Cartel이라는 단어의 기원은 라틴어 charta에서 찾을 수 있습니다. 이 말은 이탈리아어의 carta를 거쳐서 독일의 저널리스트이자 정치가인 Eugen Richter라는 사람에 의해서 개념화되었습니다. 정치학자의 견해에서 cartel이라는 말의 개념 정의가 이루어졌지만, 실제 사용은 경제에서 더 널리 사용되는 것을 볼 수 있습니다. 독일어에서 kartell은 협정, 계약, 연합 등의 의미를 갖고 있으며, 이탈리아어에서 carta는 '대헌장'에서 사용되는 것에서 처럼 '헌장'이라는 의미를 갖습니다.
기본 단어의 의미를 구체적 형태에서 파악해 보면 경제적 개념에서는 "개별 경제 주체인 가계, 기업, 정부, 외국 등이 시장에 참여할 때 각자의 이익이나 시장 지배력을 최대한 높이기 위하여 맺는 협정, 계약'의 형태로 나타나는 것을 볼 수 있습니다. 경제 주체 간의 Cartel이 공고하면 할수록 시장 지배력은 높아질 것이고, 참여자들의 이윤 극대화가 나타나는 형태가 될 것입니다. 이 과정에서 '협약이나 협정'의 형태로 지배력을 강화하는 형태로 나타날 수 있을 것입니다.
소수의 시장 지배력을 가진 주체들이 중심이 되어서 시장 가격을 조절할 수 있고, 공급자 중심의 시장이 형성됨으로 인해서 공급량 조절 등이 가능하게 될 것입니다. 협약이나, 협정이 이루어지지 않은 형태라면 소수의 독과점 기업에서도 이러한 지배력 강화 현상을 볼 수도 있습니다.
Cartel이 국제적 관계, 특히 지하자원과 관련되어 형성되는 경우도 있습니다. 대표적인 사례로는 '석유수출국기구(OPEC)'와 같은 다자간의 생산량 조절 방식으로 가격 통제의 역할을 하는 경우도 있습니다. OPEC과 같은 형태의 기구가 존재하고 있더라도, 만약 어떤 한 국가가 이 기구에서 정한 방식을 따르지 않고, 현재의 가격보다 더 낮은 가격으로 훨씬 많은 양의 석유를 수출하게 된다면 그 나라는 막대한 이익을 누릴 수도 있을 것입니다. Cartel이 형성된 경우라고 하더라도 이러한 유혹은 상존하기 때문에, 조약이나, 협정을 위반하는 경우에는 강력한 제재 수단을 발휘하는 상황이 발생할 수도 있을 것입니다.
19세기 후반 독일제국, 오스트리아, 헝가리 등에서는 카르텔 형태가 다양하게 펼쳐졌기 때문에 Lands of Cartel(카르텔의 나라)로 불릴 정도의 상황이 나타나기도 했습니다.
이처럼 '카르텔'이 지닌 달콤한 과실에 대한 유혹 때문에 국가 간 규모에서도 나타날 수 있고, 개인이나 기업 간의 형태에서도 나타날 수 있습니다. 이러한 카르텔의 문제를 해결하기 위한 대책을 법으로 규정하는 경우도 존재하는 이유가 되는 것입니다.
Cartel의 의미를 규정한 정치학자 Eugen Richter가 독일인이었던 관계로 독일어에서는 Kartell이라는 표기로 나타나고 있습니다. 독일어에서는 k로 나타난 글자 표기가 영어에서는 c로 표현되는 것을 볼 수 있습니다. C가 k로 발음되는 원리는 이탈리아어의 charta와 연관 지어 볼 수 있습니다.
Cartel에 관련하여 현재의 우리말 외래어 표현에서는 주로 '카르텔'로 표기하는 것을 볼 수 있습니다. 이 표현에는 영어에는 없는 '으' 발음이 끼어들어 '르'로 표현되는 것을 볼 수 있습니다. 우리말에서는 중요한 모음 중의 하나인 '으'발음이 알파벳에는 존재하지 않는 소리이지만 영어 발음에서는 자주 '으' 발음을 넣어서 표기하고 소리 내는 것을 볼 수 있습니다.
Cartel에 해당하는 발음을 "고제윤 글자(새 한글)"의 방식으로 표기하면 다음과 같습니다.
위의 글자 표기는 알파벳의 원리인 왼쪽에서 오른쪽으로 음소를 배열하는 방식의 표기를 맨 위에 적어놓았습니다. 알파벳과 같은 방식으로 훈민정음의 각각의 소리를 왼쪽에서 오른쪽으로 배열한다면 두 번째 방식의 글자 표기가 될 것입니다. 알파벳과 다른 훈민정음 방식은 모음을 중심으로 하나의 소리와 글자를 완성하는 방식이므로 '칼'까지가 하나의 글자와 소리가 되고, '텔'부분이 또 하나의 소리와 글자가 됩니다. 물론 받침으로 표기한 리을이 우리말 리을을 의미하는 것은 아닙니다. 영어 발음을 표기한 것이므로 앞의 r을 대체한 리을은 약하게 발음되지만, 뒤의 리을은 명확하게 소리가 나는 방법입니다.
pH 농도, pH농도의 수학적 이해, pH뜻 (0) | 2023.09.19 |
---|---|
pink 핑크, 패랭이 꽃, 분홍 색, 핑크 발음 : 고제윤 글자 (0) | 2023.09.18 |
메다와 미터, meter, 미터 발음 : 고제윤 글자 (0) | 2023.09.17 |
따블, 따따블, double 발음, 더블, 따블 : Meaning & pronunciation (0) | 2023.09.15 |
박씨 성 영어로, Pak, Park, Bark, Bag (0) | 2023.09.15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