상세 컨텐츠

본문 제목

따블, 따따블, double 발음, 더블, 따블 : Meaning & pronunciation

기호 언어학

by 새한글(고제윤) 2023. 9. 15. 21:13

본문

반응형

1. Double의 의미

 라틴어 duoplus에서 그 어원을 찾을 수 있는 double은 어원에서 의미하는 것처럼 '두 배'에 해당합니다. Duo가 가진 의미인 '둘'이라는 의미에 plus(더 많이)가 붙은 라틴어 duoplus가 영어에서는 double로 표기되어 사용되고 있습니다. '두 배'라는 의미의 twice와 같은 의미라고 할 수 있습니다.

double의 발음 표기

 Double에 해당하는 발음 표기를 나타내면 위의 글자에서처럼 표현할 수 있습니다. 위의 글자는 "고제윤 글자(새 한글)"의 표기 원리에 의해서 발음기호에 해당하는 각각의 글자를 표현한 것입니다. 발음 기호로는 [dʌbl]로 표현됩니다.

 이들 각각의 발음기호를 [ㄷ ㅓ ㅂ ㄹ]로 표현하였고, 영어에는 없는 소리인 '으'를 발음 표기에서 활용하여 '더블'로 나타낸 것입니다. 물론 d가 우리말 디귿과 완벽히 같은 소리는 아닙니다. 우리말 디귿은 무성음이고, 영어의 d는 유성음이기 때문에 영어의 d는 울림소리로 표현됩니다. 그럼에도 이 특성을 제외하고는 거의 같은 발음이라는 점에서 디귿으로 표현하였습니다.

2. 따블 발음의 원리

 Double을 발음으로 표기해 보면 위에서 처럼 '더블'로 표현할 수 있지만, 그보다는 '따블, 따따블' 등의 발음을 흔하게 볼 수 있습니다. 특히 '따블'이라는 표현은 주식시장에 상장되는 신규 주식의 첫 거래에서 시초가에 비해서 두 배로 오를 때를 지칭하는 경우에 자주 볼 수 있습니다. '따블'에 이은 '따따블'이라는 표현도 심심치 않게 찾아볼 수 있습니다. '따따블'이라는 표현 은 시초가의 두 배의 두 배가 되기 때문에 '4배'를 의미하는 경우를 표현하는 것을 볼 수 있습니다.

 저 역시도 지금은 사라진 풍경이지만, 정말 급하게 택시를 타야 할 경우에 '따블'이라는 표현을 사용하곤 했습니다. 심야시간이나, 고사장에 가야 하는 경우에 택시를 잡기 힘들었던 시절의 이야기입니다. 나온 요금의 두 배를 지불하겠다는 약속의 표현이었습니다.

 Double이라는 발음을 아무리 살펴보아도 '더블'에 해당하지만 '따블'이라고 표현하는 원리는 쉽게 보이지 않을 것입니다. 여기에는 숨겨진 언어 표현의 원리가 담겨있습니다. 

 언어에서는 일정한 규칙성을 가장 큰 근거 자료가 됩니다. 따라서 위의 '어' 발음이 '아'로 바뀌는 원리가 어떤 경우에 적용되는지를 살펴볼 필요가 있습니다. '어' 발음이 '아'발음으로 바뀌는 경우는 외래어 표기에서 두드러집니다. '어'발음인 경우가 '아'로 바뀌는 경우를 흔하게 관찰할 수 있습니다.

'어'발음을 '아'로 발음하는 사례

 위의 글자들에서 볼 수 있듯이 '어'발음이 '아'로 발음되는 다양한 사례를 볼 수 있습니다. 분명 현재의 한글로도 표현가능함에도 '어'가 아닌 '아'로 굳이 발음하는 원리가 무엇인지 또 그 근거를 찾아볼 필요가 있습니다. 언어는 그냥 제멋대로 받아들이는 것이 아니라, 일정한 규칙성을 가지고 있음은 주지의 사실입니다. 그 예로 수십 년 분단된 상태를 유지하고 있는 남북의 언어는 서로 다른 표현을 사용하는 경우가 있지만, 외국어 발음을 살펴보면 같은 민족이라는 확신을 할 수 있을 정도로 비슷한 발음을 하는 것을 볼 수 있습니다.

 '어' 발음을 '아'로 표현하는 원리는 일본어 방식의 언어 표현에 근거하고 있음을 볼 수 있습니다. 그 근거는 위의 발음들이 일본어 영어 발음과 같이 표현되고 있다는 점과, 일본어는 모음이 기본 모음을 놓고 보면, '아, 에, 이, 오, 우'의 다섯입니다. 위의 발음에는 '어'가 없습니다. '어' 발음이 없기 때문에 외국어나 외래어 발음에서 '어' 발음을 '아'로 발음하고 있고, 이 원리를 우리가 수용한 것입니다. 역사적으로도 충분히 그러합니다. Doble이라는 발음을 쌍디귿으로 발음하는 것 역시 같은 이유로 볼 수 있습니다. 물론 앞에서 말한 것처럼 영어의 d가 우리말 디귿과는 같은 소리가 아니고 유성음이기 때문에 약간 기름진 소리로 들리는 것을 볼 수 있습니다. Dance와 같은 발음을 생각해 보면 디귿보다는 쌍디귿으로 소리 내는 것을 볼 수 있습니다.

 Doble이라는 발음이 '따블, 따불' 등의 표현으로 사용되는 것은 이러한 언어적 환경을 바탕으로 형성된 것입니다.

 

반응형

관련글 더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