상세 컨텐츠

본문 제목

스무디를 좋아하세요? 스무스, 스무드 smoothie, 고제윤 글자로

고제윤 글자로 영어 발음 이해하기

by 새한글(고제윤) 2025. 1. 18. 14:03

본문

반응형

 

 1. s와 th발음 : 스무스, 스무디 smoothie

 Smooth'매끄러운, 부드러운, 고루 잘 펴진' 등의 의미를 갖는 단어입니다. 속어에서는 'stylish'라는 단어와 같은 의미로 사용되기도 합니다 삐걱 거리는 것 없이 매끄럽게 처리되는 상황에서 사용되기도 합니다. Smoothie라는 단어 역시 자주 사용되고 있습니다. '스무디'는 신선한 과일을 갈아서 얼음, 요구르트 등을 곁들여 만든 음료입니다.

 그런데 같은 발음을 가진 smooth를 '스무스' 혹은 '스무드'로 뒤섞여 발음되거나, smooth는 '스무스'로 읽는데, smoothie는 '스무시'라고 발음하는 경우는 없습니다. 과연 원래의 smooth발음은 어떤 것이고, smoothie는 어떻게 읽어야 하는지를 살펴보겠습니다.

 1) smooth발음

 오늘의 영어 단어 smooth는 '스무스, 혹은 스무드'로 사용되는 영어 단어는 모음이 하나인 일음절의 단어입니다. 1음절이라는 의미는 모음이 하나라는 말이며, 훈민정음 표기 원리를 적용한다면 하나의 글자로 표현할 수 있을 것입니다. 우리가 사용하는 훈민정음 방식의 문자는 음절 단위를 하나의 소리 호흡으로 생각하고 있습니다. 하나의 소리 호흡이 만들어지는 과정에서 핵심은 모음이 단위가 되며, 모음 하나에 하나의 글자를 형성하는 것입니다.

 Smooth를 놓고 보면 모음은 oo 부분에만 존재합니다. 나머지 sm, th는 모두 자음에 해당합니다. 결국 이 글자를 훈민정음 방식의 원리로 표현한다면 하나의 글자여야 한다는 것을 알 수 있습니다. 그러나 우리는 '스무스'라는 세 개의 글자를 사용하여 나타내고 있습니다. 이렇게 세 개의 글자로 표현하는 원리는 영어에는 없는 소리 기호인 ''를 사용하는 원리와, 일제강점기를 거치면서 일본어 방식의 원리가 끼어들면서 생긴 현상입니다.

2) sm이 겹칠 때 : 자음 겹침

 Smooth에서 sm 부분에 해당하는 소리를 놓고 보면 시옷과 미음이라는 우리글 표현원리를 적용할 수 있습니다. 이 원리는 자음이 두 개 겹치는 상황입니다. 자음이 겹치는 경우에는 각각의 소리를 그대로 겹쳐서 표현했습니다. 일제강점기를 거치면서 현재에는 첫소리에 자음이 겹치는 경우는 ㄲ, , , ㅃ 등의 글자 겹치는 표기만 남아있습니다.

 예를 들어 ''이라는 글자 표기로 사용되기 이전에는 시옷과 기역이 첫 소리에 겹쳐 있는 것을 볼 수 있습니다. 서로 다른 자음이 겹칠 때에도 그 소리에 맞춰 그대로 표기하는 방식입니다. 시옷과 기역처럼 서로 다른 글자 표기는 현재에는 모두 쌍기역처럼 표기되는 형태로 변화되어 사용하고 있습니다.

 받침 표기에서도 마찬가지입니다. 받침 표기 방식은 훈민정음이 지닌 독특한 문자 구조이며, 음절 단위 표기라는 특성을 확정하는 중요한 기준입니다. 모음 하나에 하나의 글자이고, 나머지 자음은 거기에 덧붙여서 표현되는 원리입니다.

2. Th소리

1)  Th 소리를 시옷으로 표기하는 원리

영어의 th에 해당하는 소리는 현재의 우리글에는 없습니다. Th 발음에 해당하는 소리가 우리말에 없기 때문입니다. Th에 해당하는 소리는 양 니로 혀를 살짝 물고 있으면 그 옆으로 바람이 빠져나가게 됩니다. 옆으로 빠져나가는 소리가 때로운 우리말 시옷 소리와 비슷하게 들리기도 하고, 디귿 소리로 들리기도 합니다.

th발음 고제윤 글자로

 발음기호로는 위의 글자 표기에서 보듯이 두 개의 발음에 해당합니다. "고제윤 글자 표기"에서는  훈민정음 창제 당시의 표기 원리를 참고하여 시옷 아래에 작은 동그라미를 그려 넣은 표기와, 디귿 아래에 작은 동그라미를 그려 넣은 표기를 사용하여 나타내고 있습니다.

 Smooth에 해당하는 ththis, that, them 등의 th에 해당하는 소리로 오른쪽의 발음기호에 해당합니다. 이 소리는 "양 니로 혀를 물고 그 옆으로 소리가 나가고, 목젖이 울리는 소리"입니다. 이 소리를 한국인이 소리내기 어려운 것은 우리말에 없기 때문입니다. 게다가 이 소리는 계속해서 마찰을 일으키는 소리라는 특성도 함께 지니고 있습니다. 따라서 아래의 발음을 표기한 글자를 각각의 소리 원리에 맞게 연습해 보신다면 충분히 소리를 낼 수 있을 것입니다.

 

3. smoothie발음 제대로 표기하기

오늘의 영어 단어 smoothie를 훈민정음 표기 원리에 맞춰 하나의 글자로 표기하면 다음과 같습니다.

smoothie 스무디, 고제윤 글자로

 위의 글자 표기는 ''의 훈민정음 표기 방식과 같이 시옷 기역을 합치는 표기처럼 시옷과 미음을 하나의 자리에 표기한 것입니다. 또한 th 소리에 해당하는 발음에는 디귿 아래에 작은 동그라미를 그려 넣은 표기를 사용하였고, 이들 글자를 하나의 글자 형태로 완성한 것입니다.

이러한 글자 표기의 원리는 훈민정음 창제 당시에 세종대왕이 구상한 우주관과 닮아 있습니다. 하늘의 글자와 땅의 글자, 그리고 사람의 글자가 합쳐져서 하나의 소리를 형성한다는 원리입니다. 이 글자 표기의 원리를 구현하여 영어 발음에 맞춰 표기하면 s는 시옷으로 m은 미음으로 oo에 해당하는 발음은 ''로 그리고 th 발음 중에서 우리말 디귿과 비슷한 소리에는 디귿 아래에 작은 동그라미를 그려 넣은 디귿 순경음 표기를 개발하여 나타낸 것입니다.

 

* 훈민정음을 활용한 고제윤 글자 표기 원리는 아래의 동영상 "세계의 모든 소리 훈민정음에 담다."에서도 보실 수 있습니다.

https://www.youtube.com/watch?v=3NZoKZXFHWM

 

반응형

관련글 더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