상세 컨텐츠

본문 제목

Short 쇼트 인가 '숉'인가? ,shorts 쇼츠, 숏츠, short 발음 고제윤 글자로

고제윤 글자로 영어 발음 이해하기

by 새한글(고제윤) 2025. 1. 25. 00:54

본문

반응형

1. Short와shorts

  영어 단어 short는 '짧은'에 해당합니다. Short라는 단어를 명사 형태로 변환하여 복수형으로 만든 것, 즉 s를 붙여서 '짧은 것들'이라는 의미로 shorts가 등장하였습니다.

 짧은 동영상을 올리고 여기에 적절한 메시지를 담은 short-form 형태의 콘텐츠가 인기를 끌고 있습니다. 과거의 동영상이 대부분 긴 영상을 담았다면, short-form 동영상은 거의 1분 이내로 간결한 메시지를 전달하고 있습니다.

 우리나라에서는 Tik Tok과 같은 매체를 중심으로 인기를 끌면서 U-tube에서도 1분 이내의 동영상을 업로드하는 방식을 사용하고 있습니다. 영화와 같은 시각과 청각의 메시지를 전달하는 매체들은 과거의 영화는 보통 100(1시간 40) 분량인 경우가 많이 있었지만, 오늘날의 short-form 메시지는 짧은 시간에 확실한 메시지를 전달하는 방법으로 관심을 끌고 있습니다. 저 역시도 U-tube에 shorts를 업로드 하기도 했습니다.

2. Short와 shorts의 발음

 Short라는 단어를 외래어 발음으로 표현하는 경우 대부분 '쇼트'로 표기합니다. 겨울 스포츠 중의 하나인 Short-track은 '쇼트 트랙'과 같이 표현하고 있습니다. 주식에서 공매도에 해당하는 Short-selling과 같은 경우도 '쇼트 셀링'이라고 표현합니다. Short라는 발음을 '쇼트'로 표현하는 것을 볼 수 있습니다. 반면에 shorts와 같은 경우를 보면 '쇼츠, 숏츠, 숏스' 등으로 다양하게 표기하기도 합니다.  같은 short를 경우에 따라 '쇼트'로 표기하기도 하고, '숏'으로 표기하기도 하는 등 서로 다른 표현을 사용하고 있는 것입니다. 이러한 혼란은 "외래어 표기법"과 관련이 있습니다. 외래어 표기법에서는 받침으로 표기하는 글자는 기역, 니은, 리을, 미음, 비읍, 시옷, 이응의 여섯으로 표기하고 있기에 short의 받침에 시옷을 사용하거나, 또 다른 외래어 표기법 조항의 적용 원칙에서 받침 대신에 '으'를 붙이는 방법이  있습니다. Mood와 같은 발음을 표기함에 있어서 '묻'이 아닌 '무드'로 표기하는 것과 같은 원리입니다. Good의 경우에서도 받침으로 디귿을 사용하지 않도록 한 내용을 근거로 '굳'이 아닌 '굿'으로 표기하는 방식을 옳은 표현이라고 보는 것입니다. 위의 내용은 일제 강점기에 제정된 외래어 표기법의 원칙을 오늘날에도 그대로 사용하면서 생긴 혼란이라고 할 수 있습니다.

  이러한 외래어 표기법의 원칙을 제외하고 이들 소리를 훈민정음의 소리 표기를 적용하여 표현한다면 다음과 같이 표기할 수 있을 것입니다.

short 고제윤 글자로

 

 위의 글자는 short를 각각의 소리에 맞춰 훈민정음의 표기 원리로 나타낸 것입니다. '숉'라는 글자는 현재의 한글 키보드로 입력해 보더라도 그대로 받침 두 개의 글자로 표기됩니다. 받침에 리을과 티읕을 함께 표기할 수 있다는 것입니다.

 위의 글자를 읽는 방법은 '숄'을 먼저 발음하되 받침 리을은 약하게 소리를 내는 것입니다. 그리고 티읕은 흘리듯이 약하게 발음하는 방법으로 읽어낼 수 있을 것입니다.  이러한 글자 표기의 원리는 현재의 한글 ', , , , ......'등의 글자에도 고스란히 담겨 있는 원리입니다. 하지만 일제강점기를 거치면서 일본어처럼 받침으로 표기하는 글자는 줄어들고, 더구나 두 개의 자음을 표기하는 원리는 점차로 사라지게 되면서 short를 발음에 맞춰 ''로 표기할 수 있는 경우에도 '쇼트', '' 등으로 표기하게 된 것입니다.

 Short라는 단어에는 모음 o하나가 존재합니다. 훈민정음과 같은 소리 호흡의 단위로 나누는 글자는 하나의 글자로 표기하는 방법입니다. 위의 글자에서 볼 수 있듯이 '숉'는 하나의 소리 호흡으로 이루어지며, 하나의 글자로 표기할 수 있습니다.

 우리말에서는 '숉'라는 단어가 없지만, 외국어 발음의 short를 키보드로 입력했을 때 '숉'가 입력된다는 사실은 훈민정음 표기가 어떤 형태의 글자인지를 보여주는 증거가 됩니다. 여러분 스스로도 키보드로 입력해 보시길 바랍니다. 또한 '숉'라는 글자를 분명 영어 발음과 비슷하게 읽어낼 수 있을 것입니다.

 

 훈민정음을 활용한 고제윤 글자 표기 : "세계의 모든 소리 훈민정음에 담다"는 아래의 동영상을 통해서 보실 수 있습니다.

https://www.youtube.com/watch?v=3NZoKZXFHWM

 

 

반응형

관련글 더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