상세 컨텐츠

본문 제목

노다지와 노터치, No touch의 발음 원리, 메다와 미터 고제윤 글자로

고제윤 글자로 영어 발음 이해하기

by 새한글(고제윤) 2025. 1. 8. 13:42

본문

반응형

1. 노다지 발음의 유래

 우리의 언어 생활에 들어온 외래어 중에서 일본인들의 발음을 흉내 낸 다양한 사례가 있습니다. 일제가 우리나라의 경제 침탈을 벌이는 과정에서 생겨난 표현도 있습니다.

일본인들이 우리나라의 은율, 제령, 온산 등의 광산 체굴권을 가져가고, 그 과정에서 한국인 노동자들을 고용하였습니다. 금을 찾기위해서 굴을 파내려가는 과정에서 '금맥'을 발견한 경우 No touch(만지지 마)라고 일본인들이 말했을 것입니다. 물론 일본인들의 영어 발음 '노타치'라고 했을 것입니다. No touch라는 말이 영어의 어법에 적확한 표현은 아닙니다. "Don't touch"가 맞는 표현이겠지만 일본인들의 언어 구조는 영어를 자기식으로 만들어 표현하는 경우가 많았기에, 충분히 그 의미는 전달했을 것입니다. "이제 부터 내것이니, 더이상은 만지지 마."였을 것이고, 이 말과 함께 금맥을 찾은 금광업자는 돈방석에 오르게 되었을 것입니다. 이 말이 우리말에서도 널리 사용되면서 '노다지'라는 발음으로 굳어진 것입니다. 

 *참고로 no는 일반적으로 명사를 부정하는 문장에 사용됩니다.

2. 노다지와 일본식 영어 발음

 우리말에 비해 일본어는 모음의 갯수가 적습니다. 우리가 흔히 모음을 '아,에,이,오,우'로 인식하는데 이 역시 일본인들의 모음입니다. 우리말 모음의 '어, 으' 등은 찾아볼 수 없습니다. 

 영어에는 No touch에서 보듯이 '어' 발음이 있고, 우리말 모음과 훈민정음의 표기에도 모음 '어' 가 있습니다. 바꿔말하면 우리는 '어' 발음을 할 수 있는 민족입니다. 그럼에도 굳이 일본인들처럼 모음을 제한하는 것을 볼 수 있습니다. No touch에서 볼 수 있듯이 '노우터취'라고 표현할 수 있음에도 '노다지'로 변경하여 사용하는 것입니다.

3. 일제강점기에만 그랬을까요?

 우리의 외래어 발음 몇가지를 보면 '어' 발음을 일본어 모음으로 '아'로 바꾸는 것을 볼 수 있습니다. Meter라는 단어의 발음이 '메다', Fiber가 '화이바'가 되며, Center가 '센타', Killer'킬라', perm이 '파마' dollar가 '달라'등등 무수히 많은 발음에서 '어'자리를 '아'로 바꾸는 것을 볼 수 있습니다. 결코 우연이 아닙니다. 언어가 지닌 고도의 법칙성이 일제 강점기를 거치면서 일본인들의 언어 구조를 흉내 내면서 생긴 것입니다.

우리말 속의 일본어 방식 영어 발음

 세종대왕이 창제한 훈민정음은 분명 '어' 발음에 대한 글자 표기를 가지고 있습니다. '어머니'라는 말에서 보듯이 '어'는 우리말과 글에서 중요한 역할을 하는 글자입니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우리의 언어에서는 일본어 방식의 발음을 고집하는 경우를 볼 수 있다는 것입니다.

 

 일본인들과 다르게 한국인들은 다양한 소리를 표현하고 글로 나타낼 수 있습니다.

https://youtu.be/PTCvw0McTnQ

 위의 링크는 훈민정음의 글자 표기 원리로 영어 발음 숫자 표기입니다. 

반응형

관련글 더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