상세 컨텐츠

본문 제목

헌법 영어로, 헌법의 뜻, constitution, 고제윤 글자로

고제윤 글자로 영어 발음 이해하기

by 새한글(고제윤) 2024. 12. 10. 03:00

본문

반응형

 

1. 헌법의 한자 헌(憲)에 담긴 의미

대한민국의 존재 원리를 규정하는 법률이 헌법입니다. 우리나라에서 가장 최고의 권위를 가지고 있고, 이 헌법을 바탕으로 다른 법률 들이 제정되는 과정을 거치게 됩니다. 헌법에 위반하는 법률인가를 판단하는 '헌법재판소'가 존재하는 이유이기도 합니다. 대한민국 국민으로서 공통의 마음과 원칙을 담은 법이라고 할 수 있습니다.

오늘은 헌법이라는 말의 어원에 대한 내용과 헌법의 고제윤 글자 표기입니다.

헌법의 한자 '헌'에 담긴 의미

뜻 글자인 한자어는 일정한 의미를 마치 사전의 의미처럼 담고 있는 경우가 있습니다. 이러한 한자를 회의자(會意字)라고 합니다. '헌'이라는 의미는 이러한 관점에서 볼 때 각각의 글자는 집, 울타리, 나라를 의미하는 집가(家)를 기본 모양으로 취하고 있음을 볼 수 있습니다. 때로는 천막, 울타리, 나라 등으로 지역적 개념을 담는 글자라고 할 수 있습니다.

눈을 나타내는 눈 목(目)자는 사람을 의미한다고 볼 수 있습니다. '지켜보고 있다' '사람' 등의 의미를 담고 있다고 할 수 있습니다.

저는 개인적인 관점에서 역사는 소수의 지배층에서 다수의 지배, 그리고 모든 사람이 권력을 갖는 과정이라고 생각합니다. 권력의 확장이고, 모든 사람이 사람이라는 단순한 사실 하나로 각각의 고유한 권력을 갖는 과정이라고 봅니다. 예를들어 '왕'- 소수 귀족 - 다수 귀족(양반사회)- 모두가 권력을 가진 사회(시민사회)로의 확장 과정이 인류의 역사라고 생각합니다. 즉 소수의 권력자에서 점차로 모두가 권력자가 되는 세상, 민주적 세상이 되고 있다고 봅니다. 그런면에서 이 눈은 이제 모두가 가진 권력으로의 확장을 이뤄냈다고 생각합니다. 더구나 오늘날에는 개인 모두가 또다른 눈( 휴대폰)을 가지고 실제의 모습을 그대로 관찰하고 누릴 수 있는 세상으로 확장되었다고 봅니다. 과거 권위주의 시대에는 진실을 숨기기도 했고, 억압하기도 했지만, 이제 우리 사회에 깨어있는 국민들의 눈이 세상을 보고 있다고 생각합니다. 그 눈으로, 모두가 자신의 권리를 가진 사회가 되어가고 있다고 보고 있습니다.

맨 아래 부분에 있는 마음 심(心)은 눈으로 본 사실을 마음으로 함께 나누는 과정이고, 민주적 절차에서는 마음을 얻는 과정이라고 생각할 수 있을 것입니다. 마음으로 이해하고, 마음으로 동의하는 과정을 거쳐서 비로소 헌(憲)이라는 한자가 완성되고 이것이 물이 흘러가듯 자연스러운 흐름을 의미하는 법 法(물 수水, 흐를 거去)의 과정으로 완성된다는 의미를 헌법이 담고 있다고 볼 수 있습니다.

2. 영어의 헌법(constitution)의 유래와 의미

 

영어단어 "constitution"은 라틴어 'constitus'에서 유래한 단어라고 볼 수 있습니다. 이 단어에서 con(m)은 우리말에서는 함께(together, with)라는 의미에 해당합니다. stitut는 라틴어statuere로 그 의미는 '두다,세우다, 만들다' 등의 의미를 담고 있다고 할 수 있습니다. 거기에 tion이라는 명사로 만드는 접미사가 붙어서 만들어진 단어라고 할 수 있습니다. 즉, "constitution"에는 '서로 힘(뜻)을 합쳐서 만들어낸 것'이라는 의미를 갖는다고 할 수 있을 것입니다.

이처럼 '헌법'은 한자어로 표현되었건, 영어로 표현되었건 그 안에 담긴 이미는 '모든 사람이 그 뜻을 모아 만들어낸 삶의 원칙'에 해당하는 의미라고 할 수 있을 것입니다. 국민 모두의 권리를 규정하는 가장 고귀한 가치를 담고자 하는 것이 헌법에 담겨있다고 할 수 있습니다.

우리헌법

대한민국 헌법은 아래의 링크를 통해 전체를 볼 수 있습니다.

https://www.law.go.kr/lsEfInfoP.do?lsiSeq=61603#

 

이 중 몇가지를 소개하면 다음과 같습니다.

헌법 전문

유구한 역사와 전통에 빛나는 우리 대한국민은 3ㆍ1운동으로 건립된 대한민국임시정부의 법통과 불의에 항거한 4ㆍ19민주이념을 계승하고, 조국의 민주개혁과 평화적 통일의 사명에 입각하여 정의ㆍ인도와 동포애로써 민족의 단결을 공고히 하고, 모든 사회적 폐습과 불의를 타파하며, 자율과 조화를 바탕으로 자유민주적 기본질서를 더욱 확고히 하여 정치ㆍ경제ㆍ사회ㆍ문화의 모든 영역에 있어서 각인의 기회를 균등히 하고, 능력을 최고도로 발휘하게 하며, 자유와 권리에 따르는 책임과 의무를 완수하게 하여, 안으로는 국민생활의 균등한 향상을 기하고 밖으로는 항구적인 세계평화와 인류공영에 이바지함으로써 우리들과 우리들의 자손의 안전과 자유와 행복을 영원히 확보할 것을 다짐하면서 1948년 7월 12일에 제정되고 8차에 걸쳐 개정된 헌법을 이제 국회의 의결을 거쳐 국민투표에 의하여 개정한다.

1987년 10월 29일

제1장 총강

제1조 ①대한민국은 민주공화국이다.

②대한민국의 주권은 국민에게 있고, 모든 권력은 국민으로부터 나온다.

제2조 ①대한민국의 국민이 되는 요건은 법률로 정한다.

②국가는 법률이 정하는 바에 의하여 재외국민을 보호할 의무를 진다.

제3조 대한민국의 영토는 한반도와 그 부속도서로 한다.

제4조 대한민국은 통일을 지향하며, 자유민주적 기본질서에 입각한 평화적 통일정책을 수립하고 이를 추진한다.

제5조 ①대한민국은 국제평화의 유지에 노력하고 침략적 전쟁을 부인한다.

②국군은 국가의 안전보장과 국토방위의 신성한 의무를 수행함을 사명으로 하며, 그 정치적 중립성은 준수된다.

제6조 ①헌법에 의하여 체결ㆍ공포된 조약과 일반적으로 승인된 국제법규는 국내법과 같은 효력을 가진다.

②외국인은 국제법과 조약이 정하는 바에 의하여 그 지위가 보장된다.

제7조 ①공무원은 국민전체에 대한 봉사자이며, 국민에 대하여 책임을 진다.

②공무원의 신분과 정치적 중립성은 법률이 정하는 바에 의하여 보장된다.

제8조 ①정당의 설립은 자유이며, 복수정당제는 보장된다.

②정당은 그 목적ㆍ조직과 활동이 민주적이어야 하며, 국민의 정치적 의사형성에 참여하는데 필요한 조직을 가져야 한다.

③정당은 법률이 정하는 바에 의하여 국가의 보호를 받으며, 국가는 법률이 정하는 바에 의하여 정당운영에 필요한 자금을 보조할 수 있다.

④정당의 목적이나 활동이 민주적 기본질서에 위배될 때에는 정부는 헌법재판소에 그 해산을 제소할 수 있고, 정당은 헌법재판소의 심판에 의하여 해산된다.

제9조 국가는 전통문화의 계승ㆍ발전과 민족문화의 창달에 노력하여야 한다.

 

이처럼 대한민국헌법은 "대한민국의 주권은 국민에게 있고, 모든 권력은 국민으로부터 나온다."라는 가슴 뛰는 표현을 담고 있습니다.

오늘은 헌법에 해당하는 영어 단어 constitution을 훈민정음을 활용한 영어 발음 표기(고제윤 글자)로 표현하고자 합니다.

위의 글자 표기는 지극히 민주적 원칙을 표방한 세종대왕(어린 백성이 이르고자 하는 바가 있어도, 제 뜻을 제대로 펼치지 못함을 안타깝게 여겨서 만들었다)는 훈민정음 표기를 그대로 구현한 방식입니다. 훈민정음이 지닌 소리 호흡의 방식을 기반으로 한 표기 원리이며, 영어의 음운 현상까지 담아낸 것입니다. 예를 들어 s뒤의 t가 우리말 쌍디귿으로 소리나는 현상까지 담았으며, 자음이 겹치는 경우에 같은 위치에 표기하는 방식을 그대로 사용하여 st를 표현하였습니다.

민주적 원리의 글자 표기 훈민정음에 담겨 있습니다. 그 표기 원리가 일제강점기를 거치면서 일본어 방식으로 훼손, 변질된 것을 복원한 방식입니다.

글자 표기의 민주적 역사

초기 인류는 극소수의 주술사와 같은 사람들에 의해서 사용되었고, 그후 조금 더 많은 사람들이 글자를 이해할 수 있었습니다. 우리나라에서도 한자를 이해하는 극소수의 사람들로부터 문벌귀족, 양반사회로 연결되는 약간의 확장 과정을 거쳤고, 세종대왕이 훈민정음을 창제함으로써 글자를 오늘날 거의 모든 사람들이 이해하는 글자 민주 사회가 되었습니다.

영어를 이해하는 과정 역시 비슷합니다. 극소수의 사람들 만이 영어를 이해하는 세상에서 오늘날 대부분의 사람들이 기본적인 읽고 쓰기는 가능해졌습니다. 하지만 우리의 영어 발음은 일본어 방식의 글자 표기와 발음 원리로 인해서 그 확장성에 제한을 받고 있습니다. 이 문제를 해결하는 방법으로 훈민정음을 활용한 글자 표기의 원리를 개발하여 표현하고 있습니다.

관련 동영상 강의

https://www.youtube.com/watch?v=PTCvw0McTnQ

훈민정음 활용 고제윤 글자 표기로 숫자 읽기

 

 훈민정음을 활용한 위의 글자 표기 동영상(17분 분량)을 참고하시면 달라진 소리와 훈민정음이 가진 놀라운 표기 원리를 경험하실 수 있을 것입니다.

반응형

관련글 더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