상세 컨텐츠

본문 제목

동서남북 영어로, East, West, South, North, 고제윤 글자로 발음 연습

고제윤 글자로 영어 발음 이해하기

by 새한글(고제윤) 2025. 2. 3. 17:55

본문

반응형

 1. 4 방향 

 방향은 크게 네 가지로 분류합니다. , , , 북 입니다. 4개의 방향은 '사방' 이라고 하여 모든 곳을 의미하기도 합니다. 4개의 방향을 나타내는 단어는 세계의 모든 언어가 가지고 있다고 볼 수 있습니다. 우리의 경우도, 방향을 나타내는 순 우리말이 있었습니다. 바람을 의미하는 이름에서 그 흔적을 찾아볼 수 있습니다. 동쪽에서 불어오는 바람이 '샛바람' 입니다. 아마도 새, 혹은 샛 이라는 단어는 ''와 그 어원을 같이하고 있다고 생각합니다. 서쪽에서 불어오는 바람은 '하늬바랍'이라고 합니다. 참 이쁜 말로 생각합니다. 남쪽에서 불어오는 바람은 '마파람'입니다. '맞바랍'이 세게 발음 되면서 '마파람'이 된 것으로 보입니다. 북쪽에서 불어오는 바람은 '된바람'이라고 합니다. 바람에 방향을 나타내는 단어에 우리의 순 우리말 방향이 들어있습니다. 우리의 전통적인 방향의 개념에서는 ''는 동쪽과 연관지어 있습니다. 오늘날 대한민국의 수도 '서울'이라는 말도 신라의 수도인 '서라벌'에서 왔습니다. 서라벌은 '새벌'을 의미합니다. 한자로는 동경(東京)이라고 합니다. 이 동경이라는 말은 현재 일본의 수도이름이기도 합니다. 우리나라에서는 고려시대에도 '동경'이라는 이름을 사용했습니다.

 1) 동쪽 East발음 : 고제윤 글자로

 영어단어에서 동쪽은 East라고 합니다. '동쪽'은 대부분의 언어에서 '해 뜨는 곳'의 의미를 지니고 있습니다. 방향의 기준을 삼을 때 태양이 뜨는 곳이 동쪽이라는 이름으로 붙인 것은 타당해 보입니다. 지금과 같이 시계가 없던 상황에서 아침을 맞이하도록 하는 해가 뜨는 곳에 동쪽이라는 방향을 표현한 것입니다. 동쪽의 방향성는 햇빛이나 빛이 나오는 곳 등의 단어에도 같은 어원을 지닌 경우가 많이 있습니다. 한자의 경우에도 마찬가지입니다. 나무에 해가 걸쳐있는 모습을 동쪽에 해당하는 동()자에 나타내고 있습니다.

East, West 동서, 고제윤 글자로

 East의 발음은 '이'라는 발음을 비교적 길게 내면서 받침으로 표기된 시옷과 티읕을 소리냅니다. '스트'처럼 모음을 넣어서 길게 발음하는 것이 아니라, 시옷과 티읕의 음소 만을 소리낸다는 기분으로 짧게 발음합니다.

 받침으로 두 개의 글자를 표기한 원리는 훈민정음의 표기 원리를 사용한 것입니다. 오늘날에도 삶, 흙, 닭, 옳, 짧,.... 등의 글자에서 보듯이 두 개의 자음을 겹치는 표기 원리를 적용한 것입니다. 영어 발음이므로 우리말 발음과는 다르게 두 개의 소리를 이어서 짧게 발음합니다.

2) 서쪽 west 발음

서쪽을 의미하는 단어는 west입니다. west는 해가 지는 쪽, , 어두움 등의 단어와 같은 의미를 갖습니다. 한자에서는 서(西)라는 글자가 '새가 둥지에 들어간 모습'을 나타내고 있습니다. East West둘 다에서 st에 해당하는 우리글 표기 ㅅㅌ을 받침으로 한 번에 표현하고 있습니다. 이 두 개의 글자를 한 번에 소리를 내는 기분으로 빠르게 읽으면 됩니다. 혹은 앞의 시옷은 발음을 명확하게 하고, 뒤의 티읕은 흘리듯이 약하게 소리를 내면 위의 발음이 됩니다.

 

3) 남쪽 south 발음 : 고제윤 글자로

 영어에서 남쪽을 나타내는 southsun과 같은 어원을 가지고 있다고 보고 있습니다. 우리의 개념으로 태양이 뜨는 곳으로 동쪽이 타당해 보이지만, 영어에서는 정오 무렵의 태양이 자리하는 곳의 생각이 더 강하기 때문에 soouth는 남쪽을 의미합니다. 이 단어는 인도-유럽어족에서는 '옳은(right)'의 의미도 함께 지니고 있는 경우도 있습니다. 물론 south라는 개념은 어디를 기준점으로 삼는가에 따라 달라질 수 있을 것입니다. 그래서 어떤 기준점을 둔 경우에는 southern(남쪽의)라는 단어를 사용하고 있습니다. Southern England 처럼 기준점이 되는 주요 도시나, 수도를 기준으로 아래족을 below라는 단어 대신에 사용하는 경우를 볼 수가 있습니다.

South, North발음 고제윤 글자로

 South발음에서는 th발음에 주의하여 연습합니다. Th발음은 "양니 사이에 혀를 두고 계속해서 마찰을 일으키는 소리"라는 특성을 갖습니다. 알파벳은 가로 쓰기의 글자이기에 훈민정음 표기와는 다릅니다. 위의 글자는 '사우'발음을 한 후에 "양니로 혀룰 물고 '쓰'라는 소리를 약하게 낸다는 기분으로 발음하면 됩니다. 이 소리는 훈민정음을 활용한 "고제윤 글자 표기"에서는 시옷 아래에 작은 동그라미를 그려 넣은 표기를 사용하였습니다.

4) 북쪽 North 발음

 영어에서 북쪽을 의미하는 단어는 North입니다. 이 단어는 south에 비해서 그 어원이 불명확합니다. 다만 어원상으로는 left, below등의 의미를 가진 것으로 생각할 수도 있을 것입니다. South의 반대되는 방향을 나타내는 의미로 등장한 단어로 보입니다. 대부분의 북반구 언어에서 북쪽은 추위와 연관되어 있기 때문에 어느정도의 부정적 이미지를 지니고 있습니다. 우리나라에서는 남대문은 좋은 의미를 지니고 사랑을 받지만 북대문은 험난한 길에 위치하고 음의 기운이 들어오는 곳으로 인식하기에 사랑을 받지 못한 것으로 보입니다.

 북쪽 North 발음표현을 위해 ''아래에 영어의 번데기 발음에 해당하는 표기를 하였습니다. 우리말 시옷과는 달리 양니로 혀를 살짝물고 ''에 가깝게 내는 소리입니다 North에서 'rth'에 해당하는 소리를 ''아래 받침에 두 개의 자음을 겹쳐서 표기하였습니다. 미국식 영어 발음에서는 ''에 가깝게 소리가 나고 살짝 흘리듯이 양니로 혀를 물고 소리를 내는 ''소리를 내면 됩니다. 영국식 영어 발음에서는 리을이 소리가 나지 않습니다. 시옷아래에 작은 동그라미는 영어의 'θ'소리를 나타내기 위한 표기입니다. 이 표기는 훈민정음 창제의 원리인 하늘글자 '', 땅글자 '', 사람의 글자 ''의 원리를 활용하여 새로 만든 표기입니다. 하늘의 글자ㅅ에 ''를 추가하여 땅의 글자 ''을 만들고, 땅의 글자 ㅈ에 ''를 추가하여 사람의 글자 ''을 만들었습니다. 이 글자 표기 방법을 바탕으로 하늘, , 사람 그리고 온 세상이라는 의미에서 시옷아래에 지구를 의미하는 작은 동그라미를 표시하였습니다. 훈민정음을 활용한 "고제윤 글자"에서는 영어의 발음기호 'θ'를 대체하는 발음입니다. 

 East, West, South, North는 우리말에 없는 소리와 자음이 겹치는 소리가 있기 때문에 어려운 발음입니다. 네이버나 구글의 발음 듣기를 검색하시어 소리를 듣고 글자의 원리를 생각하여 연습하시면 도움이 될 것입니다.

 

 * 아래의 동영상은 영어 숫자 읽기를 통한 발음 연습 원리입니다.

https://www.youtube.com/watch?v=PTCvw0McTnQ

 

반응형

관련글 더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