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25년에 담긴 의미
연도를 나타내는 숫자는 그 출발점에 해당하는 기준이 있습니다. 우리가 사용하는 연도 2025년에는 '예수 탄생'이라는 의미를 그 기준으로 삼고 있습니다. 우리 각자가 태어난 해를 기준으로 '몇 살'이라고 하듯이, 2025년은 예수님이 살아 있다면 2025살이 된다는 의미가 됩니다.
알파벳으로 표현된 A.D. 와 B.C.는 그 의미를 다음과 같이 명확히 표현하고 있습니다.
위의 A.D.는 Anno Domini의 첫 글자를 따온 것으로 그 의미는 "Year of our Lord(우리 주 여호와의 해)"가 됩니다. 명확히 예수 탄생을 표현하고 있음을 볼 수 있습니다. 이러한 종교적 의미를 제거하는 방법으로 A.C.E(After Common Era)라는 표현을 사용하는 경우도 있습니다.
마찬가지로 B.C.는 영어 단어 'Before Christ'를 줄인 말입니다 '예수 탄생 이전'이라는 의미를 담고 있습니다. 그 기준이 되는 연도 이전에 해당한다는 의미가 됩니다. B.C. 역시 그 종교적 의미를 제거하는 방법으로 B.C.E(Before Common Era)라는 표현을 사용하는 경우도 있습니다.
우리의 나이가 자신의 출생 연도를 기준으로 삼아서 표현하듯이, 나라별로 각기 다른 연도를 계산하는 경우도 있습니다. 우리나라도 역사상 '영락'이라든가 하는 연호를 사용하는 경우도 있었고, 단군왕검이 나라를 세운 해를 기념하여 '단기'라는 연호를 사용하는 경우도 있습니다.
영어 연도 읽기와 발음
영어의 연도는 일반적으로 숫자를 두 개의 단위로 나누어 표현하고 있습니다. 훈민정음을 활용한 글자 표기(고제윤 글자)가 처음 시작된 해인 1995년을 영어로 나타낸다면 19와 95로 나누어 읽습니다. 영어로는 Nineteen, ninety five가 되는 것입니다. 이렇게 연도를 둘 씩 나누어 읽는 원리는 추정컨데 숫자 단위와 연관되어 있다고 볼 수 있을 것입니다. 예를 들어 1995년을 수학 숫자 처럼 읽으면 one thousand nine hundred and ninety five라는 긴 소리로 표현됩니다. Thousand라는 새로운 단위 숫자를 사용하는 상황이 발생하는 것입니다. 이렇게 긴 소리로 1995를 나타내기 보다는 짧게 표현하는 방법으로 큰 숫자를 읽어나간 것이라고 봅니다.
2025년의 발음
위의 글자 표기에서 볼 수 있듯이 tw는 자음 티읕과 반모음 w가 연결되고 이것을 훈민정음 표기 원리를 사용하여 하나의 위치, 즉 초성 자리에 표현했습니다. 일본어 방식의 발음으로 자음 뒤에 무조건 모음을 넣는 방식을 극복하는 원리입니다. 또한 영어의 음운 현상의 하나인 n뒤의 t는 빠른 발음에서는 거의 소리가 나지 않는다는 특성을 반영하여 왼쪽의 글자로 표현했습니다. 오른쪽의 글자는 t가 발음되는 경우를 나타냅니다.
25에 해당하는 소리는 20은 위의 방식으로 읽고 five를 발음하면 됩니다.
위의 글자 표기는 우리말에 없는 f와 v를 각각 피읖 아래에 작은 동그라미와 비읍 아래 작은 동그라미를 그려 넣은 표기로 나타냈습니다. 영어의 f소리는 윗니로 아랫입술을 물고 계속해서 마찰을 일으키는 소리라는 특성을 갖고 있습니다. 이 소리의 특성에 맞춰 "윗니로 아랫입술을 물고 '파' 소리를 낸다."라는 기분으로 발음하면 됩니다.
영어의 v소리는 "윗니로 아랫입숭를 물고 내는 소리이나, 목젖이 울리는 소리"에 해당합니다. 훈민정음의 글자 표기 원리를 사용하여 받침으로 표현했습니다.
관련 숫자 영어 읽기는 아래 동영상을 참고하시면 됩니다.
live 리브일까? 라이브일까? 고제윤 글자로 이해하기 (1) | 2024.12.25 |
---|---|
영어 발음과 훈민정음 글자, 고제윤 글자로 이해하기 (0) | 2024.12.22 |
PPM단위, 숫자 단위와 언어 표현, 기호 표기 원리와 고제윤 글자 (1) | 2024.12.13 |
헌법 영어로, 헌법의 뜻, constitution, 고제윤 글자로 (2) | 2024.12.10 |
th 발음, 영어 th, 일본인들은 th를 지읒으로, 고제윤 글자로 (1) | 2024.12.09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