상세 컨텐츠

본문 제목

husband의 유래, 밥벌이 하는 사람, 남편, 고제윤 글자로

고제윤 글자로 영어 발음 이해하기

by 새한글(고제윤) 2025. 1. 19. 12:41

본문

반응형

1. husband와 wife

우리가 흔히 생각하는 남편과 아내는 영어 단어로는 husbandwife입니다. 또한 결혼식에서 성혼 선언을 할 때에는 'man & wife'를 사용하기도 합니다. 각각의 단어에는 일종의 사회학적 원리와 '성 역할'에 관련된 사회학적 의미도 담겨 있습니다.

 

1) husband의 의미

 OED(Oxford English Dictinary)에 의하면 영어 단어 husband는 고대 노르웨이어에서 house를 의미하는 hus'거주자, 주관자'를 의미하는 bondi에서 유래한 것으로 보고 있습니다. 어원으로 보면 과거에 우리말에서도 존재했던 '주인 양반'이라는 용어가 더 비슷했을 것으로 보입니다.

 위의 정의에 따르면 husband는 우리말에서 흔히 사용하는 '남편'이라는 의미보다는 사회학적으로 정의할 수 있는 'breadwinner(밥벌이하는 사람)'의 의미를 가진 것으로 볼 수 있을 것입니다. 성별로는 과거에는 주로 남자들이 '밥벌이'에 종사하고 여자들은 '집안일'이라는 가사분담의 경우가 흔했으므로, 성 역할(Gender role)에 따른 남자 위주의 '부계사회'의 전통에 의해서 생긴 것으로 볼 수 있을 것입니다.  Husband는 실질적으로는 '남편'보다는 '가장'의 의미가 더 강했다고 할 수 있을 것입니다.

 남여가 아닌 부부로서 우리 모두는 '밥벌이 하는 사람'의 역할을 충실히 해 왔는지, 하고 있는지를 반문해 보게도 하는 것 같습니다. 참으로 '밥 벌이라는 말에는' 사람의 마음을 복잡하게 하기도 합니다.  유래가 어떠하든 사회가 변하면서 그 의미 역시 변하는 것으로 보입니다.

 

2) man & wife

 결혼식에서 "이제 부부가 되었음을 선언합니다(I now pronounce you man and wife)"라고 말하는 경우에 사용되는 man & wifehusband and wife가 아닌 이유도 분명합니다.

 그 원리는 wife가 원래는 독일어에서 유래한 말로 woman을 의미합니다. 즉 이 말에는 "이제 남자와 여자가 되었음을 선언합니다"라는 의미로 완전한 성인으로서 새로운 가정을 꾸려가는 '남녀'가 되었다는 의미이기에 husband가 아닌 man and wife가 합당할 것입니다.

 

2. husband발음 고제윤 글자로

오늘의 영어 단어는 husband입니다.

 위의 글자 표기는 1995년 이래로 "고제윤글자(새한글)"에서 개발한 방식으로 husband를 발음기호에 맞춰 표기한 것입니다. 그 원리는 다음과 같습니다.

 먼저 발음기호는 다음과 같습니다. [ ˈhʌzbənd ]

위의 발음기호를 다음의 글자로 대체하여 표기합니다.

h-

ʌ - ㅓ 이 발음기호는 명확히 우리말의 ''''의 중간 정도의 특성이 있으나 ''로 표기하고 있습니다.

z - 반치음(세모) 모양의 글자로 표기하고 있습니다. 이 글자는 세종대왕 창제 당시에 존재했던 표기로 '반치음'이라고 불렀으며, 이 표기를 영어의 z 소리를 나타낼 때 사용하고 있습니다. 관련 내용은 본 블로그의 아래 링크 글에서 볼 수 있습니다.

b-

ə -

n -

d-

 이렇게 각 소리에 문자 표기를 부여하고 이 글자를 훈민정음 표기 원리에 의해 조합하여 표기하면 위의 글자와 같이 나타낼 수 있습니다.

husband 고제윤 글자로

 받침으로 니은과 디귿을 함께 표기하고 있음을 볼 수 있습니다. 이 원리는 훈민정음의 '합용병서'원리에 의한 것이며, 겹받침으로 부르기도 합니다. 이 표기는 일제강점기를 거치면서 일본어 방식의 한글 영어 표기로 변질되었고, 일본어처럼 받침 표기가 사라지고 받침 대신에 ''를 붙이는 표기로 변질되었습니다.

 

* 위의 husband와 같은 훈민정음 활용 고제윤 글자 표기는 아래의 동영상에서도 확인하실 수 있습니다.

https://www.youtube.com/watch?v=3NZoKZXFHWM

 

반응형

관련글 더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