상세 컨텐츠

본문 제목

미국, 영국, 나라이름 표기, 왜 美 英 인가? England 고제윤 글자로

고제윤 글자로 영어 발음 이해하기

by 새한글(고제윤) 2025. 1. 19. 13:09

본문

반응형

 

1. 나라이름 England

 영어의 나라 이름 중에서 land라는 이름이 붙은 경우도 있습니다. Egland, Finland, Newzealand, Deutchland, Netherlands....처럼 뒷부분에 land가 붙은 경우들입니다. 뜻은 '나라'라는 의미를 담고 있다고 볼 수 있으며, 한자어로는 '나라 '국'이라는 한자어로 표현되는 것을 볼 수 있습니다. 이러한 의미로 'England'라는 단어에는 "앵글로색슨족의 나라"라는 의미를 갖고 있다고 볼 수 있습니다.

2. 나라이름과 한자어

오늘날과 같이 우리글로 외국의 나라 이름을 표기하기 이전에는 대부분의 나라 이름을 중국식 한자어를 가져와 쓰는 경우가 있었습니다. 그 과정은 대략 다음과 같습니다.

영국, 미국 나라이름 원리 고제윤 글자

 

 위의 표에서 제시한 것처럼 중국인이나 일본인들이 표기한 그들 발음에 가장 가까운 한자어로 나라를 표기하고, 이 한자어를 우리가 우리식 발음으로 읽는 것입니다. 같은 한자어라고 하더라도 그 소리는 우리나라와  중국, 일본의 발음이 다르며, 중국과 일본의 외래어 표기를 우리가 우리식 한자어 발음으로 읽은 것입니다.

예를 들어 보면 다음과 같이 나라 이름을 부르게 됩니다. 어떤 사람이 자신의 나라 이름을 'England'라고 했다고 하면 이 소리에 가장 가까운 한자어 발음을 가져와서 중국인들이 표기를 했을 것입니다. England에 가장 가까운 중국어 발음(의미도 연관 지어서 표기했을 것임)이 과정이 중국어의 외래어 표기법이며, 한자에서는 '음역표기(가차표기-일종의 외래어 표기)'라고 합니다. Eng에 가장 가까운 소리가 나는 한자어로 [yīng]이라는 한자어가 선택된 것입니다. 발음으로 보면 중국어의 [] 소리와 가장 가깝게 표현한 노력을 볼 수 있습니다. 여기에 앞에서 말한 land를 나라라는 한자어 을 붙이면 England가 영국이라는 이름으로 불리게 됩니다. 중국인들의 미국과 일본인들의 미국의 '미'자가 각기 다른 이유도 그들의 발음에서 'America'의 '메이'발음에 가장 가까운 한자 표기를 찾은 결과로 볼 수 있습니다.

 그런데 중국어의 발음으로는 한자어 []으로 소리가 나기 때문에 영어와 비슷한 발음일 수가 있습니다. 하지만 우리 식 한자어 발음과 중국어 발음 차이가 있습니다. 우리는 []이 아니라 []으로 읽습니다. 그리고 나라를 의미하는 ''을 붙여서 '영국'이라는 이름으로 부르게 되는 것입니다. 다른 표기로는 '영란(英蘭)'이라는 England에 가까운 중국어 발음 표기도 생겨나게 된 것입니다. 이 한자어들은 중국인들의 '가차표기(외래어 표기)에 의한 것입니다.

 이렇게 한자로 표현한 글자를 우리가 읽게 됩니다. 이 과정에서 글자는 같을 수 있지만 중국인들에 의한 중국어의 소리 표기인 한자를 우리가 읽게 된 것입니다. 여기에 또 다른 문제가 생깁니다. 우리가 읽는 한자어와 중국인들이 발음하는 소리가 다릅니다. 우리가 사용하는 한자라는 글자는 중국인들도 사용하고 있지만 그 소리가 다른 것입니다. 그 결과로 중국인들의 입장에서는 비슷한 소리로 나라 이름을 부르고 표기한다고 생각할 수 있지만 우리의 소리와는 다른 소리가 되고 마는 것입니다.

 지금과 같이 우리글을 널리 사용하고 또 사랑하는 사람들이 많아지기 이전에는 우리는 서양의 소리를 우리 식으로 어떻게 표현할지를 먼저 생각한 것이 아니라, 어떻게 한자어로 표기하는지를 먼저 생각하고 표기하는 경우가 많이 있었습니다. 지금의 기준으로는 우리말과 글로 표현하기보다는 먼저 가장 가까운 한자어는 무엇인가를 생각한 경우가 흔했기 때문입니다이렇게 형성된 나라 이름은 England와 관련된 다양한 표현에 사용되게 됩니다. 영국인의 언어는 '영어'가 되는 것입니다.

England 고제윤 글자로

 위의 글자 표기는 1995년 이래로 "고제윤글자(새한글)"에서 개발한 표기 원리로 England를 나타낸 것입니다. 위의 글자에서는 일제강점기에 형성된 일본어 방식의 한글 영어 표기 원리를 극복하는 원리도 담고 있습니다. 받침으로 니은과 디귿을 동시에 표기하는 방법입니다. 받침으로 자음이 겹치는 경우를 나타낸 표기입니다. 일본어 방식의 영어 발음 표기로 인하여 받침 표기 대신에 ''를 붙이는 원리를 제거한 것입니다. 예를 들어 위에서는 니은과 디귿을 받침으로 표기했지만 일본어 방식의 표기는 '랜드'입니다. 받침으로 디귿을 표기하지 못하고 뒤로 발음 하나를 빼고, 거기에 ''를 붙이는 방식입니다.

 

* 훈민정음을 활용한 글자 표기 원리는 아래의 동영상에서도 보실 수 있습니다.

https://www.youtube.com/watch?v=3NZoKZXFHWM

 

반응형

관련글 더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