상세 컨텐츠

본문 제목

고속도로를 달리는 운전자라면 알아야할 IC, JC 구별과 발음, 고제윤 글자로

고제윤 글자로 영어 발음 이해하기

by 새한글(고제윤) 2025. 1. 18. 13:16

본문

반응형

 1. I.C.J.C.의 차이

  I.C. : InterChange - 일반도로에서 고속도로, 고속도로에서 일반도로로 변화

 J.C. : Junction : 같은 도로끼리 연결, 영동고속도로에서 중부고속도로

 

 I.C. : Interchange라는 말에서 change(변화, 변경)이라는 용어에 주의해서 생각하면, 그 의미를 이해할 수 있을 것입니다. 즉, Change라는 말에서 볼 수 있듯이, 어떤 변화가 생기는 것이고, 도로에서의 변화는 일반도로에서 고속도로로, 혹은 고속도로에서 일반도로로 바뀌기 시작한다는 의미로 이해할 수 있습니다. IC는 고속도로와 일반 도로가 만나는 경우에 흔히 사용된다는 점에서 고속도로를 나와 일반 도로로 들어가는 과정을 거치게 됩니다. 따라서 Toll Gate(요금소)가 떡하니 기다리고 있는 경우가 많이 있습니다. 우리나라의 경우 요금소와 IC가 꼭 고속도로가 끝나는 지점을 의미하는 것은 아닙니다. Toll Gate는 요금 징수의 편의나, 도로 환경을 고려하여 설치되기 때문에 반드시 일치하는 것은 아닙니다.  제가 자주 이용하는 영동고속도로의 경우에는 서창 IC를 한참 지난 후 소래포구를 지나서 인천에 왔다 싶을 때 고속도로 종점이라는 표시를 볼 수 있습니다.

 반면에 JC는 고속도로와 고속도로가 만나는 경우에 해당한다고 볼 수 있습니다. Junction이라는 말에서 볼 수 있듯이 '접속, 연결'된다는 의미를 가지는 것에서 유추해 볼 수 있습니다. 예를 들어 영동고속도로와 중부고속도로가 만나는 지점과 같은 경우에 해당한다고 볼 수 있습니다. 같은 고속도로끼리 서로 이름이 다른 연결지점이라는 의미라고 볼 수 있습니다.

 IC는 영국식 영어에서 볼 수 있듯이 Grade- seperated(일반-고속처럼 그 등급이 변하는 것) 혹은 도로의 차이라는 점에서 JC와는 다른 의미를 갖는다고 볼 수 있을 것입니다.

 

2. Junction 발음

 1) 받침 글자의 원리

 위의 글자에서 볼 수 있듯이 영어 발음의 이응에 해당하는 글자와 키읔에 해당하는 글자를 받침에 함께 표기하고 있습니다. 받침에 두 개 이상의 글자를 표기하는 방식은 훈민정음의 독창적인 문자 표기의 원리입니다. 또한 받침에 두 개의 글자를 쓰는 말이 있다면 모두 순 우리말이라고 생각해도 됩니다. 모음을 기준으로 하나의 글자를 완성하는 분절음 표기의 원리를 적용하기 때문에 생긴 것입니다.  받침 표기 원리는 '삶, 흙, 옳, 앉,....'등의 글자 표기에서 볼 수 있듯이 순우리말에 해당하는 말들인 것입니다. 일본어나 중국어로는 표기하기 어려운 방식입니다. 또한 로마자로 대표되는 언어권에서는 자음이 겹치더라도 그대로 순서대로 써나가면 되기 때문에 우리의 훈민정음 방식과는 다르다는 것을 볼 수 있습니다. 알파벳은 단순한 가로쓰기의 방법을 사용하는 반면에 우리글은 받침 표기라는 독특한 방법이 있습니다.

 자음이 겹치는 글자는 일본어의 경우에는 절대적으로 표기할 원리가 없기 때문에 '''' 등을 넣어서 표기하고 있습니다. 일본인들의 영어 발음을 보면 받침 표기를 제대로 할 수 없기 때문에 모음을 하나씩 덧붙이는 것을 볼 수 있습니다.

 일제강점기를 거치면서 우리의 경우도 훈민정음 방식의 소리 표기 원리가 아니라, 일본어 방식의 표기 원리로 변질되면서 외국어나 외래어의 경우에 모음 ''를 붙이는 방식이 사용되고 있습니다.

  Junction 같은 경우에는 '정크션' 으로 발음하거나 '정션'으로 발음하면서 키읔을 어정쩡하게 처리하는  것을 볼 수 있습니다 이러한 표기의 어설픈 상황을 받침으로 두 개의 자음을 표기하는 방식으로 해결할 수 있을 것입니다. 그리고 이러한 표기의 원리를 훈민정음의 소리글자 표기 원리는 담고 있음을 볼 수 있습니다.

 

* 훈민정음 표기를 활용한 고제윤 글자 표기의 마음은 아래 동영상을 참고하시면 됩니다.

https://www.youtube.com/watch?v=3NZoKZXFHWM

 

 

 

반응형

관련글 더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