상세 컨텐츠

본문 제목

발음기호 한글로 이해하기, 훈민정음 표기 고제윤 글자로

고제윤 글자로 영어 발음 이해하기

by 새한글(고제윤) 2025. 1. 16. 12:39

본문

반응형

1. 발음기호와 알파벳

 발음 기호를 알파벳으로 이해하는 경우가 있습니다. 비슷한 글자 모양이기 때문에 같은 것 아닌가?하는 생각을 가질 수 있을 것입니다. 발음 기호는 영어와 같이 알파벳으로 표현된 글자가 소리와 다르기 때문에 생겨난 것입니다. 18-19세기에 걸쳐서 많은 언어학자들이 이 문제를 해결하는 방법으로 고대의 글자를 가져오거나 새로운 기호의 조합을 통해서 소리에 대한 글자의 일치를 이루고자 만들어낸 기호입니다. 마치 수학 기호처럼 기호로서 만들어낸 것입니다.

 예를 들어 'th'로 글자가 표기된 think와 this의 경우 같은 th로 되어있지만 완전히 다른 소리라는 것입니다. 글자는 같은데 다르게 읽어야 하는 경우를 해결하는 방법으로 우리가 아는 번데기 기호와 같은 기호를 가져와서 사용하게 된 것입니다. 근본적으로 알파벳이 완벽한 소리를 표현해내지 못하기 때문에 생긴 현상입니다. 초기에는 워낙 다양한 기호들이 사용되었기 때문에 학자마다 다르게 표현하였고, 이러한 혼란을 극복하는 방법으로 IPA와 같은 학회를 만들어 통일된 발음 기호를 논의하였던 것입니다.

 과학 기술의 발달과 함께 소리를 분석할 수도 있었고, x-ray사진을 활용하여 어떻게 소리를 내는지도 이해할 수 있게 되었습니다. 오늘날에도 완전히 통일된 발음 기호라고 정의하기는 어렵지만 IPA의 기준을 적용하여 발음 기호를 표현하고 있습니다. 하지만 여전히 구글에서의 발음 기호 표현과 우리나라의 네이버의 발음 기호가 똑같지는 않다는 것을 볼 때 소리를 완벽하게 통일된 기호로 표현해내지는 못하고 있습니다.

2. 발음기호와 우리글

 발음기호나 알파벳은 똑같이 음소를 왼쪽에서 오른쪽으로 가로 쓰기 형태를 취합니다. 그 결과로 소리의 단위로 나뉘는 글자가 아니라 의미 단위의 단어 형태로 글자를 배열하는 방식입니다. Afternoon이라고 되어있는 글자를 생각해보면 af/ ter/ noon처럼 소리 단위로 발음되겠지만, 이렇게 글자를 띄어서 나타내지는 않는다는 것입니다. 소리의 가장 기본 구성 단위인 음소만을 가로쓰기 형태를 취하고 있다는 것을 알 수 있습니다.

 이에 비해서 세종대왕은 훈민정음의 글자 원리에서 소리 호흡의 단위로 글자를 배열하는 방법을 사용했습니다. 하나의 글자에는 하나의 소리 호흡이 나타나도록 하는 방법입니다. 실제로 모든 하나의 우리글에는 하나의 소리 호흡이 있음을 볼 수 있습니다. 사람의 소리 호흡과 일치하는 방법이라는 것입니다.

3. 발음기호 읽기

 우리가 영어와 같은 언어를 읽기 위해서는 발음기호로 표현된 각각의 소리가 어떤 소리를 의미하는지 이해하고 그 소리를 우리글의 형태로 변형하는 과정이 중요한 것은 이처럼 서로 다른 글자 배열 방식에서 비롯됩니다. 또한 음소 배열만을 하는 글자를 소리 호흡의 글자로 이해하는 과정 역시 필요한 것입니다. 물론 우리말에 없는 소리에 대한 이해를 바탕으로해야 하는 것은 당연한 것입니다.

 아래의 동영상은 영어에는 있지만 우리말에는 없는 발음들을 이해하도록 하기 위해 훈민정음의 글자 표기를 사용하여 표기한 내용입니다.

https://youtube.com/watch?v=osasdtWHeUE&feature=share

 

 위의 동영상에서처럼 우리말에 없는 소리는 발음 기호를 다른 소리를 표기하기 위해 개발했듯이 다른 기호로 표기함으로써 명확히 소리를 구별하는 기능을 할 수 있을 것입니다.

발음기호 한글로 읽기, 고제윤 글자 표기

 우리말에서 혼동되는 단어들을 구별하는 방법은 위의 글자 표기 원리와 같습니다. 훈민정음의 글자 표기 원리를 적용하여 서로 다른 소리를 다른 글자로 표기하는 방법입니다. 이때 사용된 글자는 훈민정음 창제 당시의 글자를 사용하는 경우도 있고, 훈민정음의 소리 표기 원리를 적용하여 개발한 글자 표기 방법도 있습니다.

4. 발음이 달라지는 신기한 글자 원리 

 발음 기호를 사용하여 소리를 제대로 표현하고자 했듯이, 세종대왕은 이 모든 원리를 이해하고, 소리를 완벽하게 글자로 표기해내는 방법을 창안해냈습니다. 분명히 달라진 글자 기호로 표기해낸 부분을 다르게 발음하고자 노력하는 자신의 모습을 발견해낼 수 있을 것입니다.

반응형

관련글 더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