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 영어의 f소리를 히읗으로
영어의 f소리가 우리말에서는 '히읗'으로 들리기에 '히읗'으로 한 것이라고 생각하는 사람들이 많이 있을 것입니다. 언뜻 그럴듯해보이는 생각이기도 합니다. F소리는 "윗니로 아랫입술을 물고 계속해서 마찰을 일으키는 소리"라는 특성을 갖습니다. 우리말에서는 윗니로 아랫입술을 사용하여 소리를 내는 경우는 없습니다. 우리말에는 없는 소리라는 의미입니다. 우리말에 없는 소리는 가능한한 듣기에 가장 비슷한 소리로 대체하여 발음하는 것은 자연스러운 현상이기도 합니다.
그런데 하필이면 '히읗'인가?하는 것입니다. 그보다는 f소리는 '피읖'에 가깝다고 여기는 경우가 더 많습니다. 현재의 외래어 표기법에서도 '피읖'으로 대체하여 표기하고 있기도 합니다. F소리는 우리말에는 없지만 '히읗'보다는 '피읖'에 가까운 소리라는 생각을 하고 있다는 의미가 됩니다.
F소리와 '히읗'의 관계를 생각해보면 떠오르는 의문은 일본인들의 외래어 표기법과의 연관성입니다. 명백히 일본인들은 f소리를 히읗으로 나타내고 있습니다. 일본의 '후지산'과 같은 대표적인 표기를 보더라도 우리말로 히읗으로 보는 소리를 f로 표기하는 것을 볼 수 있습니다.
한국인의 소리 인식과 일본인의 소리 인식에 차이가 있음을 볼 수 있습니다. 우리의 경우 피읖을 더 가까운 소리로 보고있지만 일본인들은 f를 히읗으로 이해하고 있다는 사실입니다.
숫자 넷을 의미하는 four발음을 한국인들의 경우 '호아'라고 발음하지는 않습니다. 이렇게 발음을 한다면 웃음거리가 될 것입니다. 일본인들의 경우는 당연하다고 생각하는 발음 원리입니다.
우리말에 들어온 f발음 히읗
file - 화일, Fanta-환타, fan-후앙, foil-호일, female- 휘메일, fiber - 화이바, flavono-후라보노, flake-후레이크,....
위의 외래어들을 보면 여전히 f를 히읗으로 발음하는 일본어 방식을 따라한 것을 볼 수 있습니다.
오늘은 fried chicken에서 들을 수 있는 fried의 발음에 담긴 일본어 방식의 원리와 이를 극복하는 표기 방법을 제시합니다.
일본인들이 f를 '히읗'으로 보는 원리에 덧붙여서 생각해 볼 내용이 f가 '히읗'이 아닌 '후'가 되는 원리입니다. F를 단순히 '히읗'으로 한 것이 아니라 '후'로 읽는다는 것입니다. F를 '후'로 읽는 원리는 자음이 겹치기 때문에 생기는 현상입니다. F와 r이 연결되어 있기 때문입니다. 일본인들의 언어 원리에서는 f를 자음 '히읗'으로 이해하는 것이 아니라, f자체에 모음이 결합으로 이해한다는 것입니다. F를 소리의 가장 기본 단위인 음소가 아니라, 모음과 결합되어야하는 '음절'로 보는 것입니다. 이 원리는 우리가 영어를 비롯한 외국어 학습에서도 적용됩니다. 자음과 자음이 연결되는 경우에 무조건 '으'를 넣어 발음하는 방식입니다. Strike처럼 str의 자음이 겹칠 때 '스트라이크'처럼 발음하는 방법입니다. Fried의 발음에서도 '후라이드'라는 글자를 보면 마지막 d를 '디귿'이 아닌 '드'라고 발음하거나 표기하는 원리이기도 합니다.
위에서 제시한 일본어 방식을 극복하는 해결책으로 다음 글자의 원리를 제시합니다. 글자를 읽어가면서 발음 연습을 해 보세요. 달라진 소리를 표현해낼 수 있을 것입니다.
위의 글자는 훈민정음의 표기 원리를 활용한 "고제윤 글자"로 나타낸 표기입니다.
1) 발음 표기 원리
f- 우리말에 없는 소리로 '피읖'으로 이해하는 한국인의 소리를 고려하여 피읖 아래에 작은 동그라미를 그려 넣은 글자를 개발하여 나타냈습니다. 소리를 내는 방법은 "윗니로 아랫입술을 물고 'ㅍ'소리를 내는 것"입니다.
r - 영어의 r은 우리말에서는 '로, 루'로 발음할 때 가장 비슷한 소리가 납니다. 이 내용을 참고하여 r을 '로'로 표기하였습니다.
fr소리 - 자음 두 개가 겹쳐있으므로 첫 소리의 위치에 함께 나타냈습니다. 발음을 하는 방법은 "윗니로 아랫입술을 물고 'ㅍ'소리에서 '롸'로 빠르게 연결하는 것입니다.
ie - 'ㅏㅣ'의 두 개의 모음으로 표현하였습니다.
d- 영어의 d는 우리말 디귿과는 다르게 목젖이 울리는 소리라고 볼 수 있지만, 목젖이 울리는 것을 제외하고는 비슷한 소리이기 때문에 '디귿'으로 표현하였습니다. 또한 일본어와 다르게 훈민정음은 받침 표기 원리가 있는 덕분에 모음을 넣어 '드'라고 표기하지 않고 받침으로 표현했습니다.
위의 글자 표기 원리를 생각하시고 발음을 연습해 보신 후에, 실제 소리를 들어보시면 비슷한 발음이 되는 것을 확인하실 수 있을 것입니다.
일본어 방식의 외국어 학습 원리 극복하는 "고제윤 글자"의 원리는 아래 동영상에서도 보실 수 있습니다.
https://www.youtube.com/watch?v=3NZoKZXFHWM
[영어 발음 ] 연음 연습하기, 알아 두면 유익한 발음 비법, What do you want to do?"가 "와러여워너루", 고제윤 글자로 (0) | 2025.02.02 |
---|---|
관세 영어로, tariff발음 고제윤 글자로 (2) | 2025.02.01 |
고뿌와 컵, cup, 고뿌가 없으면 못 마십니다. 고제윤 글자로 (0) | 2025.01.31 |
영어 발음 교정 tip 2, 스피크, 스삨, speak 고제윤 글자로 (0) | 2025.01.31 |
영어 발음을 잘하는 몇 가지 방법,-1회 쌍디귿 소리 고제윤 글자로 (0) | 2025.01.31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