일반적으로 인정하는 dessert는 프랑스어 desservir로 보고 있으며 그 의미는 '테이블을 치우는 것(to clear the table)'의 의미를 갖고 있습니다. 식사를 마치고 식탁을 치운 후에 먹는 음식이라는 의미에서 타당성이 있어 보입니다. 한국의 음식 문화에서도 dessert라는 단어는 자주 사용하는 표현이기도 합니다. 힌지아러 '후식(後食)'으로 표현하기도 합니다.
* 오늘은 dessert의 영어, 한국어, 일본어의 발음 원리를 살펴봅니다.
1) 영어 발음 dessert
영어에 들어 온 프랑스어는 영어에서는 dessert라는 글자를 사용하고 있고, 발음 기호로는 [ dɪˈzɜːrt ]입니다. 영어의 입장에서는 외국어의 일종이었기에 미묘한 소리의 차이가 있다는 점을 고려하여 [ ɜ ]발음 기호를 사용하여 일반적인 영어의 'ㅓ' 과 미묘한 차이를 나타낸 것으로 보입니다.
Dessert의 발음에서는 ss가 영어의 z발음입니다. 영어의 z발음은 현재의 한국어에서는 존재하지 않는 소리로, 대부분의 한국인들은 '시옷, 지읒'으로 이해하는 것을 볼 수 있습니다.
2) 일본어 발음 dessert
Dessert의 일본어 발음은 '데자또(デザート)'입니다. 일본어에서는 z발음을 갖고 있지 않기 때문에 '지읒'과 비슷한 소리로 이해하고 있음을 볼 수 있습니다. 또한 일본어에서는 '어' 발음이 없기 때문에 '아' 발음으로 변형하여 발음하고 있습니다. '자( ザー)'로 표현한 부분에서 그 원리가 드러납니다. Dessert에서 r발음은 약한 발음이나, 거의 들리지 않는 발음이기에 r소리는 생략하고 있습니다. 마지막으로 dessert에서 t는 한국어와는 다르게 '티읕'이 아닌 '타(따), 티(띠), 투(뚜), 테(떼), 토(또)'중의 하나의 소리로 이해하고 있습니다. Dessert에서는 '또(토)'발음입니다.
3) 한국어 발음 dessert
한국어는 일본어와는 다르게 '어' 발음이 있기 때문에 일반적으로 '디저트'로 발음하고 있습니다. 일본어와 마찬가지로 dessert의 r은 생략하였고, 마지막 글자인 t를 '티읕'이 아닌 '트'로 표현한 것을 볼 수 있습니다. 영어에는 없는 'ㅡ'를 넣어서 '티읕'이 아닌 '트'로 표현한 것입니다. 일본어와 같은 원리입니다.
4) 고제윤 글자로 dessert
발음 기호로 표현한 [ dɪˈzɜːrt ]를 훈민정음 활용 "고제윤 글자"로 표현한 것이 위의 표에서 보는 맨 오른쪽 글자입니다. 이 글자에서는 다음의 두 가지 특성을 담고자 했습니다. 영어의 z발음을 세모 모양의 글자로 나타냈습니다. 영어의 z발음을 훈민정음 창제 당시의 글자인 '반치음(세모 모양의 글자)'로 표현하여 시옷이나 지읒과는 다른 유성음의 특성을 반영한 것입니다. 다음으로 받침에 리을과 티읕을 표현했습니다. 알파벳은 그 특성이 가로 쓰기의 방법이기에 자음이 겹치는 경우는 당연합니다. 자음 겹치는 상황을 일본어처럼 음절로 이해하는 것이 아니라 소리의 기본 단위인 음소로 나타낸 것입니다. 't'를 '트'가 아닌 '티읕' 자체로 표기하는 방법입니다. 이렇게 표현함으로써 원래의 소리에 비해 불필요하게 길어지는 소리를 방지하고 하나의 호흡에 하나의 소리 글자로 나타낸 것입니다. 훈민정음의 소리 글자 원리를 그대로 적용한 것입니다.
* 받침 글자의 발음 원리는 아래의 동영상에서도 보실 수 있습니다.
https://www.youtube.com/watch?v=gVrWd11XlkM
서울 영어로, Seoul 일본어로, 한자로, 고제윤 글자 발음 원리 (4) | 2025.03.22 |
---|---|
바나나 영어로, banana=finger(손가락), 바나나 고제윤 글자로 (0) | 2025.03.22 |
양배추 영어 일본어 발음, cabbage, 캐비지, 고제윤 글자로 (0) | 2025.03.21 |
전구 영어로, onion=bulb, 다마-구슬 그리고 bulb, 고제윤 글자 (1) | 2025.03.21 |
샌드위치 유래와 산도 그리고 안도, sand, and로 영어 발음 교정 고제윤 글자로 (1) | 2025.03.20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