상세 컨텐츠

본문 제목

px 피엓, PX 뜻, x와 엑기스 고제윤 글자로

고제윤 글자로 영어 발음 이해하기

by 새한글(고제윤) 2025. 1. 6. 22:04

본문

반응형

 1. PX : Post Exchange

 Post는 본 블로그의 다른 글에서 설명한 것처럼 '~후에'라는 뜻과 '기둥'을 의미하는 것을 볼 수 있습니다. 우리가 '우편'과 관련되어 post를 사용하는 것도 과거에는 우편물의 배달에 말을 사용하였고, 이 말을 갈아타는 곳, 혹은 말을 묶어 놓고 숙식을 해결할 수 있었던 상황에서 Post가 사용된 것을 볼 수 있습니다. Post Exchange라는 말을 줄여서 PX라고 부르고 있습니다.

2. 군대와 PX

 미국의 남북전쟁시대를 상상해 본다면 군인들에게 필요한 물품을 교환, 구매 등의 자리가 필요했을 것입니다. 물론 군대는 군수품을 보급하는 부대 역시 존재합니다. 하지만 군수품 뿐만 아니라, 기타 생필품 역시 필요한 단체입니다. 당연한 이야기이지만 군대도 사람 사는 곳입니다. 전방 부대에 근무한 분들은 아마 '황금마차'라는 말을 기억할 것입니다. 1주일에 한 번 혹은 그보다 부정기적으로 일반 PX의 기능을 하는 '황금마차'가 있었습니다. '황금마차'라는 표현에서 볼 수 있듯이, '마차'와 같은 기능을 하는 PX가 존재했었습니다. 물론 '마차'라는 말에서 말이 끌고 다는 것은 아닌가 생각하겠지만, 마차가 아니라 트럭이 산악 지대 험난한 길을 뚫고 다녔었습니다. Post exchange라는 말은 이러한 기능을 하는 경우를 부르는 경우였다는 것을 볼 수 있습니다.

 오늘날 PX는 '달팽이 크림'으로 더 유명해지기도 했습니다. PX는 부대별로 상황이 다르고, 규모도 각양각색이지만 기본적인 몇 가지 물품은 공통적으로 비치하고 있기도 합니다. 군생활에서 PX의 냉동 만두와 고추장 형태의 음식 역시 밋밋한 군대 음식에 양념 역할을 톡톡히 하기도 했습니다.

 

3. 엑기스와 X

 우리의 일상 생활에서 오랫동안 자리해 온 일본식 영어 발음이 있습니다. '엑기스'라는 말이 그것입니다. Extract(추출하다, 뽑아내다)라는 의미의 영어 단어에서 맨 앞 두 글자 'ex'를 일본식 영어 발음 '엑기스'라고 부른 것입니다. 일본인들은 오늘날에도 'x'를 '에크스'라고 발음하고 있습니다.

  한국인들의 경우 x를 대부분 '엑스'로 발음합니다. 그런데 일본인들은 왜 '에크스'로 발음하고 우리는 또 그 발음 형태를 흉내 내어 '엑기스'라고 했을까 의문을 가질 수 있을 것입니다. 사실 일본인들의 발음 원리를 이해한다면 그리 어려운 내용은 아닐 것입니다.

엑스와 엑기스 그리고 엓

 

 일본인들이라면?

 [eks]로 표현되는 발음이 있다면 이를 한글로 옮기면 [에 ㅋ ㅅ]처럼 될 것입니다. 이 경우 일본인들은 자음 키읔과 시옷을 독립된 소리로 이해할 수 없습니다. 반드시 여기에 모음을 넣어야 합니다. 'ㅋ'이라는 음소로 이해하는 것이 아니라, 여기에 모음을 붙여야 합니다. 그나마 외래어나 외국어에서는 우리말의 'ㅡ'와 같은 모음을 넣는 경우도 있고, 그 외에도 일본어의 다섯개의 모음을 넣기도 합니다. '에크스'라는 일본어 발음이 그래서 모음 'ㅡ'를 넣어서 발음되는 원리입니다.

 이에 비해서 훈민정음의 소리 표기 원리를 가진 한국인들은 '엑스'로 발음하는 것을 볼 수 있습니다. 받침으로 기역을 선택하여 발음하는 것입니다. 원래의 소리인 [eks]를 [ek]과 [s]로 분리한 것입니다.

 그런데 원래의 훈민정음은 받침에 제한이 없었습니다. 심지어 두 개 이상을 표기하기도 했습니다. 현재의 '옳, 앉, 않, 흙, 닭, 삶' 등에서 보듯이 두 개의 받침을 표기하는 원리가 있었습니다. 이 경우 [eks]는 각각의 소리를 [ㅔㅋㅅ]로 본다면 받침 키읔과 시옷을 한 번에 표기할 수도 있었습니다. 물론 현재에도 그 흔적이 남아 있기에 키읔 대신에 키읔을 쓰면 '엓'와 같은 글자 표기가 가능합니다. 키보드로 입력해보시면 이 글자 입력이 가능합니다.

 물론 훈민정음 표기 원리를 활용한 "고제윤 글자 표기"에서는 원래의 소리를 반영하여 기역이 아닌 키읔을 사용하여 표기하고 있습니다. '엓'라는 소리에서 볼 수 있듯이 우리의 글자 표기는 하나의 호흡을 가진 소리에 하나의 글자로 표기하는 방법을 가지고 있습니다. 이 표기 원리가 있음에도 굳이 일본어 방식을 추종했던 과거가 있었습니다.

 

아래의 링크는 1000개의 영어 단어를 일본어 방식의 원리를 벗어나 훈민정음 표기 원리로 단어 암기 원리를 제공하는 동영상입니다.


https://youtu.be/LU5ysy9YiiI

 

 일제 강점기의 글자 표기 원리를 극복하고, 훈민정음 표기 원리를 바탕으로 구성되었습니다. 무료 강의입니다.

반응형

관련글 더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