상세 컨텐츠

본문 제목

pink 핑크, 패랭이 꽃, 분홍 색, 핑크 발음 : 고제윤 글자

기호 언어학

by 새한글(고제윤) 2023. 9. 18. 14:06

본문

반응형

1. Pink의 의미

 우리말에서는 패랭이꽃에 속하는 색깔이 pink의 의미입니다. 색을 구분하는 경우 사물이나, 동식물에 비유하여 나타내는 표현이 등장하는 경우가 많이 있습니다. 우리말에서도 '살구색', '황토색', '무지개색' 등으로 표현하는 어휘들을 찾아볼 수 있습니다. Pink라는 단어 역시 '패랭이 꽃'의 색깔과 연관 지어서 나타내는 표현입니다. 패랭이 꽃은 학명으로 Dianthus라고 부르며, 그리스어에서 신을 의미하는 Dio와 꽃을 의미하는 Anthos가 합쳐진 표현입니다.

 오늘은 Pink라는 단어의 발음을 바탕으로 이와 관련된 여러 단어들의 발음 원리를 이해하고자 합니다.

2. Pink발음 계열 :  ink, sink, link, think, mink

 Ink의 발음을 가진 단어들을 보면 위에서 나타낸 ink, sink, link, think, mink 등의 단어들이 있습니다. 물론 이 이외에도 많은 단어들이 같은 방식으로 표현될 수 있습니다. 같은 발음을 가진 'ink'에 새로운 자음이 붙어서 그 의미가 달라지는 것을 볼 수 있습니다.

ink발음으로 연결되는 단어 들

 위에서 볼 수 있듯이 ink라는 같은 발음을 가진 여러 단어가 있습니다. 이들 단어들은 앞에 사용되는 자음의 변화에 의해서 그 의미가 달라집니다.

Ink 발음과 연결되는 자음 변화 형태의 단어들

 

 어떤 단어들은 자음 하나만을 가지는 경우가 있지만, drink와 brink의 경우에는 dr, br의 자음 두 개가 있는 경우도 있고, shrink의 경우에는 세 개의 자음이 'ink'앞에 붙어있는 것을 볼 수 있습니다.

 이들 단어는 공통으로 'ink'발음을 가지고 있으므로, 같은 방식으로 발음을 할 수 있습니다. Ink의 발음 원리만 알고 있다면 그 앞의 자음을 다양하게 변화시켜서 각각의 의미를 확장할 수 있을 것입니다. 우리말에서 만약 '알'이라는 발음을 이해하고 있다면 '갈, 살, 달, 쌀, 말, 발, 팔, 칼, 할, 날'과 같은 단어로 그 의미와 발음을 확장할 수 있는 것과 같은 원리입니다. 우리말에서 보더라도 '알'을 기준으로 그 앞의 자음을 변화시키면 새로운 단어가 되고, 또 다른 의미를 갖는 단어가 생성되는 것입니다. 여기에 영어에서 처럼 자음을 겹친다면 현재의 한글에서는 '쌀, 빨, 딸'과 같은 형태의 글자와 소리가 형성될 것입니다. 훈민정음 창제 당시에는 현재의 쌍시옷과 같은 자리에 시옷 비읍, 비읍 디귿 등의 방법으로 같이 표기하는 원리가 있었습니다.

세종어제훈민정음 원문 글자

 위의 "세종어제훈민정음"에서 볼 수 있듯이 시옷 디귿, 비읍 시옷 등이 함께 표기되는 것을 볼 수 있습니다. 영어 단어에서 br, dr과 같은 경우에 해당합니다.

 받침에서도 마찬가지의 원리가 적용됩니다. 오늘의 영어 단어 발음인 'ink'와 같은 경우에 n은 우리말에서 받침 '이응'으로 소리가 나고 k는 키읔에 해당하는 소리이므로 이응과 키읔을 받침으로 함께 표기할 수 있었습니다.

Ink발음의 고제윤 글자 표기(새 한글)

 즉, 위의 글자에서 보듯이 받침에 이응과 키읔을 함께 표기하고 웃는 얼굴로 표현된 자리에 새로운 자음을 넣으면 새로운 단어의 발음과 그 의미를 나타낼 수 있습니다. 시옷을 넣으면 sink가 되고, 피읖을 넣으면 pink가 되는 것입니다. 물론 주의해야 할 발음은 우리말에 없는 th발음과 같은 경우에는 그 발음에 맞는 표현과 소리를 넣어서 읽는 것입니다. Think와 같은 경우가 해당합니다. Th발음에 대해서는 "고제윤 글자(새 한글)"에서는 시옷 아래에 작은 동그라미를 그려 넣은 글자를 개발하여 표현하는 방법을 제시하였습니다.

 위에서의 발음 원리와 글자 표기 원리를 바탕으로 ink의 발음을 가진, sink, pink, mink, brink, drink, think, shrink 등의 발음을 함께 파악할 수 있을 것입니다.

반응형

관련글 더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