상세 컨텐츠

본문 제목

[프로와 퍼센트] % 발음 파헤치기, 프로테이지 파헤치기, 고제윤 글자로

고제윤 글자로 영어 발음 이해하기

by 새한글(고제윤) 2025. 1. 25. 21:24

본문

반응형

1. Jinglish : 일본식 영어 단어

 그동안은 원래 영어에 있던 단어를 일본식 발음에 대한 내용을 주로 다루었다면, 오늘은 일본인들이 만든 영어 단어를 살펴보고자 합니다. 그 중에서 '프로테이지'라는 단어에 관련된 내용입니다.

 '프로테이지'라는 말을 듣게된다면, 아마 대부분 "영어 단어 아냐?"라고 생각하실 수 있을 것입니다. 이 말은 원래의 영어 단어가 아니라, 일본인들이 만든 영어 단어 Jinglish(Japanes English)입니다. 이 단어는 proportion(비율)이라는 단어와 percentage(%)라는 단어를 합친 것으로 보입니다. 오늘날 우리가 자주 사용하는 '코스프레(cosplay: costume+play)나 스킨십(Skinship)과 같은 일본인들이 만든 영어 단어라고 할 수 있습니다.

 * 코스프레와 스킨십은 본 블로그의 다른 글이나 네이버 "글퍼블릭"을 참고하시면 됩니다.

 'Protage라는 말을 줄여서 발음하면서 "몇 프로"와 같은 표현이 우리말에서 빈번하게 사용되고 있습니다. 이 말은 percent(%)와 동의어로 사용되는 것을 볼 수 있습니다. 

   '프로테이지' 라는 말은 그 어느 것도 정확한 근거는 없지만 영어 단어에 있을 법한 단어의 모양을 취하고 있기도 합니다. 있을 법 하지만 어디에도 존재하지 않는 단어가 아마 '프로테이지'라는 단어가 아닐까 생각해 봅니다.

 또 다른 의미로 '프로' 혹은 '푸로'라는 발음은 영어 단어의 'pro'의 표기입니다. 우리말에서 '프로'라는 말은 대부분 professional '전문적인, 직업적인' 등의 의미에서도 사용되는 것을 볼 수 있습니다.

 영어 단어 처럼 보이는 '프로테이지'의 또 다른 유래의 가능성은 네덜란드어와의 연관성도 있을 수 있을 것입니다.

일본이 네덜란드와 교류한 역사가 오래인 만큼 네덜란드어 procentpercentpercentage라는 단어처럼 변형되었을 가능성입니다.

 개인적인 견해로는 '코스프레'나 '스킨십'의 언어 구조를 볼 때 proportion과 percentage의 결합으로 봅니다. 일본인들의 언어 특성으로 볼 때 두 단어의 합성은 앞 쪽 발음과 뒷 쪽 발음의 연결을 선호한다는 점에서 입니다.

 어쨋든 이렇게 일본인들의 언어 표현을 우리가 받아들여서 사용하면서 '프로'가 percent로 널리 사용된 것입니다. 

pro발음 고제윤 글자로

​2. Pro발음 고제윤 글자로

 우리의 일상 용어로 %에 해당하는 의미이건, 전문직에 대한 의미이건 pro가 사용되고 있습니다.  특이한 사실은 'pro'라는 발음을 '프로'로 하고 있다는 사실입니다. 이 소리를 분석해 보면 'p는 피읖으로, r은 리을로 그리고 o를 'ㅗ'로 읽었다면 [ㅍㄹ ㅗ]가 됩니다. 알파벳처럼 가로 쓰기로 음소를 배열한 것입니다. 그런데 이 소리에 'ㅡ'가 추가 되는 현상이 발생합니다. [ㅍ ㅡ ㄹ ㅗ]라는 발음이 되고, 이 소리를 한글의 표기 원리로 나타내면 '프로'가 되는 것입니다. 언뜻 보면 그럴듯해 보이지만 영어에는 'ㅡ'라는 모음이 존재하지 않습니다. 즉, 원래에는 없는 소리가 들어간 것을 볼 수 있습니다. 물론 그냥 생긴 원리는 아닙니다. 원래 우리의 글이나 소리에는 위에서 '꽃'이라는 글자에서 볼 수 있듯이 자음이 겹치는 소리와 글자가 존재했습니다. 현재에는 자음 겹침이, 쌍기역, 쌍디귿, 쌍비읍, 쌍시옷, 쌍지읒 등에 남아있지만, 이보다 전에는 서로 다른 자음을 겹치는 표기가 존재했었습니다. 서로 다른 자음이 겹치는 상황에서의 표기 원리입니다.

 훈민정음을 활용한 고제윤 글자 표기는 바로 이러한 자음 겹치의 상황에서 'ㅡ'를 넣지 않고, 혹은 일본어 처럼 모음을 넣지 않고 원래의 소리 그대로, 원래의 소리 길이 그대로 표기하는 방법을 제시하고 있습니다.

 일본어 방식은 자음 겹침이 절대로 존재할 수 없습니다. 반드시 자음 뒤에 모음이 한 몸으로 움직이는 언어 구조가 기본입니다. 이러한 일본어 방식의 자음 뒤 모음 추가 방식이 외국어 발음에 그대로 적용되는 것이고, 이러한 발음 원리가 일제강점기를 거치면서 우리말에도 자리하게 된 것입니다.

 일본어 방식의 소리 표기 원리를 극복하고, 외국어 발음에서의 길이를 고려하는 방법으로 훈민정음의 표기 원리가 유용할 것입니다.

 

 훈민정음을 활용한 고제윤 글자 표기 원리는 아래 동영상에서도 보실 수 있습니다.

https://www.youtube.com/watch?v=3NZoKZXFHWM

 

 오늘은 일본식 영어 단어 Jinglish 중에서 '프로테이지' 에 대한 내용을 살펴보았습니다.

 

 

반응형

관련글 더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