상세 컨텐츠

본문 제목

타르트 영어 발음 생각해 보기,tart, 탍, 파트,part, art 고제윤 글자로

고제윤 글자로 영어 발음 이해하기

by 새한글(고제윤) 2025. 2. 10. 14:07

본문

반응형

 1. '타르트'와 '탍' : tart

 영어 단어는 글자와 소리가 일치하지 않는 경우가 대부분입니다. 특히 모음에서는 글자 수는 a, e, i, o, u의 다섯이지만 소리는 다양하기 때문에 글자와 소리의 불일치가 일어납니다. 이런 문제로 발음 기호 없이는 읽기 어려운 글자가 되었습니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특정한 모음이 특정한 소리로 나는 것에는 일정한 규칙성이 존재하는 것도 사실입니다. 비록 'a'라는 글자가 '아'로도 나고, '어'로도 나고, '에이'로도 나며, '오'로도 나지만 뒤의 자음과 일정한 소리 규칙이 존재합니다.

  a소리

 '아' 소리 - art, mart, part, park,....

'에이'소리 - able, cable, table,

'어' 소리 - banana, about, abroad,....

'애'소리 - apple, ant,....

'오' 소리 - ball, call, tall,...

 이처럼 글자 'a' 하나를 다양한 모음으로 돌려 막기를 하는 상황이 존재합니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일정한 발음들 사이의 규칙성 또한 존재합니다. 오늘의 영어 발음 'tart'역시 같은 소리를 가진 'art'의 기본 발음을 생각해 보시면 그 연관성을 찾을 수 있을 것입니다. Art라는 똑같은 글자를 가진, cart, mart, part, chart, tart, dart,...로 연결되는 발음에서는 '아'라는 대표 발음을 볼 수 있다는 것입니다. 이 원리를 바탕으로 기본 단어 1000개를 "하나를 보면 열을 아는 영단어"로 엮어서 출판하였습니다. 사전을 뒤져 발음기호를 찾아보지 않아도, art의 발음을 안다면 part, mart, cart, tart등의 발음을 이해할 수 있다는 원리입니다.

 

 오늘은 '에그타르트'로 널리 알려진 'tart' 발음을 art, part, mart등과 관련하여 살펴보고자 합니다.

발음기호 없이도 단어 읽기, 고제윤 글자 원리

 위의 사례처럼 art의 발음 하나를 알고 있다면 part, mat, dart, start,....로 연결되는 단어들을 한 번에 빠르게 이해할 수 있다는 내용입니다.

2. Art, part, mart 그리고 tart,

 Art와 같은 글자를 가진 단어들은, 첫 소리의 자음만 바꾸면 같은 발음으로 연결됩니다. 발음 기호 [art]로 가로 쓰기의 배열을 훈민정음의 글자 원리로 나타내면 '앑'와 같은 글자로 표현됩니다. [ㅏ ㄹ ㅌ]의 음소를 그대로 더하거나 빼는 것 없이 그대로 옮긴 것입니다. 받침으로 리을과 티읕을 그대로 표현했습니다. 받침 소리로 표기한 것은 훈민정음이 지닌 특성이며, 소리의 호흡을 기준으로한 글자 표기입니다. 이 글자를 한번의 호흡으로 읽어내는 것입니다.

 그런데, 신기한 현상이 발생합니다. 이렇게 '앑'로 표현할 수 있음에도 불구하고 mart는 '마트', part는 '파트' 그리고 art는 '아트'로 표현합니다. 이들 발음은 모두 r에 해당하는 '리을' 발음을 생략합니다.

 이러한 표기 원리는 일제강점기에 오구라신페이와 같은 일본인들의 언어학 원리에 기반한 것입니다. 여러분 스스로 검증이 가능합니다. 지금 당장 '아 ㄹ ㅌ'을 순서대로 더하거나 빼는 것 없이 키보드로 타이핑 해 보시면 '앑'가 타이핑 될 것입니다. 비록 키보드 입력으로 변화되어있지만 여전히 훈민정음의 기본 표기 원리는 살아있음을 볼 수 있습니다.

 나아가 mart는 '마트'로, art는 '아트'로 표기하면서 tart는 '타르트'로 표기하고 발음합니다. 갑자기 '리을' 발음이 살아나고, 여기에 r을 리을이 아닌 '르'로 t는 티읕이 아닌 '트'로 변경한 것입니다. 영어에는 없는 'ㅡ' 모음이 추가됩니다. 마치 일본어가 자음 단독으로 소리 내지 못하고 반드시 모음을 붙여서 발음하는 원리처럼 된 것입니다. 이렇게 되면서 어떤 경우에는 '리을'을 생략하고, 또 어떤 경우에는 살려쓰는 혼란이 생긴 것입니다. 

 

 소리와 글자의 일치를 이룬 훈민정음의 기본 원리를 되살려낸다면 분명 이러한 혼란을 막을 수 있을 것이며, 훼손된 원리를 되살릴 수 있을 것입니다.

 

 * 관련 동영상은 아래의 "세계의 모든 소리 훈민정음에 담다"에서도 보실 수 있습니다.

https://www.youtube.com/watch?v=3NZoKZXFHWM

 

반응형

관련글 더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