음악의 건반에서 소리의 미세한 차이인 #까지 구별하는 분들이 있습니다. 그리고 똑같은 음계로 표현해 낼 때 우리는 '절대음감'이라는 표현을 사용합니다. 우리말을 표현할 때에도 미세한 발음의 차이까지 거의 똑같이 표현해 내는 '성대 모사의 달인'들을 접하는 경우도 있습니다. 저도 한 때 그 사람과 5분간 만 대화해보면 그 사람의 고향이 충청도 어디 정도 까지는 적중시키곤 했습니다. 예를 들어 '서산' 발음을, '서산, 스산, 스으산, 서어산' 등으로 미세한 차이를 보이는 경우가 있기 때문입니다.
여러분 모두도 각기 이런 절대 음감을 깨우면 충분히 가능할 것입니다.
만약 원래 노래 가사인 "Who let the dogs out?"(누가 개 풀어 놓았어?)를 '우울할 땐 똥싸"라고 표현하고 이 노래를 들어보면 '우울할 땐 똥싸'처럼 들릴 수 있을 것입니다. 비슷한 유형으로 "웬 다이아?" "냄비위에 밥이타"처럼 팝송을 우리말 발음에 빗대에 표현한 경우도 있습니다.
"Who let the dogs out?"을 위의 훈민정음을 활용한 "고제윤 글자"로 읽어낸다면 '우울할 땐 똥싸'와 다른 발음이 될 것입니다.
두 개의 서로 다른 글자를 비교해 보시면서 발음을 해 보시면 여러분은 "우울할 땐 똥싸"가 "훌렡더독싸웉"과 분명히 다른 발음을 하시게 될 것입니다. 달라진 것은 글자 기호의 변화입니다. 참고로 the발음에서 th에 해당하는 발음은 디귿 아래에 작은 동그라미를 그려 넣어서 표현했습니다.
*관련 내용은 본 블로그나, 네이버, 유튜브의 "글퍼블릭" th발음을 참고하시면 됩니다.
오늘은 s뒤에 나오는 우리말 쌍비읍 소리로 절대음감의 여러분 유전자를 깨워보고자 합니다.
S뒤에 p가 나오는 단어는 speak, spoon, sports, spy, spring,....과 같은 단어들입니다. 이중에서 speak이라는 발음에 대해서 살펴보고자 합니다.
speak발음
1) 스픽
2) 스핔
3) 스피크
4) 스삨
5)ㅅ삨
이렇게 다섯 개의 글자로 발음을 표현해 보았습니다. 3)번은 일본어 방식의 대표적인 발음입니다. 5)번은 읽으려고 하면서 잘못 쓴 글자 아닐까 하는 고민을 할 것입니다. 어찌되었건 5)번까지 읽어내긴 할 것입니다.
같은 발음을 5)가지 소리로 표현했지만 여러분은 모두 그 글자를 다른 소리로 읽어낼 것입니다. 놀라운 훈민정음의 표기 원리입니다.
위의 글자는 여러분의 절대 음감을 도와줄 글자 표기입니다. Speak를 각각의 소리 특성을 기준으로 표현했습니다. 특히 미국식 영어 발음에서는 s뒤의 p가 우리말 '쌍비읍'처럼 발음되는 상황을 반영한 것입니다. 각각의 글자 표기 원리는 다음과 같습니다.
Speak[spi:k]
1) s는 시옷으로 표현했습니다.
2) s뒤의 p는 쌍비읍 소리로 표현했습니다.
3) ea는 'ㅣ'로 표현했습니다. 긴 소리를 의미하는 :기호는 제가 출판한 "새한글"에서는 표현했지만 인터넷 환경에서는 생략했습니다.
4) k는 키읔으로 표현했습니다.
이제 이 소리를 알파벳 처럼 가로 쓰기를 하면 [ㅅ ㅃ ㅣ ㅋ]이 됩니다. 이 글자를 훈민정음의 글자 원리로 조합하면 위의 글자로 표현됩니다. 이 소리를 받침 소리를 가진 훈민정음으로 변경한 것입니다.
스피크 표기는 왜 일본어 방식인가?
Speak는 [spi:k]이라는 발음기호로 표현됩니다. 소리의 가장 기본 단위인 음소를 배열한 것입니다. 그런데 일본어 방식에서는 [ㅅ ㅃ ㅣ ㅋ]로 표현한 음소 단위로 표현할 수가 없습니다. 일본어는 시옷이라는 독립된 음소를 갖는 것이 아니라, 절대적으로 '사, 시, 수, 세, 소'에서 보듯이 시옷과 모음 하나가 결합된 음절 단위로 이해합니다. 이러한 음절 구조를 적용하면 [ㅅ ㅃ ㅣ ㅋ ]가 아니라 [ 스 삐 크]가 되는 것입니다. 이 경우 s뒤의 p가 쌍비읍 소리인 것을 반영하지 않는다면 [스피크]처럼 음절 구조의 발음이 되는 것입니다.
훈민정음의 글자 체계는 놀랍지만 이러한 일본어 방식의 영어 발음도 표현할 수 있습니다. Speak이라는 발음을 '스픽, 스피크, 스삨, 수삐쿠, 스삑' 등 어느것으로 표현하더라도 읽어낼 수 있을 것입니다. 어떠한 글자의 원리를 사용하는가에 관계없이 모두 읽어낼 수 있는 글자 표기의 힘을 훈민정음이 갖고 있기 때문에 가능한 것입니다.
위에서 훈민정음을 활용한 "고제윤 글자"로 읽어낸 후에 실제 영어 발음과 구별해서 들어보시면 여러분의 잠자는 절대음감을 찾아내실 수 있을 것입니다. S뒤의 p는 쌍비읍 소리가 난다는 단 하나의 원리를 적용하여 speak, spoon, sports등의 소리를 들어보면 영어의 '쌍비읍'를 들을 수 있을 것입니다.
훈민정음 글자 표기의 힘은 아래의 동영상에서도 보실 수 있습니다.
https://www.youtube.com/watch?v=3NZoKZXFHWM
국평오를 아세요?, 유행어 국평5, 평균 영어로, mean, average 고제윤 글자로 (0) | 2025.02.07 |
---|---|
[영어 발음 노하우] 스카이, sky 하늘 영어 발음, 쌍기역 소리, 고제윤 글자로 (0) | 2025.02.07 |
보름달 영어로, 밀다 영어로, full 과 pull발음 구별, 고제윤 글자로 (0) | 2025.02.06 |
영어 발음 한국인이라면 제대로 할 수 있다, face-pace발음 고제윤 글자로 (0) | 2025.02.06 |
쌀 영어로, 쌀밥, 햇반, 자포니카, rice발음 고제윤 글자로 (1) | 2025.02.04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