알파벳으로 표현된 다음의 단어들을 보면 비슷한 발음들을 보실 수 있을 것입니다.
pəter | Proto-Indo-European root |
pater | Latin |
patēr | Greek |
father | Modern English |
fadēr | Proto-Germanic |
* 위 표에서 사용한 proto는 당시의 언어가 그러했을 것으로 추정하는 방법으로 표현한 소리입니다. 언어학에서는 '재구'라는 방법으로 이전의 언어 표현을 구성하는 것입니다.
위의 단어들은 오늘날 영어 단어에서 father로 발음하는 아버지에 대한 각각의 발음입니다. 이들 글자를 보면서 발음이 매우 비슷하다는 것을 느끼실 수 있을 것입니다.
많은 언어학자들이 관심을 갖고 연구한 단어 중의 하나가 '어머니(엄마), 아버지(아빠)'일 것입니다. 가족 구성원 중의 하나이기에 그 이름에 어떤 공통점을 찾아서 언류가 어떻게 소리 언어를 만들어내고 사용했는지를 살펴보기 위함입니다. 저 역시 세상의 모든 '엄마(어머니)'발음이 왜 비슷한지에 대한 학자들의 의견을 네이버 블로그와 유튜브 "글퍼블릭"에서 제시하기도 했습니다.
오늘은 father라는 단어를 발음하는 영어, 한국어, 일본어의 소리를 비교해서 살펴보도록 하겠습니다.
1) 영어 발음 father
영어 단어 father를 발음 기호로 표현하면 [ ˈfɑːðə(r) ]입니다. 이 소리에는 한국어에는 없는 f발음과 th발음이 들어 있습니다. F소리는 "윗니로 아랫입술을 물고 계속해서 마찰을 일으키는 소리"입니다. 이 소리는 한국어에는 없기 때문에 비슷한 소리로 생각하는 '피읖(p)'으로 발음하고 있습니다. P와 f는 영어에서는 명확히 다른 소리(변별음)입니다.
Father의 'th'발음은 알파벳 글자로는 그 소리를 표현하기 어렵기 때문에 발음 기호 [ ð ]를 사용하여 나타내고 있습니다. 알파벳으로는 그 소리를 구별하지 못하기 때문에 발음 기호로 표현한 것입니다. 발음 기호로 표현한 [ ð ]는 "양니로 혀를 살짝 물고 계속해서 마찰을 일으키는 소리이며, 목젖이 울리는 소리(유성음)'입니다.
Father에서 'e'로 표현한 글자는 발음 기호로 [ ə ]로 나타내고 있습니다. 알파벳에는 훈민정음의 글자인 '어'에 해당하는 글자가 없기 때문에 발음 기호로 나타낸 것입니다. 알파벳은 모음을 나타내는 글자는 a, e, i, o, u의 다섯 글자가 주로 사용됩니다. 이 글자에서 '어'를 나타내는 명확한 글자가 없기에 a, e, u등이 주로 '어' 발음에 사용됩니다.
2) 일본어 발음 father
일본어 역시 한국어와 마찬가지로 f발음과 th발음이 없습니다. 영어의 f소리는 일본어에서는 h(히읗)과 관련한 소리로 나타냅니다. 일본어에서는 father의 'fa'를 '하(파)ファ'로 나타내고 있는 것을 볼 수 있습니다. 오늘날 일본인들은 이 글자를 점차로 '파'와 비슷하게 발음하는 경향을 보이기도 합니다. 물론 대부분의 발음에서는 예를 들어 '코히(coffee)'처럼 '히읗' 발음을 사용하고 있습니다.
한국어에서도 일제 강점기를 거치면서 일본인들과 같이 f를 히읗(h)소리로 나타낸 경우가 있었으며, 오늘날에도 그 표현이 남아있기도 합니다. 환타(Fanta), 호일(foil), 화일(file), 화이팅(fighting), 화이바(fiber), 웨하스(wafers),....등의 발음이 그것입니다.
일본어 발음에서 father의 'th'는 한국어 '지읒'처럼 발음합니다. 한국어에도 그 발음이 전래되어 leather(레자), algorithm(알고리즘) 등의 발음에서 '지읒'으로 발음하기도 합니다.
Father발음에서 'e'는 '어' 발음입니다. 일본어에서는 '어' 발음이 없기 때문에 '어' 소리는 다른 모음으로 대체하는 현상이 발생합니다. 대부분 '아'소리로 바뀌는 것을 볼 수 있습니다. Father에서도 일본어 발음은 'e'를 'ㅏ'로 변화시켜 발음합니다.
Father발음에서 마지막 글자인 'r'은 발음 기호에서 보듯이 괄호로 표현한 소리로, 거의 들리지 않거나 약하게 들리는 소리입니다.
Father 발음은 일본어에서는 위의 원리에따라 '하(화)자 ァーザー'처럼 발음합니다. 현재의 일본어 발음을 알파벳으로 표현하면 'haja'라고 할 수 있습니다.
3) 한국어 발음 father
한국어 발음에서는 f와 th발음을 p와 d소리로 변경하여 발음하는 것을 볼 수 있습니다. F소리와 th소리가 없기 때문에 가장 비슷한 소리로 생각하는 '피읖'과 '디귿'으로 발음하는 것입니다. 한국어에서 '디귿'은 영어의 d나 th와는 다르게 목젖이 울리지 않는 소리입니다. 그럼에도 가장 비슷한 소리로 발음하면서 '디귿'소리로 표현하는 것입니다.
한국어 발음을 알파벳으로 표현해 보면 'pader'와 비슷한 글자가 될 것입니다.
4) 고제윤 글자로 father
훈민정음을 활용한 "고제윤 글자"에서는 우리말에 없는 'f'소리에는 피읖 아래에 작은 동그라미를 그려 넣은 글자를 개발하여 표기하고 있습니다. 마찬가지 원리로 우리말에 없는 소리 'th [ ð ]'에는 디귿 아래에 작은 동그라미를 그려 넣은 표기를 개발하여 나타내고 있습니다.
위의 글자를 읽는 방법은 영어 발음의 경우 "윗니로 아랫입술을 물고 '파'라고 발음한 후에 양니로 혀를 살짝 마찰시키면서 '더'라고 발음하는 것"입니다. 'th' 발음을 하면서 목젖이 울리면 영어 발음과 같은 소리가 될 것입니다.
* 훈민정음을 활용한 영어 발음 표기 "고제윤 글자"로 소리 연습하기는 아래의 동영상에서도 보실 수 있습니다.
https://www.youtube.com/watch?v=PTCvw0McTnQ
퍼센트 계산 원리, percent 의미, 분수식, %, 퍼센트, 고제윤 글자로 (11) | 2025.03.29 |
---|---|
Come & see, 와 보라! 영어로, come and see, 고제윤 글자로 발음 하기 (0) | 2025.03.28 |
빵꾸와 펑크 영어로, 빵꾸 발음 원리, punc-パンク, 고제윤 글자로 (2) | 2025.03.27 |
파마 - 펌 영어로, perm, 펆, パーマ(파마), 고제윤 글자로 (4) | 2025.03.26 |
헬리콥터 뜻과 발음, 헬기, helicopter 고제윤 글자로 (4) | 2025.03.26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