상세 컨텐츠

본문 제목

[영어 발음 노하우] 스카이, sky 하늘 영어 발음, 쌍기역 소리, 고제윤 글자로

고제윤 글자로 영어 발음 이해하기

by 새한글(고제윤) 2025. 2. 7. 17:58

본문

반응형

1. 절대 음감에 도전

 우리말에는 쌍기역 발음이 있습니다. 꿀꿀꿀, 깔깔 등을 읽고 소리를 낼 수 있을 것입니다. 굴, 꿀, 쿨의 발음 역시 구별되어 그 의미를 달리합니다.

 영어에서는 어떨까요? 언뜻 생각하기에 영어에도 똑같은 소리가 있을 것이라고 생각하지만, 그렇지는 않습니다. 우리에게는 기역, 쌍기역이 명확히 구별되는 소리이며, 그 의미를 달리합니다. 하지만 영어에서는 그렇지 않습니다. Good(굳)이 있으면 ggood(꾿)이라는 글자가 있어서 구별되는 소리가 되어야하겠지만 영어에는 없습니다.

 영어에서 쌍기역 소리는 구별되는 소리는 아니지만 '쌍기역'소리가 있습니다. S뒤에 k발음이 될 때 그 k발음이 쌍기역 소리로 발음되는 경우가 미국인들의 발음에서 관찰됩니다.

 한국인들의 경우에는 미국인들의 이 발음을 절대 음감을 가지고 있기 때문에 구별하여 들을 수 있습니다. 그 사례로 오늘은 sky발음을 통해서 살펴보도록 하겠습니다.

Sky라는 영어 단어는 '하늘'이라는 의미를 갖고 있지만, 대학입시를 준비하는 많은 학생들은 아마, 서울대, 고려대, 연세대를 떠올릴지 모르겠습니다.

 

sky 고제윤 글자로

 

 우리는 sky라는 발음을 '스카이'라고 이해하고 듣는다면 '스카이'처럼 들릴 것입니다. 하지만 좀 더 주의를 기울여서 들어보세요. 그러면 분명 '키읔'발음이 아닌 '쌍기역' 소리를 들을 수 있을 것입니다.

 앞에서 말한 것처럼 의미를 구별하는 소리는 아니지만, 실제 발음에서는 존재하는 소리라는 것이며, 이 소리를 한국인들은 들을 수 있고, 말할 수 있습니다. 물론 '스카이'라는 발음이라는 확신으로 들으면 들리지 않겠지만, 쌍기역 소리를 들어보겠다는 마음으로 들어보세요. 분명 그 소리가 들릴 것입니다.

 발음의 원리

1) s는 시옷으로 표현합니다.

2) s뒤의 k소리는 쌍기역으로 표현합니다.

3) y는 '아이' 소리라는 두 개의 모음 글자로 표현했습니다.

 이 원리를 적용하여 훈민정음 방식의 "고제윤 글자"로 표기하면 위의 글자로 표현할 수 있습니다. '스카이'라는 세 개의 호흡을 가진 소리가 아닌 두 개의 호흡을 가진 소리이기에 두 개의 글자로 표현했습니다.

2. 스카이 발음 원리

 그런데 우리는 '스카이'라는 발음에 익숙할 것입니다. 이 발음을 보면 다음과 같습니다. Sky를 발음 기호로 표현하면 [skai]입니다. 한국인의 글자 구조에서는 [skkai]처럼 표현해야 한다고 생각할 수 있으나, 발음 기호는 그 의미의 변화를 가져오지 않는 내용은 표기하지 않습니다. 결코 [skkai]와 같은 발음을 표현하지는 않습니다.

 [skai]만 놓고 표기해보면 [ㅅ ㅋ ㅏ ㅣ]처럼 알파벳처럼 소리를 가로 쓰기로 나타낼 수 있습니다. 이 소리를 일본어 방식으로 나타내면 [스카이]가 됩니다. 왜냐하면 일본어는 '시옷' 자음 하나만 독립적으로 쓰일 수 없기 때문입니다. '자음+모음'의 표기를 해야하기 때문에 '스'처럼 '시옷(자음)'에 'ㅡ(모음)' 을 붙여서 표기하고 발음해야 합니다. 결코 자음이 연달아서 표기되거나 발음되지 못하는 언어구조입니다. 이러한 일본어 방식을 적용하기 때문에 우리는 자음과 자음 사이에는 무조건, 자동적으로 'ㅡ(모음)'을 넣어서 발음하는 방법을 사용하게 된 것입니다. 결코 훈민정음의 표기 원리가 아닙니다. 영어를 가르치는 많은 선생님들이 공감하는 문제이기도 합니다. 도대체 왜 'ㅡ'를 붙여서 발음하는지에 대한 해답이 될 것입니다.

 이제, s뒤의 k발음이 연결되는 ski, school, scream, screen,....등의 발음을 듣게 된다면 한국인의 절대 음감을 발휘하여 '쌍기역'소리를 들을 수 있을 것입니다.

 

 아래의 동영상은 '자음+모음'을 사용하는 일본어 방식의 원리를 극복하여 세계의 모든 소리를 기본 소리 단위로 표현하는 내용입니다.

https://www.youtube.com/watch?v=3NZoKZXFHWM

 

반응형

관련글 더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