영어의 th발음은 우리말에서는 think에서 보듯이, 시옷 혹은 쌍시옷으로 되거나, mother, father에서 보듯이 디귿으로 이해되는 경향을 보이고 있습니다.
이에 비해서 일본인들의 경우는 th를 우리말 지읒으로 이해하고 있습니다. mother가 '마자', father가 '화자' 처럼 발음되는 것을 볼 수 있습니다.
이러한 일본인들이 th를 지읒으로 이해하는 것을 우리가 흉내 낸 경우는 algorithm을 '알고리즘'으로 읽거나, leather(가죽)을 '레자'로 발음하는 경우에서 볼 수 있습니다. 친일의 발음이 그대로 유지되는 것입니다.
오늘은 th발음에 대한 구별과 글자 표기(고제윤 글자 표기)로 살펴보고자 합니다.
그리스 문자에서 여덟 번째에 해당하는 기호는 흔히 '번데기 기호'라고 부르는 theta(Θ, θ)입니다. 이 기호는 수학에서는 각도를 나타내는 경우에도 사용됩니다.
위의 글자는 1995년 이래로 "고제윤글자(새한글)"에서 개발하여 사용하고 있는 표기로 theta에 해당하는 영어 발음을 표기한 것입니다.
이 발음은 th의 발음기호로 사용될 때에는 "양 니로 혀를 살짝 물고 계속해서 마찰을 일으키며 나는 소리"에 해당합니다. 흔히들 '번데기'소리라고도 표현하는 발음으로 "thank you"의 'th'에 해당하는 소리입니다.
이 소리를 표현하는 방법으로 "고제윤글자(새한글)"에서는 위의 글자에서 보듯이 시옷 아래에 작은 동그라미를 그려 넣은 표기인 '시옷 순경음'을 개발하여 나타내고 있습니다. 이와 쌍을 이루는 this에 해당하는 소리는 디귿 아래에 작은 동그라미를 그려 넣은 '디귿 순경음'을 개발하여 나타내고 있습니다.
영어의 th 소리는 그동안 본 블로그에서 자주 언급하는 발음입니다. th가 그만큼 우리말과 글자에 없기 때문에 혼란을 가져온 소리이기 때문입니다.
th로 표기된 글자는 그동안 다양한 방법으로 읽어왔습니다.
1) 지읒으로 읽는 경우 : 일본인들의 발음 원리를 따라 한 경우
leather - 레자 algorithm- 알고리즘
2) 티읕으로 읽는 경우
therapy 테라피
3) 쌍시옷으로 읽는 경우
thank you 쌩큐
4) 쌍디귿으로 읽는 경우
thank you 땡큐
5) 디귿으로 읽는 경우
this 디스
시옷 순경음과 디귿 순경음 발음 방법
Thank you, think에서 사용되는 th 발음(Θ, θ)
번데기 발음, "고제윤글자(시옷 순경음)"의 발음 방법 : 양 니로 혀를 물고 '쌍시옷'에 가까운 소리가 계속해서 나오도록 하여 소리를 냅니다.
the, this, that에서 사용되는 th발음(ð)
"고제윤글자(디귿 순경음)"의 발음 방법 : 양 니로 혀를 물고 '디귿'에 가까운 소리가 계속해서 나오도록 하며, 목젖이 울리는 소리를 냅니다.
아래는 실제 단어의 발음에서의 예시입니다.
시옷 순경음 표기로 나타내는 영어 단어
health
영어 단어 therapy의 발음 표기
북쪽을 나타내는 영어 단어 north의 발음 표기
디귿 순경음 표기로 나타내는 영어 단어
algorithm
영어의 정관사 the
우리말에서는 같은 발음인 they와 day의 발음 연습입니다.
관련 동영상
https://www.youtube.com/watch?v=PTCvw0McTnQ
PPM단위, 숫자 단위와 언어 표현, 기호 표기 원리와 고제윤 글자 (1) | 2024.12.13 |
---|---|
헌법 영어로, 헌법의 뜻, constitution, 고제윤 글자로 (2) | 2024.12.10 |
AI시대의 영어 발음 표기는 고제윤 글자로 (0) | 2024.12.03 |
영어 인삿말 Good bye와 so long : 고제윤 글자로 (1) | 2024.12.03 |
PPM,LTV,DTI한 번에 이해하기 (8) | 2024.10.31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