상세 컨텐츠

본문 제목

영어 속담, 피는 물보다 진하다. 제 눈에 안경 영어로, 고제윤 글자 표기

기호 언어학

by 새한글(고제윤) 2023. 11. 3. 18:08

본문

반응형

 

 영어 속담 A로 시작하는 경우에 뒤이어서 B와 C로 시작하는 속담들을 연재합니다. 

 

B

Barking dogs seldom bite.  짖는 개는 물지 않는다.

Beauty is in the eye of the beholder. 제 눈에 안경.

Beggars can't be choosers.  빌어먹는 놈이 찬밥 더운밥 가리랴?

Behind the clouds is the sun still shining.

구름뒤에 태양이 빛나고 있다.(고생 뒤에 낙이 온다.)

Better a live coward than a dead hero.  살아있는 겁쟁이가 죽은 영웅보다 낫다.

Better late than never.  늦더라도 전혀 하지 않는 것보다 낫다.

Birds of a feather flock together. 깃이 같은 새는 끼리끼리 모인다. (유유상종)

Blood is thicker than water.   피는 물보다 진하다.

Brevity is the soul of wit.

간결이 위트의 본질이다.

 

C

Care killed cat - 근심은 건강에 해롭다

Constant dripping wears away the stone. 

  없는 물방울이 돌을 뚫는다. 

Cry, and you cry alone. 

 울어라, 그러면  혼자서 울게 된다. (운다고 다른 사람이 슬픔을 함께 하는 것은 아니다)

Curiosity killed the cat. 

 호기심이 신세를 망친다. 

 

 오늘의 영어 단어는 "피는 물보다 진하다."에서 '진한, 두터운'의 의미를 갖는 thick입니다. 이 단어는 문장에서는 비교급으로 사용되었기 때문에 '~er than'의 형태를 취하고 있습니다. Thicker로 표현되면 '더 진한, 더 두터운'의 의미를 갖게 됩니다. 그리고 뒤에 나오는 than아래쪽과 비교하는 형태가 됩니다.

 Blood is thicker than water가 되면 비교의 대상은 blood(피)와 water(물)이 되고 blood가 비교의 대상인 water보다 '더 진하다'라는 의미를 갖게 됩니다.

 Thick의 발음은 우리말에 없는 th발음이 있습니다. 영어의 th발음은 우리말에서는 아예 존재하지 않는 소리입니다. 소리를 내는 방법이 윗니와 아랫니 사이에 혀를 물고 소리를 내는 방식입니다. 이 방식으로 우리말에서 소리를 내는 경우가 없습니다. 우리말에 없기 때문에 영어의 th소리는 '시옷, 쌍시옷'으로 소리를 내는 think, thank 등의 발음 부류가 있고, 우리말의 '디귿'으로 소리를 내는 this, those, mother, father 등의 발음이 있습니다.

Th발음의 두 가지 개발 표기

 우리말에 없는 발음이기 때문에 이 소리에 대해서 "고제윤 글자 표기(새한글)"에서는 이들 소리에 대해 각각 시옷 아래에 작은 동그라미를 그려 넣은 표기와 디귿 아래에 작은 동그라미를 그려 넣은 표기를 사용하여 표기하는 방법을 제시하고 있습니다. 시옷 계열로 인식되는 th에는 시옷 아래에 작은 동그라미를 그려 넣어서 표기하는 방법을 개발하였고, 디귿 계열로 인식되는 소리에는 디귿 아래에 작은 동그라미를 그려 넣은 표기를 개발하여 나타낸 것입니다.

 왼쪽의 글자 표기는 this, mother, father 등에 해당하는 발음이고, 오른쪽의 글자 표기는 think, thank, math 등의 번데기 발음에 해당합니다.

 오늘의 영어 단어 thick는 오른쪽의 th발음입니다. Think와 thank의 발음에 해당하는 발음입니다. 따라서 이 소리는 윗니와 아랫니로 혀를 살짝 물고 우리말 쌍시옷에 가까운 소리를 낸다는 기분으로 발음하면 됩니다. Thick에 해당하는 표기는 아래와 같습니다.

thick의 고제윤 글자 표기

 위에서 볼 수 있듯이 th발음에는 시옷 아래에 작은 동그라미를 그려 넣은 표기로 나타냈습니다. 위의 글자를 읽는 방법은 윗니와 아랫니로 혀를 살짝 물고 '앀'을 읽듯이 읽는 것입니다. 또한 받침에는 k에 해당하는 키읔을 표기하여 원래의 음가에 해당하는 소리로 나타냈습니다.

반응형

관련글 더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