상세 컨텐츠

본문 제목

미싱, machine, 미싱을 돌리며, 미싱-머쉰 발음, missing, 고제윤 글자로

고제윤 글자로 영어 발음 이해하기

by 새한글(고제윤) 2025. 2. 9. 10:21

본문

반응형

1. '미싱'과 '머쉰' : machine 

 machine을 발음기호로 표현하면  [ məˈʃiːn]입니다. 

 발음 기호에서 나타난 소리를 알파벳과 같이 가로 쓰기를 하면 [ㅁ ㅓ 수 ㅣ ㄴ]입니다. 가로 쓰기로 되어있는 소리를 훈민정음의 글자 표기로 나타내면 '머쉰'입니다.

machine과 미싱 고제윤 글자

 원래의 소리를 기준으로 글자로 나타내거나 발음을 하면 '머쉰'의 발음이 당연하다고 생각할 것입니다. 한국인이라면 이 소리를 글자로 나타낼 수 있고, 소리를 낼 수 있습니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머쉰' 대신에 '미싱'이라는 발음으로 널리 알려져 있습니다.

 우리가 사용하는 '미싱'이라는 말은 '재봉틀'이라고 표현하기도 합니다. 저도 미싱을 사용하여 옷을 만들어 본 적이 있습니다. 제가 운영하는 유튜브 '글퍼블릭' 에서도 그 옷을 선보인 적이 있습니다. 조선시대 복식에 관한 내용을 검토하여, 직접 디자인해 보았습니다. 디자인한 옷을 '미싱'으로 바느질하여 옷을 만들었습니다. 한복을 어떻게 만들었는지, 궁금해서 만들어본 것입니다. 

2. '미싱' 발음의 유래

 '미싱'이라는 단어는 'sewing machine(바느질하기 위한 기계)에서 앞의 sewing은 사라지고 뒤의 'machine'만 남은 단어입니다. 이 단어는 일본인들이 machine'미싱'이라고 발음하면서 나온 말입니다. 일본과 우리나라가 똑같이 machine을 미싱(우리나라) ミシン미싱(일본) 이라고 표현하고 있습니다. machine발음이 missing(놓친 것)과 같은 발음이 된 것입니다.

 그러면 어떻게 '머쉰'이라는 발음이 '미싱'으로 되었는가?하는 점이 궁금할 것입니다. 이 발음을 이해하기 위해서는 우선 일본어의 구조를 이해해야 합니다. 일본어는 기본 모음이 '아, 에, 이, 오, 우'의 다섯입니다. '나니누네노'와 같은 발음을 보면 이 다섯 개의 모음을 기본으로 합니다. 워낙 우리의 마음에 "모음은 아, 에, 이, 오, 우"라는 원칙으로도 자리잡았기에 이상한 점을 느끼지 못할 수도 있을 것입니다.

 위의 모음 다섯을 "어, 어, 어, 뭔가 이상해?"라고 생각하셨다면 '어'가 없다는 것을 눈치채셨을 것입니다. 물론 우리말에 비해 현저하게 적은 숫자의 모음이라는 것도 이해하셨을 것이라고 생각합니다.

 일본어에선  Machine발음에 있는 '어' 발음이 없습니다. 없으면 어떡해?

 일본인들은 대부분 '어' 발음을 '아' 발음으로 바꾸어 발음합니다. 'Center'센타', fiber'화이바', dollar'달라', driver '도라이바',....등의 발음에서 볼 수 있는 사례들입니다. 이에 비해 오늘의 영어 발음 machine은 '어' 발음을 '이' 발음으로 바꾸어 발음하는 것을 볼 수 있습니다. 일본어 발음에 없는 '어' 발음 대신에 '아, 에, 이, 오, 우' 중의 하나로 읽는 것입니다. 

 일본어 발음에서는 우리말 받침처럼 소리나는 경우는 니은, 이응 등의 유성음입니다. '머쉰' 발음이 '미신' 대신에 '미싱'의 이응 받침 소리처럼 변경된 것입니다. 이 두 개의 유성음 사이의 교환이 일어난 것이고, 이 발음을 우리가 흉내 내면서 생긴 발음이 '미싱'입니다.

3. Machine '미싱'

 "노래를 찾는 사람들"이 부른 "사계"라는 노래가 있습니다.  지금 들어도 가끔은 먹먹한 가사로 다가옵니다. 한 때 우리나라의 주요 산업이었기에 많은 이들이 공장에서 미싱을 돌리던 시기도 있었습니다

"따스한 봄바람이 불고 또 불어도

미싱은 잘도 도네 돌아가네"

 가사에서 떠오르는 풍경이 시린 기억으로 다가오는 분들도 있을 것입니다. 젊은 시절 봄 바람이 살랑일 때 봄 나들이 대신 무표정하게 기계처럼 미싱을 돌리던 모습이 그려지기도 할 것입니다.

 

 일본어 방식의 영어 발음이 아닌  훈민정음을 활용한 "고제윤 글자" 원리는 아래 동영상에서도 보실 수 있습니다.

https://www.youtube.com/watch?v=3NZoKZXFHWM

 

반응형

관련글 더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