상세 컨텐츠

본문 제목

쌍비읍 영어로, pp, bb, 고제윤 글자로

고제윤 글자로 영어 발음 이해하기

by 새한글(고제윤) 2025. 1. 9. 17:46

본문

반응형

1. 영어에도 쌍비읍 발음이 있는가?

 영어에도 쌍비읍 발음이 있습니다. 발음기호로는 표시되지 않지만 한국인들의 귀로는 들을 수 있는 '쌍비읍' 소리가 있습니다. 음운 현상으로 이해할 수 있으며, 이를 글자로는 표현하지 않기 때문에 현지 언어 사용자들도 의식하지 못할 수 있지만 한국인들의 귀에는 다른 소리로 들리는 '쌍비읍'입니다.

 영어에서 '쌍비읍' 소리는 특수한 경우에 한정 됩니다. S뒤에 p가 올 경우에 나오는 소리입니다. 예를 들어 spoon, sports, spy, spring과 같이 s뒤에 p가 있을 경우에 그 p소리가 우리말 '쌍비읍'소리에 가장 가깝습니다. 

2. 한국인이라면?

 훈민정음 표기 원리를 이해하는 한국인들이라면, 영어에서 쌍비읍은 비읍에 해당하는 소리를 두 번 적으면 될 것이라고 생각할 것입니다. 문자 기호 원리상 그러합니다. 비읍을 두 번 적는다면 우리말 비읍에 가까운 소리가 b나 p이므로 bb혹은 pp로 적으면 될것이라는 결론에 도달할 것입니다.

 대표적인 사례가 있습니다. "쌍용"이라는 회사가 있습니다. 쌍용이라는 이름을 보면 쌍시옷이 들어가 있습니다. 따라서 시옷에 해당하는 글자인 s를 두 번 적으면 쌍시옷이 될 것이라는 생각을 했을 것입니다. 그 결과로 오늘날에도 사용되는, 하지만 외국인들이 처음에는 당황했던 SSang라는 로고 글자가 등장했던 것입니다. 영어에서 ss로 시작하는 단어도 없을 뿐더러 s는 실제로 쌍시옷 소리를 담고 있는 글자이기 때문에 ss를 겹쳐쓰는 것을 단박에 이해하기 어려웠던 것입니다.

3. 변별음 이론 

 사전을 편찬하거나 발음기호를 표현하는 과정에서 기본적 원칙이 있습니다. 실제 발음이 그 의미의 차이를 가져오지 않는다면 그것까지 사전에 표기하지 않는다는 원칙입니다. 바꿔 말하면 발음기호로는 변별음까지 담아서 표현하지 못한다라는 자기 변명이기도 합니다. 예를들어 spoon의 발음에서 [spu:n]으로 발음 표기를 했다면 [ㅅㅍ ㅜ ㄴ]으로 표기하지 굳이 [ㅅㅃ ㅜㄴ]으로 나타내지는 않는다는 것입니다. 영어에서는 우리말 피읖과 쌍비읍이 구별되는 소리가 아니라는 의미이며, 피읖으로 발음하건 쌍비읍으로 발음하건 의미를 전달하는데 지장이 없다는 의미이기도 합니다.

 

 이러한 근거에서 영어의 쌍비읍 소리는 한국인들의 귀에는 들리는 소리이지만, 현지 언어 사용자들은 '비읍'과 '쌍비읍'은 구별되는 소리가 아니라는 것입니다. 따라서 우리말 비읍을 영어로 표현하기에는 적합하지 않지만 bb처럼 표현하거나 pp처럼 굳이 그 차이를 나타내고자 하는 경향도 보이고 있습니다.

 

 다른 언어들, 예를 들어 에스파니아어나 말레이 인도네시아어 등에서는 p가 우리말 쌍비읍 소리입니다. 이들 언어에서는 쌍비읍을 표현하기 위해 pp라고 쓰는 것이 아니라 p자체가 우리말 쌍비읍 발음입니다.

 

4. 발, 팔, 빨 구별

 우리말에서는 발, 팔, 빨이 분명 구별되는 소리입니다. 이에 비해서 영어에서는 우리말 발, 팔, 빨을 구별해서 표현하기가 어렵습니다. 우리말 비읍이 영어의 b라고 생각하기 쉽지만 엄밀히 말하면 영어의 b는 목젖이 울리는 소리(유성음)이기 때문에 다른 소리입니다. 다행인 것은 영어의 p와 우리말 피읖은 소리를 내는 방법이나, 구조도 같습니다. 외국인들이 '빨리와'라는 발음을 '팔리와, 발리와'처럼 발음하는 것을 볼 수 있을 것입니다. 그들의 귀로는 우리말 비읍과 피읖 그리고 쌍비읍이 구별되지 않기 때문에 생기는 현상입니다. 마치 우리가 영어의 p와 f를 구별하기 힘든 것과 같은 이치입니다.

5. Alphabet의 한계와 훈민정음 표기

 알파벳은 특히 영어의 경우 글자와 소리가 완벽하게 일치하지 않습니다. 발음 기호 없이는 그 소리가 어떤 것인지 이해하기 어렵다는 것입니다. 발음기호 역시 변별음을 표현하지 않기 때문에 그 한계를 가지고 있음을 볼 수 있습니다.

 훈민정음의 글자 표기 원리는 발음 기호가 담아내지 못하는 소리까지도 담아낼 수 있으며, 음운 현상을 고려한 발음 표기도 가능합니다.

소리 글자 alphabet과 훈민정음

 알파벳은 단순히 글자의 가로쓰기인 반면에 훈민정음 표기 원리는 소리의 호흡에 맞춰 모음을 기준으로 자음을 배열하는 구조입니다. 그리고 그 소리들이 어떻게 하나의 호흡을 이루어 내는지의 원리도 담고 있습니다.

 오늘은 쌍비읍이라는 표기를 가지고 훈민정음 표기 원리의 우수성을 생각해 보았습니다.

https://youtu.be/PTCvw0McTnQ

 위의 동영상은 훈민정음 표기 원리를 적용하여 고제윤 글자로 표현한 숫자 읽기 입니다. 소리 호흡의 원리를 경험할 수 있을 것입니다. 

반응형

관련글 더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