기울어지는 정도를 의미하는 '기울기'라는 표현에서 볼 수 있듯이, 일정한 각도가 있는 경우에 '기울어지는 정도'에 해당하는 내용이 기울기에 해당합니다. 두 개의 값을 가지고 있으며, 연어 표현에서는 'rise over run formula'라는 표현에서 볼 수 있듯이 rise/run의 값을 나타냅니다. 이러한 값을 영어 단어로 표현하면 rise/run이며 이 언어 표현을 왼쪽에서 오른쪽으로 그대로 순서대로 읽어나가는 것을 볼 수 있습니다. 이때 기울기 공식의 언어 표현을 보면 영어의 전치사인 over와 같은 단어를 사용하여 기호를 순서대로 읽어나가는 방식이 적용됩니다. 대부분의 수학 기호가 알파벳과 연관되어 사용되기 때문이라고 볼 수 있습니다. 위로 솟아오르는 형태의 기울기의 값이 rise/run으로 표현된다면 방향이 아래쪽으로 되어있을 때에는 depth/run으로 표현됩니다. Rise와 depth라는 표현으로 방향성을 함께 표현하는 것을 볼 수 있습니다.
알파벳 기호를 주로 사용하는 수학 기호의 특성상 기호를 읽는 데에는 통일된 기준이 존재합니다. 수학 기호를 읽는 제1원칙은 왼쪽에서 오른쪽으로, 그리고 위에서 아래로 읽는 방식입니다. Rise/run이라고 되어 있다면 우리말에서는 위로 솟아오름/ 옆으로 달려감으로 단순하게 번역해 보겠습니다. 이 값은 기호를 그대로 읽는다면 Rise 값을 먼저 읽어야 합니다. 즉 어떤 방식으로 분수를 표현하건 분수의 값의 왼쪽 혹은 위쪽에 해당하는 값이 있습니다. 이 값을 우리말에서는 '분자'라고 부릅니다.
기호를 읽는 원리를 따른다면 모든 분수식에서 먼저 읽어야 할 값은 분자가 됩니다. 하지만 우리말에서는 분모를 먼저 읽습니다. 만약 숫자기호로 2/3이라고 쓰여있다면 기호의 원리에 따르면 분자인 2부터 읽어야 합니다. 숫자를 읽는 순서는 2 / 3 이 되어야 어떠한 기호를 읽는지에 대한 제1의 원칙에 의해서 읽는 방식입니다.
하지만 우리말로 옮기는 과정에서는 이 순서가 뒤집어집니다. 분모부터 먼저 읽습니다. '3분의 2'라는 표현이 그것입니다. 우리말의 '의'가 이것을 가능케 합니다. 즉 뒤에 나온 기호, 혹은 분수 표현에서 아래에 있는 숫자를 먼저 읽습니다. 이 말은 우리말이 잘못되었다는 것을 이야기하는 것은 아닙니다. 우리의 수학 언어 표현이 이러하다는 것을 말하는 것입니다. 언어 표현에 옳고 그름이 있을 수는 없으며, 다르게 기호를 읽고 있다는 것을 이야기하는 것입니다. 이러한 표현이 생긴 것에는 그만한 역사적 연유가 있기에 우리말은 우리말 나름대로의 표현 원리도 존재합니다.
영어의 분수값을 정의하는 기준에서 우리말의 '분모'라고 표현되는 영어 표현은 'run'에 해당합니다. 본 블로그의 목적인 언어 표현의 훈민정음 방식의 표현 원리를 바탕으로 run발음을 보면 다음과 같습니다. 이 표기 원리는 1995년 이래로 "고제윤 글자(새 한글)"에서 개발하여 표기하는 방식입니다.
영어의 run은 [뤈]으로 표현할 수 있습니다. '뤈'이라는 발음 표기에서는 영어의 r발음을 '루'로 표현하고 있다는 점에서 '런'과 다른 것을 볼 수 있습니다. 영어의 r발음은 우리말에서는 리을 발음에 '우'나 ;'오'가 섞인 경우라고 정의할 수 있습니다. 우리말 리을과는 다른 소리입니다. 같은 소리로 생각되는 l이 리을을 두 번 소리 내는 것이라고 본다면, r은 리을 소리에 '우' 나 '오'가 섞인 소리라고 볼 수 있습니다.
우리말 리을에 가장 가까운 소리는 영어의 음운 현상에서 보이는 모음과 모음 사이에서 t, d가 소리 날 때입니다. 영어 단어 water, waiter 등의 t 소리가 모음 사이에서 소리가 날 때 그 소리가 우리말 '리을'과 비슷한 소리로 변화되어 소리 나는 것을 볼 수 있습니다.
mechanism- meaning, 메커니즘 발음, 메카니즘 뜻 (0) | 2023.08.25 |
---|---|
가로 세로 높이 영어로, length, width, height (0) | 2023.08.25 |
theta-meaning & pronunciation : 수학 세타, 고제윤 글자(새한글) (0) | 2023.08.24 |
th발음, θ, ð 발음의 원리 : pronunciation (0) | 2023.08.23 |
a.m. 오전, p.m.오전 오후의 의미 : 고제윤 글자(새한글) (0) | 2023.08.23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