동그란 모양의 물체를 표현하는 말은 대부분의 언어에서 존재합니다. 한국어에서는 동그랗다, 둥그렇다 등의 표현 이외에도 한자어를 사용한 '공球'를 사용한 축구, 농구, 배구, 야구, 전구 등의 '구'자가 있으며, 둥글 '원圓'을 사용하는 원형, 원기둥, 원뿔 등의 표현도 있습니다. 그외에도 일본어 발음 '다마'를 사용하여 '전구, 전기다마', '다마네기' 등의 표현도 있습니다. 지금도 가끔 '양파'를 '다마네기(たまねぎ)'라고 말하는 것을 들을 수 있습니다. '다마'라는 일본 말에서 '둥근 것'을 의미하며 한자어 구슬 '옥玉'에 해당합니다. 한국어에서는 "구슬이 서 말이라도 꿰어야 보배."라는 말에서 '구슬'과 같은 표현이 있습니다.
오늘은 둥근 모양에서 유래한 bulb(전구)발음을 통해서 영어, 한국어, 일본어 발음 원리를 살펴보겠습니다.
1) bulb의 유래
둥근 모양에 붙인 이름 bulb는 둥근 모양의 뿌리'를 의미하는 onion(양파)와 같은 의미에서 출발한 단어라고 할 수 있습니다. 모양을 중심으로 붙인 이름이라는 의미에서 그러합니다.
에디슨의 가장 뛰어난 발명품 중의 하나가 전구의 발명입니다. 밤도 낮처럼 환하게 밝힐 수 있는 계기가 된 것도 에디슨의 발명이 있었기 때문에 가능했습니다. 지금의 백열등은 진공이나 진공에 가까운 상태를 유지하기위해 질소나 알곤 가스를 공 모양의 유리에 넣어서 만듭니다. 그 공 모양의 유리 안에 높은 열에도 견디는 필라멘트를 꼬아서 빛을 내도록 하고 있습니다. 어려서부터 익숙한 불빛이어서 인지 제게는 "따뜻한, 정감어린 불 빛"이지만 지금은 대부분 LED전구를 사용하기도 합니다.
보통 우리가 백열등, 혹은 전구라는 단어는 영어로 light(빛) + bulb(양파처럼 둥근 모양 onion)입니다. 전구라는 말은 electric bulb를 번역한 말로 electric은 전기, bulb는 '둥근 뿌리'이며 한자어로는 '구근(球根)'으로 표현합니다. 일본어에서 '양파'에 '다마'라는 말을 사용한 이유이기도 합니다.
1) 영어 발음
Bulb를 발음 기호로 표현하면 [ bʌlb ]입니다. 이 소리를 한글로 알파벳과 같이 각각의 소리를 음소 글자 가로 쓰기로 표현하면 [ㅂ ㅓ ㄹ ㅂ]입니다. 영어의 b는 목젖이 울리는 소리(유성음)라는 특성에서 한글 비읍과는 다른 소리이지만 비교적 비슷한 발음인 비읍으로 표현했습니다. 이렇게 소리를 가로 쓰기한 형태의 글자에 더하거나 빼는 것 없이 각각의 소리를 모아서 호흡의 단위로 표현하면 '벏'입니다. 훈민정음을 활용한 "고제윤 글자"의 표기 원리이며, 가로 쓰기가 아닌 받침 글자로 사람의 숨 쉬는 과정에서 소리가 나오는 것을 반영한 것입니다.
2) 일본어 발음 bulb
영어 단어 bulb의 일본어 발음은 'バルブ(바루부, 바르브)'입니다. 원래의 일본어에서는 'ㅡ' 발음에 해당하는 글자가 없지만 일본인들이 외국어 발음을 이해하면서 'ㅜ' 대신에 'ㅡ'발음으로 표현하는 것을 반영하여 '바르브'로 괄호에 표기 하였습니다. 또한 가타카나의 표기에서 bulb는 같은 b가 두 개의 소리로 나타낸 것 역시 볼 수 있습니다. 앞의 bバ 와 뒤의 ブ소리는 서로 다른 글자로 표현한 것을 볼 수 있습니다.
일본어 발음에서 두드러진 특징은 일본어에는 '어' 발음이 없기 때문에 [ʌ]소리를 'ㅏ'소리로 변형하여 표현하는 것을 볼 수 있습니다. 일본어에 들어 온 외국어 발음은 모두 이런 원칙을 따르고 있습니다. '어' 발음이 없기에 다른 모음으로 변환하는 원리입니다. 역사적으로도 일본어에 '시마'라는 말은 한국어 '섬'이 변형되었을 것이라고 제가 주장을 하는 것도 이러한 언어적 원리에서 비롯된 것입니다.
3) 한국어 발음
한국어에서는 bulb발음을 보통 '벌브'로 발음합니다. 영어에는 없는 '으'라는 모음을 덧붙여 발음하는 원리입니다. 일제 강점기를 거치면서 형성된 원리 중의 하나입니다.
'벏'처럼 받침 두 개를 표기하기 위해서 제가 직접 글자를 그리거나 사진을 찍어 모형을 만드는 수고를 해야합니다. 신기한 일이지만 아직도 훈민정음의 받침 표기 원리가 남아 있기에 '벏'는 그런 수고 없이 그냥 키보드로 입력할 수 있습니다. 여러분도 한 번 타이핑 해보시기 바랍니다. 한글 타자기를 개발하면서 받침 글자를 적용하기 어려웠던 상황에서도 받침 리을 비읍은 한국어에서 '밟아"와 같은 글자에 남아 있기에 가능한 것입니다. 가로 쓰기의 글자 배열인 알파벳이나 발음 기호와 다른 훈민정음 표기가 가진 원리입니다.
* 훈민정음을 활용하여 세계의 모든 소리를 표기하는 "고제윤 글자"의 원리로 발음 연습하기는 아래의 동영상에서도 보실 수 있습니다. - 영어 숫자 읽기로 발음 교정하는 원리입니다.
https://www.youtube.com/watch?v=3NZoKZXFHWM
dessert 디저트 유래와 발음, 고제윤 글자로 (2) | 2025.03.21 |
---|---|
양배추 영어 일본어 발음, cabbage, 캐비지, 고제윤 글자로 (0) | 2025.03.21 |
샌드위치 유래와 산도 그리고 안도, sand, and로 영어 발음 교정 고제윤 글자로 (1) | 2025.03.20 |
돈가스 영어로, 돈가스 발음 유래, porkcutlet, cotolétta,고제윤 글자로 (5) | 2025.03.20 |
확인 체크 영어로, check, 췤,チェック, 고제윤 글자로 (1) | 2025.03.19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