상세 컨텐츠

본문 제목

ps 뜻, 성과급, 편지 추신, 성형수술 , 영어 줄임말, P.S. 뜻, 고제윤 글자로

고제윤 글자로 영어 발음 이해하기

by 새한글(고제윤) 2025. 1. 25. 20:35

본문

반응형

1. 영어 줄임말 : ps. P.S. 

 1) Profit Sharing(이익 공유, 성과급) : 삼성전자 SK하이닉스, 은행 성과급의 ps

 직장인들의 월급은 회사별로 다르기 때문에 일반화 하기는 어렵습니다. 가장 기본적인 구조는 기본급+수당의 구조를 가지고 있지만 이 역시 통일된 것은 아닙니다. 그중에서 ps는 Profit(이익) Sharing(나눔, 공유)의 의미로 사용되고 있습니다. '성과에따른 급여'라는 의미에서 '성과급'이라고 부르기도 합니다. 과거에도 비슷한 형태가 있었습니다. 1년을 넷 혹은 셋으로 나누어서 지급하는 '보너스'라는 개념이 있었습니다. 명절에 주는 '떡값'이라는 명목의 보너스도 존재했었습니다. 크게보면 일년에 3, 4회에 나누어 지급하던  '보너스'가 최근에는 'ps'와 비슷하다는 것을 볼 수 있습니다. 삼성전자를 비롯한 많은 대기업들이 일 년 단위, 혹은 6개월 단위의 ps 방식을 사용하고 있습니다. PS방식 이외에도 PI(Product Incentive)라고 하는 제도를 시행하는 경우도 있습니다. 

 흥미로운 사실은 언론에는 이들 기업의 ps가 통일된 기준이 아니라, 회사별 지급율 형태로 보도되기 때문에 오해를 불러일으키기도 합니다. 실제 보다 과장되거나 축소되어 보도되는 수치상의 착시를 불러오기도 합니다. 예를 들어 SK하이닉스의 성과급이 1500%라고 하고, 삼성전자의 ps는 15%라고 하면 비율로는 100배의 차이를 보이기에 착시 효과를 가져오기도 합니다. 연봉을 기준으로 한 것인지, 월급을 기준으로 한 것인지를 따지지 않고 이해하면 1500과 15라는 숫자가 엄청난 차이로 느껴질 수 있습니다. 실제 기준을 살펴본다면 착시 효과일 수도 있습니다.

 은행의 경우도 비슷합니다. 성과급 300%라고 하면, 보통 기본 월급의 300%를 의미합니다. 내부 직원들은 아시겠지만, 은행 월급은 연봉을 12개월이 아닌 14개월로 나눕니다. 게다가 기본급을 기준으로 하기 때문에 실제로는 그렇게 높지 않을 수 있습니다.  어떤 기업은 기본급을 20개월로 나눠 계산하는 경우도 있습니다. 더욱이 직장인의 월급은 '유리지갑'으로 표현될만큼 세금 문제에는 투명하게 공개되기 때문에 세금이 상당합니다.

  S은행의 14개월 기본급을 대략적으로 계산해 보면 다음과 같습니다.(은행마다 다를 수 있습니다.) 기본 연봉 3600만원이라면 이를 14로 나누면 대략 257만원입니다. 월급은 12개월 기준으로 300만원일 수 있지만, 은행 기준은 257만원이 기본 월급이고, 이 기본급의 300%가 성과급이되는 것입니다. 다시 세금 떼고 나면 실수령액은 상당히 쪼그라들게 됩니다. 월급 기준 300%를 연봉 기준으로 한다면 대략 '21% 성과급'으로 표현될 수 있을 것입니다. 세금까지 제하고 실수령액을 계산한다면 그보다 훨씬 작아질 것입니다. 300%라는 수치와 21%라는 숫자가 주는 기준의 차이가 이렇게 다른 느낌으로 다가올 것입니다. 

 Ps에서 발표된 비율은 각 기업들이나 노조에서 협의한 내용을 세부적으로 살펴보지 않는다면, 그 기준과 용어에서 오해를 불러 일으킬 수도 있을 것입니다.

 계산의 원리가 어떠하든, 혹은 기준으로 삼은 비율이 어떠하든  많은 직장인분들이 더 많은 ps를 받을 수 있기를 기대해 봅니다.

 

 2. 성형수술 ps : plastic surgery

 공학도나 과학자를 꿈 꾸는 이과 계열이 삼성전자나 SK하이닉스 등의 기업으로 진출하여 ps라는 용어를 접한다면 위에서 말한 profit sharing이 관심이 되겠지만, 또 다른 한 축인 의과대학을 졸업한 의사들도 ps를 사용하기도 합니다. Plastic surgery가 그것입니다. Plastic(플라스틱) Surgery(수술)에 해당하며, 이 용어는 Cosmetic surgery라는 표현으로도 사용됩니다.

 3. 편지 P.S. Post Script

 편지글의 뒷 부분에 본문에 다 쓰지 못한 글을 쓰는 경우 Post Script의 줄임말 P.S.도 있습니다. Post(~후에) Script(원고, 글)이라는 의미를 가진 표현입니다.

  Post'기둥'이라는 의미로도 사용되고, 접두사로서 post"~후에'라는 의미를 갖습니다. Post가 우편물과 관련되어 의미를 갖는 것은 초기 우편 제도에서 horse()이 우편배달의 통로로 사용된 것과 관련이 있다고 볼 수 있습니다. 오늘날과 같은 우편 제도 이전에는 말을 이용하여 우편물을 배달해야 했으므로, 하루에 말이 달릴 수 있는 거리를 기점으로 하여 일정한 장소에 모여서 서로의 우편물을 정리하거나 다른 우편배달부에게 전달할 필요가 있었습니다. 이 필요에 의해서 생긴 것이 Post Office(사무실) , 말을 기둥에 묶어 놓는 사무실 혹은 공간이라는 의미에서 사용될 수 있었습니다.

그에 비해서 Post ScriptPost가 가진 또 다른 의미인 "~후에'라는 접두사의 기능을 하기 때문에 사용되는 용어입니다. 이 단어 역시 오늘날과 달리 종이가 귀한 시기에 글을 쓰다 보면 간혹 빠트리고 기록하지 못한 경우가 생깁니다. 처음부터 다시 글을 쓰기에는 종이도 아깝고, 시간도 아까운 상황이 발생합니다. 지금이야 이메일로 글을 쓴다면, 틀린 부분이나, 빠트린 내용을 간단하게 수정하면 될 일이지만, 과거에는 그럴 수가 없었습니다. 그 상황에서 편지의 맨 뒤에 다시 글을 추가해서 보낸다는 의미로 추가하는 서신(편지글)이라는 의미로 한자어로는 '추신'이 되고 영어 단어에서는 Post(~뒤에) Script(, 원고)라는 용어를 사용하여 글을 다 쓴 후에 추가로 전달하고자 하는 내용이라는 의미로 P.S.라고 쓰게 된 것입니다.

ps 뜻, profit 고제윤 글자로

4. Profit 발음 고제윤 글자로

 오늘의 영어 발음은  'Profit Sharing'의 profit발음입니다. 위의 글자에서 볼 수 있듯이 pr의 두 개의 자음이 겹치는 경우 각각의 소리인 '피읖'과 r 소리의 우리말 발음 '로'를 함께 표기했습니다. 훈민정음의 '꽃'이라는 글자에서 볼 수 있듯이 자음이 겹치는 경우에 대한 표기원리입니다. 위의 글자 표기 원리를 사용하여 p와 r사이에 모음 '으'를 넣지 않고 소리를 내는 원리를 나타낸 것입니다. 또한 p와 f를 구별하기 위해 p는 피읖으로 표기하고, f는 피읖 아래에 작은 동그라미를 그려 넣은 글자를 사용하였습니다. 영어의 f솔리는 "윗니로 아랫입술을 물고 계속해서 마찰을 일으키는 소리"라는 특성을 반영한 것입니다.

 발음하는 원리는 피읖은 약하게 발음하면서 '롸'소리를 내는 것이며, fit발음은 "윗니로 아랫입술을 물고 '핕'에 가까운 소리를 내는 것입니다.

 

 훈민정음을 활용한 고제윤 글자의 원리는 아래의 동영상을 통해서 보실 수 있습니다.

https://www.youtube.com/watch?v=3NZoKZXFHWM

 

 

 

 

반응형

관련글 더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