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동계 올림픽'에서 한국 선수들이 두각을 나타내는 종목이 쇼트 트랙(short track)입니다. 쇼트트랙의 정식 명칭은 short track speed skating입니다.
이 말을 풀이해 보면
short 짧은
track 트랙, 경주로
speed 속도
skating 스케이팅입니다.
위의 각 단어 뜻 풀이에서 볼 수 있듯이 짧은 트랙에서 속도를 겨루는 스케이팅이라고 할 수 있을 것입니다. 이렇게 긴 이름을 가지고 있기 때문에 보통은 줄여서 short track이라고 부르고 있습니다. 현재 우리말에서는 short 발음은 '쇼트'로 표기하거나 '숏'으로 표기하는 경우가 있습니다. 외래어 표기법에 따른 원리가 적용된 결과이며, 두 개의 표기 모두 사용하고 있습니다.
1) 경기장 규격
짧은(short)이라는 말에서 알 수 있듯이 보통 한 바퀴가 400미터 정도 되는 스피드 스케이팅 경기장의 크기에 비해서 아주 짧은 길이라고 볼 수 있습니다. 쇼트트랙의 경기장은 111.12m의 길이입니다. 스피드 스케이팅 경기장의 4분의 1 정도의 길이이기에 short라는 말이 붙은 것입니다.
쇼트 트랙(Short track)은 다른 스피드 스케이팅과는 다르게 기록경기가 아니라, 순위 경기입니다. 여러 명이 출전하여 순위를 메기는 방식이기 때문에 그만큼 경기 외적인 요인도 많이 작용하는 경기라고 알려져 있습니다. 또한 짧은 경기장의 길이로 인해서 동양인들에게 유리한 동계 스포츠 중의 하나라고 할 수 있을 것입니다.
오늘의 영어 단어는 short track입니다.
*short라는 단어는 본 블로그의 다른 글에서도 설명한 적이 있습니다.
위의 글자는 1995년 이래로 "고제윤글자(새한글)"에서 개발한 방식으로 short track을 표기한 것입니다. 위의 글자에서 특징적인 것은 받침에 리을과 티읕이 함께 표기되어 있다는 점입니다. 그동안 우리는 일본어 방식의 한글 영어 표기로 받침 표기에 많은 제한이 있었습니다. 특히 단 하나의 외국어나 외래어 표기에서 받침 두 개를 사용한 적이 없습니다. 훈민정음 창제 당시의 원리에서는 받침으로 다양한 표기가 가능했었지만, 일제강점기를 거치면서 일본인들의 언어학 이론을 받아들이면서 생긴 변화입니다. 일본어 방식을 극복하고 원래의 훈민정음의 받침 글자 원리로 나타낸 것입니다.
발음 표기의 원리는 다음과 같습니다.
[ʃɔː r t t r æ k]
[쇼 ㄹ ㅌ ㅌ 루 ㅐ ㅋ]
위의 발음 기호를 알파벳처럼 가로로 각각의 소리를 배열했습니다. sho에 해당하는 소리는 '쇼'로 표현했고, r은 '리을'로, t는 '티읕'으로, r은 모음 앞에서는 우리말 '로, 루'로, 그리고 a는 'ㅐ' 발음, k는 '키읔'으로 표현했습니다.
각각의 소리를 알파벳의 가로 쓰기를 훈민정음의 글자 원리에 맞춰 표현하면 '숉뢬'이 됩니다. 중간에서 t가 두 번 겹치기 때문에 한 번의 소리만 표현하였습니다. 같은 소리가 두 번 반복되면 대부분 한 번만 소리가 납니다.
놀라운 사실은 비록 일제강점기를 거치면서 많이 사라진 받침 글자에 두 개의 글자를 표기하는 방법이 여전히 '숉'와 같이 타이핑 가능하다는 것입니다. 받침에 두 개의 자음을 표기하는 '흙, 옳, 않, 앉, 삶,....'등에서 보는 표기 원리가 '숉'와 같은 글자에서도 그 흔적이 살아있는 것입니다.
이제 이 원리를 바탕으로 위의 '숉뢬' 발음을 해 보시기 바랍니다. 그리고 실제 발음과의 유사성도 확인해 보시길 바랍니다. 분명 '쇼트트랙'이 아닌 '숉뢬' 혹은 '숉랰' 글자를 비슷한 발음으로 읽어내실 수 있을 것입니다.
약하게 '숄'발음을 한 후에 티읕을 흘리듯이 발음한 후에 '뢬'발음으로 연결하면 됩니다.
훈민정음을 활용한 "고제윤 글자"의 발음 연습은 아래의 동영상에서도 보실 수 있습니다.
https://www.youtube.com/watch?v=PTCvw0McTnQ
미싱, machine, 미싱을 돌리며, 미싱-머쉰 발음, missing, 고제윤 글자로 (0) | 2025.02.09 |
---|---|
블루투스 뜻, 파란 이빨이 왜 무선 통신?, blue tooth 발음, 고제윤 글자로 (0) | 2025.02.08 |
반대급부 뜻, 민법에 담긴 일본어, 일본식 법률 용어 Give & take, 고제윤 글자로 (0) | 2025.02.08 |
국평오를 아세요?, 유행어 국평5, 평균 영어로, mean, average 고제윤 글자로 (0) | 2025.02.07 |
[영어 발음 노하우] 스카이, sky 하늘 영어 발음, 쌍기역 소리, 고제윤 글자로 (0) | 2025.02.07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