앞 글에서 쌍디귿 발음으로 소리 나는 영어 발음에 대해서 살펴보았습니다.
오늘은 쌍비읍 발음에 대한 내용입니다.
영어에서 우리말 쌍비읍 발음은 쌍디귿 발음과 비슷한 원리가 적용됩니다. S뒤의 p발음이 우리말 쌍비읍에 가까운 소리입니다. 특히 미국인들의 발음에서 두드러진 특성을 보입니다. 조건은 s뒤에 p가 연결되는 경우에 나타납니다.
한국인이라면 대부분 p가 쌍비읍 소리가 난다고 하면 pp나 bb로 표현해야하는 것이 아닐까? 하는 의문을 갖고 있을 것입니다. 사전의 발음 기호는 s뒤의 p가 쌍비읍 소리가 나는 경우를 표기하지 않습니다. P소리를 '피읖'으로 생각하는 우리의 언어 환경에서는 알기 어려운 음운 현상입니다. 하지만 s뒤의 p소리가 쌍비읍 소리라는 생각으로 외국인들의 발음을 들어보면 신기하게도 그들이 말하는 '쌍비읍'소리를 들을 수 있을 것입니다.
우리는 대부분 발음기호로 [spi:k]이라고 표현되어 있다면 '스피크'로 발음하게 될 것입니다. 이 '스피크' 발음 대신에 위에서 표기한 글자로 읽는다면 신기하게도 달라진 소리를 경험하실 수 있을 것입니다. 훈민정음 글자 표기가 가진 힘입니다.
먼저 각각의 소리를 보면 s는 시옷 p는 s뒤에 왔으므로 우리말에서는 쌍비읍 소리가 됩니다. ea는 'ㅣ' 소리에 해당하며, 좀 길게 소리난다고 볼 수 있습니다. k는 키읔 소리에 해당합니다. 알파벳처럼 가로 쓰기를 하면 [ㅅ ㅃ ㅣ ㅋ]이라고 표현할 수 있습니다. 이들 소리를 훈민정음을 활용하여 글자 표기를 하면 위의 표에서 제시한 글자와 같습니다. 더하거나 빼는 것 없이 모든 소리를 그대로 초성, 중성, 종성으로 나타낸 것입니다.
1) 소리를 읽는 방법
Sp는 시옷과 쌍비읍 소리입니다. 둘 다 자음이며, 두 개의 자음이 연달아 나오는 것을 볼 수 있습니다. 이 경우 일본인들의 언어 원리를 적용하여 모음 'ㅡ'를 넣어 발음하는 것을 볼 수 있습니다. 일본어 방식의 발음 원리를 제거하고 sp의 두 개의 자음을 한 번에 발음한다는 기분으로 발음합니다. 즉, 시옷을 약하게 발음한 상태에서 '삨'발음으로 연결하는 것입니다.
2) 글자 원리
우리의 글자는 모음을 중심으로 하나의 글자로 표기하는 방법입니다. 소리의 호흡은 모음을 중심으로 이루어진다고 보기 때문입니다. 알파벳처럼 가로 쓰기로 되어있는 경우도 모음을 중심으로 하나의 소리를 형성합니다. 모음의 갯수에 따라 음절을 나누는 원리이기도 합니다.
Speak이라는 단어에는 ea가 하나의 긴 모음[ㅣ:]를 가지고 있습니다. 따라서 speak은 훈민정음의 글자 원리로 본다면 하나의 글자가 되어야 합니다. 위의 글자에서 처럼 하나의 글자가 하나의 호흡을 이루는 것입니다.
또한 사전으로는 s뒤의 p소리가 우리말 쌍비읍으로 소리가 난다고 하더라도, 이를 표기하는 원칙이 없습니다. 실제 소리를 모두 나타내지 못하는 것입니다. 물론 사전은 이러한 문제로 변별음-소리의 차이가 의미의 차이를 가져오는 경우-이 아니라면 표기하지 않고 있습니다.
하지만 훈민정음의 표기 원리는 이러한 소리의 변화까지도 담아낼 수 있음을 위의 speak이라는 발음에서 볼 수 있습니다.
* s뒤의 p : 쌍비읍
spoon, sports, spy, spring, ....
훈민정음을 활용한 글자 표기의 원리 : 아래의 동영상에서도 보실 수 있습니다.
https://www.youtube.com/watch?v=gVrWd11XlkM
후라이드 치킨과 일본어 발음, fried chicken 고제윤 글자로 (0) | 2025.02.01 |
---|---|
고뿌와 컵, cup, 고뿌가 없으면 못 마십니다. 고제윤 글자로 (0) | 2025.01.31 |
영어 발음을 잘하는 몇 가지 방법,-1회 쌍디귿 소리 고제윤 글자로 (0) | 2025.01.31 |
이름 숫자, 내 이름에 담긴 숫자 코드, 고제윤 글자 (0) | 2025.01.30 |
드라이브 추천, 도라이바 비추, driver 고제윤 글자로 (0) | 2025.01.29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