상세 컨텐츠

본문 제목

알파벳 한글로 읽기, 고제윤 글자로 알파벳 읽기

고제윤 글자로 영어 발음 이해하기

by 새한글(고제윤) 2025. 1. 16. 00:58

본문

반응형

1. 알파벳 한글로 읽기 : 고제윤 글자 표기로 읽기

 우리는 대부분 외국어를 학습하는 과정에서 자신이 익힌 언어(모국어)를 기반으로 이해하게 됩니다. 이것은 지극히 자연스러운 현상이지만, 때로는 제대로 학습하기에 어려움을 가져오기도 합니다. 자신의 언어를 기준으로 이해하기 때문에 오래된 소리 표현 습관을 변화시키기 어렵습니다.

 실제로 우리는 남과 북으로 분단된 현실을 마주하고 있고, 일체의 교류는 거의 금지된 상태입니다. 이렇게 분단된 상황에서 외국어 학습도 이뤄집니다. 놀라운 현상은 이렇게 분단된 국가로 지내고 있지만, 영어 발음을 남한 사람과 북한 사람을 놓고 비교해보면 거의 비슷한 발음을 한다는 사실입니다. 이러한 현상은 자기가 배운 소리를 기반으로 하는 학습의 결과이외에는 달리 설명할 방법이 없습니다. 비록 정치적으로 분단되어 있지만, 언어의 기본 표현은 다르지 않다는 것이며, 이는 외국어 학습에 그대로 적용된다는 사실을 반증한다고 할 수 있습니다.

https://youtube.com/watch?v=osasdtWHeUE&feature=shared

 

 

 물론 이러한 자신의 언어 간섭 없이 외국어를 익힌 경우와, 많은 노력이 수반된 교육이 이루어졌다면 서로 다른 소리를 제대로 표현할 수 있을 것입니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현실적으로는 자신이 배운 소리를 그대로 표현할 수 밖에 없으며, 이러한 현상을 '모국어 간섭현상'이라고 표현하기도 합니다.

2. 제대로 발음해 보기

 외국어 학습에서 어려움은 자신의 언어와 다른 언어의 소리를 제대로 이해하는 과정이 필요하다고 볼 수 있습니다. 우리는 소리를 글자로 표기하는 훌륭한 문자 체계인 훈민정음의 원리를 가지고 있습니다. 이 소리 글자의 원리를 바탕으로 소리를 이해하는 방법이 효과적일 수 있다고 할 수 있을 것입니다.

 예를 들어 위의 동영상에서 제시하는 것처럼 영어의 b와 v를 한국인들은 구별하기 어렵습니다. 하지만 이 둘이 명백히 다른 소리이기에 다른 글자 표기로 표기하는 방법으로 제대로 소리를 이해하는 방법을 제시하고 있습니다. B는 우리말 비읍과는 똑같지는 않지만- 영어의 b는 유성음- 비읍으로 표현한다면 영어의 v는 훈민정음 표기 원리를 활용하여 비읍 아래에 작은 동그라미를 그려 넣은 글자로 나타내는 방법이 그것입니다.

우리말에 없는 소리 고제윤 글자로

 우리말에 없는 영어의 발음은 위의 글자와 같이 표기하여 나타내는 방법입니다. V소리에는 비읍 아래에 작은 동그라미를 그려 넣은 표기를 사용하여, b와 구별하고, f소리는 p와 구별하여 피읖 아래에 작은 동그라미를 그려 넣은 글자를 개발하여 나타내는 방법입니다.

 이렇게 서로 다른 소리에는 서로 다른 표기를 사용하고, 각각의 소리의 특성을 설명하여 표기한다면, 명확히 다른 소리를 가진 외국어의 발음을 표현할 수 있습니다. 훈민정음을 활용한 고제윤 글자의 표기 원리입니다.

 구체적인 표기 방법으로는 b는 '비'라고 읽는다면 v는 "윗니로 아랫입술을 물고 계속해서 마찰을 일으키며 내는 소리"라는 설명을 곁들여서 이해하는 방법입니다. 글자로 구별하기 위해서 비읍 아래에 작은 동그라미를 그려 넣어서 이해하도록 하는 것입니다.

 3. 알파벳 훈민정음 표기 : 고제윤 글자

 현재의 한글은 우리말에 없는 소리에 대한 표기가 없습니다. 하지만 놀랍게도 훈민정음을 창제한 세종대왕은 모든 소리에 대한 표기가 가능한 원리를 제시하고 있습니다. 훈민정음의 소리 글자에 담긴 원리를 활용하여 나타낸다면, 우리말에 없는 외국어를 학습하는데에도, 소리 글의 놀라운 효과를 경험할 수 있을 것입니다.

 훈민정음을 활용한 고제윤 글자 표기는 1995년이래로 30년의 세월 동안 이 방법을 제시하고 있고, 학습에서도 활용하고 있습니다. 실제로 이렇게 소리를 이해하는 과정을 구체적인 현장에서 경험한 결과입니다.

 

반응형

관련글 더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