상세 컨텐츠

본문 제목

영어 인삿말 Good bye와 so long : 고제윤 글자로

고제윤 글자로 영어 발음 이해하기

by 새한글(고제윤) 2024. 12. 3. 12:39

본문

반응형

1. Good bye에 담긴 의미

 Good bye=God be with you

​ 영어 인삿말 중에서 작별 인사로 사용되는 Good bye와 So long이 있습니다.

 대부분의 인삿말이 그 유래를 명확히 찾기는 어렵지만 Good bye의 경우는 비교적 유래가 남아 있는 단어에 해당합니다.

Good bye는 "God be with you(하나님이 함께 하기를!, 하나님의 보호를!)에서 온 말입니다. 이 언어 표현에서 볼 수 있듯이 God be with ye(you)라는 말이 줄어서 사용되면서 오늘날 우리가 '굳바이, 굿바이, 빠이 빠이'라는 말이 된 것입니다.

이 인삿말에 영감을 받아서 "찬송가 222장(이전 524장)"이 작곡되기도 하였습니다.

Good bye=GOD be with yu

위의 긁자 표기는 1995년 이래로 "고제윤 글자(새한글)"의 표기 원리에 의한 good bye의 표기 입니다. 현재의 한글 표기로도 표현이 가능합니다.

 훈민정음 표기의 원리는 일제 강점기를 거치면서 받침 표기가 거의 사라지고, 일본어 방식의 한글 영어 표기가 주로 사용되게 됩니다. Good과 같은 원리의 food, wood, mood 등이 '푿, 욷, 묻'가 아니라, '푸드, 우드, 무드'처럼 사용된 것입니다. 같은 'ood'를 가진 말 중에서 good만 받침으로 '굳'으로 표기하고 있음을 볼 수 있습니다.

​2. So long에 담긴 의미

 다음으로 작별 인사에 사용되는 "so long"이라는 표현 역시 직역하면 "아주 오래"라는 말이 됩니다. 보통의 인사말과 어울리는 표현이 아니라는 것을 볼 수 있습니다. 이 말은 "Shalom"이라는 말에서 왔을 것이라는 주장이 있습니다. 그리고 저 역시 그 주장에 동의하는 입장입니다. 소리의 유사성 뿐만 아니라, 인사말이 내포해야 하는 의미 측면에서 그러합니다. 유태인의 인사말로 히브리어의 '평화'라는 의미를 갖고 있습니다.

위의 글자 표기의 원리 역시 1995년 이래로 "고제윤 글자(새한글)" 표기의 원리를 바탕으로 so long을 표현한 것입니다. 영어의 l 발음은 우리말과 글의 '쌍리을'로 표기하는 원리를 가지고 있습니다. 이는 일본어 방식의 한글 영어 표현인 받침으로 리을을 표현하지 못하고, 리을을 겹쳐서 표기하지 못하는 원리를 따라 한 경우를 극복하는 원리입니다. All right이 '오라이'가 되거나 balance가 '바란스' fleece'가 '후리스'가 되는 일본어 표기를 극복하는 원리가 될 것입니다.

전 세계의 모든 인사말에는 '따뜻함, 배려, 축복, 평화' 등의 말을 담고 있습니다. 아주 오래전에 나온 영화 Sound of music의 노래 가사 중에 " So long, Farewell, Auf Wiedersehen, Adue'와 같은 여러 나라의 '작별 인사'를 담은 내용이 있습니다. 독일, 프랑스, 영어 등의 언어로 '작별 인사'를 건네는 장면입니다. 소리야 어떠하든, 그 안에는 타인의 축복을 기원하는 말이 담겨 있습니다.

반응형

관련글 더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