상세 컨텐츠

본문 제목

스피드 스케이팅 영어로, 발음기호에도 없는 소리, 쌍기역, 고제윤 글자

고제윤 글자로 영어 발음 이해하기

by 새한글(고제윤) 2025. 2. 9. 14:42

본문

반응형

 1. speed skating

 겨울 sports중에서 얼음 위를 달려서 속도를 겨루는 경기를 speed skating이라고 합니다. '빠르기'를 의미하는 speed와 스케이팅'skating'이 결합된 경기 종목입니다. Speed skating은 겅기장 둘레가 400m 길이인 링크에서 경기를 치릅니다. 경기장은 인코스와 아웃 코스로 나뉘어 있고 각 선수가 이 두 개의 코스를 번갈아가며 주행하도록 되어있습니다.

  오늘의 영어 발음은 speed skating입니다.

2. speed발음

 흔히 발음 기호는 모든 소리를 원래의 소리를 그대로 표현한 것으로 알고 있지만, 실제로는 그렇지 않습니다. 해당 언어에서 의미의 차이를 가져오지 않는 발음은 사전에 표기하지 않습니다. 예를 들어 영어에서는 우리말과 다르게 '비읍'과 '쌍비읍'이 구별되는 소리가 아닙니다. 우리말에서 '발' ,'빨'이 분명 다른 소리로 이해되지만, 영어에서는 이 두 개의 소리가 구별되지 않습니다. 영어권 사람들이 우리말에서 '발, 팔, 빨'을 쉽게 구별하지 못하는 이유이기도 합니다.

 언뜻 생각하면 어떻게 '발, 팔, 빨'이 구별되지 않을까?하는 의문을 갖겠지만, 우리말 비읍, 피읖, 쌍비읍은 외국인들 입장에서는 거의 같은 소리입니다. 한국인들은 이 소리를 구별하는 귀를 갖고 있고, 공기의 양으로 이 세 개의 소리를 구별합니다.

 영어에는 우리말 비읍과 쌍비읍을 구별하지 않는다고해서 실제 소리에서는 없다는 의미는 아닙니다. 오늘의 영어 단어 speed가 그러한 사례입니다.

 1) 쌍비읍 소리

 Speed의 실제 발음은 s뒤의 p 소리를 우리말 '쌍비읍'처럼 내는 경우가 많기 때문에 쌍비읍 소리를 냅니다. 쌍비읍 소리가 나지만 구별하는 표기를 하지 않고 있습니다. p소리를 피읖으로 발음하건 쌍비읍으로 발음하건 그 차이가 다른 의미를 가진 단어가 되지는 않기 때문입니다. 따라서 이렇게 의미의 차이를 가져 오지 않는 소리를 사전에서는 나타내지 않고 있습니다.

 신기한 일이지만 speed의 p소리를 '피읖'이라고 생각하고 듣거나 발음하면 '피읖' 소리로 들리지만, '쌍비읍'이라고 생각하면 '쌍비읍'소리가 들릴 것입니다. 실제로 speed를 네이버 어학사전이나 구글의 어학사전에서 검색하시어 미국식 발음을 들어 보세요. 아마 명확하게 쌍비읍 소리가 들릴 것입니다.

 실제 소리의 변화 현상까지 나타낼 수 있는 방법은 훈민정음의 글자 표기로는 가능합니다. 각각의 소리를 다음과 같이 기본 소리로 나타내어 표현하여 나타낼 수 있습니다.

s- 시옷

p - s뒤의 p 소리이므로 쌍비읍 소리, spoon, sports, spy,....등에서도 같은 원리가 적용됨

ee - 'ㅣ'소리이며, 길게 소리가 납니다.

d - 디귿 : 영어의 d소리는 우리말과 약간 다릅니다. 목젖이 울리는 소리(유성음)에 해당합니다.

 이 소리를 발음 기호로 나타내면 [spi:d]가 됩니다. 한국인들이라면 사전에 아마 [sppi:d]처럼 p를 두 개 겹쳐서 '쌍비읍'소리를 표현할 수도 있을 것입니다. 이들 소리를 훈민정음의 원리로 표현하면 아래의 글자가 됩니다.

speed skating, 고제윤 글자로

 

 위의 글자에서 speed를 각각의 소리에 맞춰 표현하면 위의 글자처럼 나타낼 수 있습니다. sp의 두 개의 자음이 겹친 소리인 'ㅅㅃ'를 첫 소리에 함께 나타냈습니다. 알파벳은 speed에서 볼 수 가로쓰기로 각 소리를 배열하므로 자음이 겹칠 수 밖에 없습니다. 이 글자를 훈민정음의 소리 호흡 글자로 표기하면 위의 글자처럼 됩니다. 

 소리를 내는 방법은 'ㅅ에서 삐를 강하게 발음하며, 받침 디귿은 흘리듯 약하게 발음합니다."

 3. skating발음 : 고제윤 글자로

 Skating의 경우에도 s뒤의 k는 우리말 '쌍기역'소리가 납니다. 이 역시 사전의 발음기호로는 표현되어 있지 않기 때문에 발음 기호만 보아서는 '쌍기역'소리를 듣거나 말하기 어려울 수 있을 것입니다. 또한 skating에서 t는 모음과 모음 사이에서 발음되기 때문에 약한 소리가 되면서 우리말 '리을' 혹은 '디귿'처럼 변화되기도 합니다. 이러한 원리를 적용한다면 한국인의 언어 구조에서는 발음기호를 [skkeiring]처럼 표현할 수도 있을 것입니다.

  s- 시옷

 k- 쌍기역, s뒤의 k발음은 우리말 쌍기역 소리임. school, sky, ski,...등의 발음에서도 갖은 원리가 적용됩니다.

a - '에이'소리로 표현됩니다.

t - 모음과 모음 사이에서 t소리는 우리말 리을 혹은 디귿으로 발음됩니다. 리을에 가까운 소리이기에 리을로 표현했습니다.

i -'ㅣ'소리가 납니다.

ng - 받침 '이응'소리입니다.

 이러한 소리 원리를 훈민정음의 글자 원리를 적용하면 위의 도표의 글자처럼 표현할 수 있습니다.

 

* Speed skating을 훈민정음을 활용한 "고제윤 글자" 표기로 읽어 보신 후에 실제 소리와 비교해서 들어보시기를 권합니다.

 

 아래의 동영상에서는 글자 표기와 발음의 관계를 보실 수 있습니다.

https://www.youtube.com/watch?v=gVrWd11XlkM

 

 

 

반응형

관련글 더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