상세 컨텐츠

본문 제목

PPM단위, 숫자 단위와 언어 표현, 기호 표기 원리와 고제윤 글자

고제윤 글자로 영어 발음 이해하기

by 새한글(고제윤) 2024. 12. 13. 13:31

본문

반응형

 PPM 단위와 숫자 언어

 PPM : Parts Per Million의 백만단위

 영어의 숫자를 의미하는 단위는 세 개씩 구분됩니다.  thousand, million, billion은 세 단위 읽기 표현입니다.

PPM : Parts(부분) per(~마다) million(백만) : 백만분의 얼마인가의 의미

백만 단위가 된 원리 : 1/1,000,000 영어 숫자 단어는 세 개의 단위로 나뉩니다. 백만분의 1 이라는 숫자에서 볼 수 있듯이, 숫자를 세 개씩 나누어 표현하는 방식입니다. 첫번째는 thousand(천), 그다음이 million(백만), billion(10억)으로 표현하는 방식입니다.

이러한 숫자의 언어 표현은 동양권에서는 네 개의 단위와는 다른 구조이기에 혼란이 생길 수 있습니다.

1. 숫자체계

영어의 숫자 체계는 세 개의 단위를 기본으로 사용하고 있습니다. 우리가 사용하는 숫자 단위는 4개를 기준으로 새로운 단위 숫자를 나타냅니다. 우리말에서는 숫자 체계를 나타낼 때 네 개의 단위 이후에 새로운 단위 숫자가 나오고, 영어의 경우에는 세 개의 숫자가 나온 후에 새로운 단위 숫자가 표현됩니다. 예를 들어 345678이라는 숫자를 놓고 보면 단위를 의미하는 곳에 쉼표(,)를 넣어서 표현해 보면 다음과 같습니다.

영어 : 345,678 : 3개 숫자 단위마다 새로운 언어 표현 thousand, million, billion의 숫자 언어 등장

우리말 : 34,5678 : 4개의 단위에서 새로운 언어 표현 등장, 만- 억- 조

더 큰 숫자가 되는 경우에도 똑같이 단위 숫자를 추가합니다. 무작위로 아무 숫자나 써 본다면

영어 : 234,567,892

우리말 : 2,3456,7892

처럼 세 개의 단위로 나타내는 영어권 방식과 네 개의 단위로 나타내는 방법인 동양권 숫자 표현 체계가 나옵니다.

우리말 숫자 단위

위의 숫자를 우리말로 읽으면 3억, 4567만, 8900이 됩니다. 즉 네 개의 숫자를 천 단위로 읽고 그다음에 단위 숫자인 억, 만이라는 단위 숫자를 넣어서 읽습니다.

숫자 단위와 언어표현

이에 비해서 영어의 숫자 단위를 우리말 방식으로 읽어보면 345million(백만), 678thousand(천), 900이 됩니다. 세 개의 백 단위 숫자를 읽고 그 후에 세 단위에 합쳐진 숫자 표현이 등장합니다.

따라서 영어의 경우에는 숫자 단위가 세제곱, 6제곱, 9제곱 형태의 숫자 단위가 존재합니다. thousand 다음에 million(10의 6제곱), billion(10의 9제곱) 형태의 단위를 갖게 되는 것입니다. 이러한 3제곱 단위를 사용하는 미국과 같은 경우의 숫자 표현을 short scale이라고 하고, 이보다 더 큰 숫자 단위인 6제곱, 12제곱의 숫자 단위를 표현하는 독일과 같은 경우에는 long scale이라고 분류하기도 합니다. 우리나라는 미국 방식의 short scale로 구분합니다.

2. PPM과 분수식

오늘의 영어 단위인 ppm은 Parts Per Million의 첫 글자를 따서 부르는 이름입니다. PPM에서 볼 수 있는 마지막 million이 우리말로는 백만(1000000)에 해당합니다. 당연히 PPB라고 하면 Parts Per Billion이 되고 세 자리 숫자가 증가한 단위 체계가 될 것입니다.

영어의 단위에서 예를 들어 '천분의 일' 다음에 '만 분의 일' '십만 분의 일'은 자주 사용하는 언어 표현에서는 등장하기 어려운 이유입니다. 세 제곱 단위 체계이므로 곧바로 '백만 분의 일'로 건너뛰는 언어 표현이 등장하고, 그보다 더 큰 숫자에는 '천만 분의 일'이나, '억 분의 일'을 건너 뛰고 '십억 분의 일'이 언어 표현에 등장합니다. 물론 숫자 표현으로는 제곱을 나타내므로 표현이 가능하고, 언어 표현도 가능하지만 대중적인 언어 표현 체계에서는 일반화되지 않는 것입니다. 세제곱 단위 표현은 언어에서 자주 사용되지만 그 사이 단위 값은 전문 분야에서만 사용되는 것입니다. 언어가 지닌 숫자 체계의 원칙이 그러하다는 말입니다.

3. 우리말 숫자 언어 체계

우리말에서는 억 단위 다음 단위로 '조'이라는 새로운 네 단위 용어를 사용하고, 그다음 네 단위 숫자 다음에 새로운 용어인 '경'을 등장시키는 형태의 숫자 언어 표현이 있습니다.

네 개 단위로 표현하는 것이 적합한지, 세 개 단위로 나누어 표현하는 것이 적합한지에 대해서는 논란의 소지가 있지만, 우리나라의 차량 번호에서는 뒷자리 번호에는 4개의 단위를 기준으로 하고 있고, 전화번호 역시 네 개의 단위를 기준으로 삼고 있습니다. 이 단위 역시 여러분의 전화번호를 생각해 보면, 세 단위 혹은 네 단위로 나누어져 표현되고 있는 것을 볼 수 있습니다. 다섯 단위로 표현하기에는 부담스러운 단위 체계일 것이고, 두 개의 단위로 표현하기에는 수요에 미치지 못하는 원리가 작용하고 있습니다.

4. PPM발음

오늘의 영어 단어는 ppm에서 parts는 부분을 의미하고 per는 (~마다)에 해당합니다. 이 중에서 per는 사실은 분수 표현의 분모에 대한 이야기입니다. 본 블로그의 퍼센트에서 설명한 것처럼 per cent는 /100에 해당합니다. Per라는 말은 분자와 분모의 경계인 빗금 줄(/)에 해당하고 cent는 100을 의미하는 단어입니다. Century라는 단어가 100년을 의미하듯이 cent의 의미는 100입니다. 즉 분모가 100일 때 분자를 읽는 방법입니다. 예를 들어 20%라는 말은 20/100에서 /(per)와 cent(100)을 차례대로 영어로 읽은 것입니다.

per의 의미

마찬가지로 위의 % 가 /100을 의미한다면 per million은 /1,000,000을 나타내는 단위가 됩니다. 당연히 세 자리를 앞으로 이동한 단위이므로 여기에 해당하는 million이라는 단어가 추가되는 것입니다.

ppm의 분수 표현

오늘의 영어 단어는 Parts Per Million에서 part입니다.

Part 고제윤 글자로

위의 글자 표기는 1995년 이래로 "새한글(고제윤 글자)"에서 개발하여 사용하고 있는 영어 발음의 훈민정음 방식의 표기입니다. 위의 글자에서 볼 수 있듯이 받침으로 리을과 티읕을 한 번에 표기하고 있습니다. 받침으로 두 개의 글자를 표기하는 원리는 현재의 한글에도 남아있는 방식으로 '삶, 앉, 옳, 핥,......'등에서 볼 수 있습니다. 이 글자 표기의 원리가 일제 강점기를 거치면서 점차로 줄어들고 특히 영어 발음의 한글 표기에서는 일본어 방식으로 변질되었습니다. 받침 표기 대신에 'ㅡ'를 넣어서 표기하는 원리입니다. Part의 경우 '파트'로 표기하여 받침으로 표기해야 할 티읕에 'ㅡ'를 붙여 자음과 모음의 새로운 발음 방식으로 변질되었습니다.

1995년 이래로 "새한글(고제윤 글자)"에서는 자음이 겹치는 영어 발음을 훈민정음 표기의 원리를 적용하여 표기하고 있습니다. 자음이 겹치는 개수에 제한을 두지 않고 각각의 소리에 맞춰 표기하는 방식입니다.

숫자와 훈민정음 활용 영어 발음 관련 동영상 강의

https://www.youtube.com/watch?v=PTCvw0McTnQ

숫자 읽기로 발음 교정
반응형

관련글 더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