자음 'nd'가 연달아 나오는 상황이 발생합니다. 알파벳의 글자가 모음에 비해 자음의 훨씬 많기 때문에 생기는 현상입니다. 이처럼 자음이 겹치는 경우에 "고제윤 글자 표기"에서는 훈민정음의 글자 표기 원료를 적용하여 겹치는 자음을 같은 위치에 연이어 표기하는 음소 배열의 원리를 제시하고 있습니다.

 Stand의 발음에 해당하는 위의 글자에서 처럼 s를 시옷으로 표기하고, t발음은 s뒤에 올 때 쌍디귿 소리에 해당하므로 s와 t를 첫 소리의 위치에 배열하는 방식을 사용했습니다. a는 'ㅐ'에 해당하는 모음으로 표현하였고, 받침으로 n의 니은과 d의 디귿을 표기하였습니다. 이렇게 표기함으로써 한 번의 호흡에 해당하는 stand의 발음을 이해하고 연습할 수 있을 것입니다.

 

 * 아래의 링크는 관련 동영상입니다. 유튜브 "글퍼블릭"에서 보실 수 있습니다.

https://www.youtube.com/watch?v=Q_LwvVXszlc

 

반응형

관련글 더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