상세 컨텐츠

본문 제목

Come & see, 와 보라! 영어로, come and see, 고제윤 글자로 발음 하기

고제윤 글자로 영어 발음 이해하기

by 새한글(고제윤) 2025. 3. 28. 18:46

본문

반응형

 1. Come and see :  발음 원리

  1)  영어와 알파벳 소리 표기 원리 : 띄어 쓰기와 연음

 알파벳을 사용하는 영어의 소리 표기는 의미 단위인 단어 기준으로 띄어 쓰기를 합니다. 현재의 한글도 띄어 쓰기를 하고 있습니다.

 반면에 띄어 쓰기를 사용하지 않는 언어도 있습니다. 일본어나 중국어의 경우는 문장 단위의 띄어 쓰기가 일반적입니다.

 

 알파벳은 또한 가로 쓰기의 방법을 사용하고 있습니다. 소리에 해당하는 글자를 단순히 가로로 배열하는 방법입니다. 한글과 같은 받침 글자 원리가 없다는 의미입니다.

 

 소리 글자의 배열을 가로로 나타내면서 간혹 혼란을 일으키는 경우가 있습니다. 띄어 쓰기가 된 곳에서 호흡을 멈추어야 하는가 아니면 뒤의 소리와 연결하여 소리를 내야 하는가 하는 문제입니다. 띄어 쓰기만 놓고 보면 소리와 글자에 맞춰 숨을 멈추고 다음으로 연결할 것 같지만, 실제 말을 하는 경우에는 그렇지 않습니다. 뒤의 소리와 연결하여 발음한다는 것입니다. 뒤의 소리와 연결하여 발음한다는 것을 한자어로 '연음'이라고 표현합니다.

 

 오늘은 come and see라는 발음을 띄어서 발음하는 경우와 연결하여 발음하는 방법을 살펴봅니다.

come and see 고제윤 글자로

 

2. Come and see 발음 : 영어, 한국어, 일본어

1) 영어 발음 : come and see

 Come and see를 발음 기호로 표현하면 [ kʌm ænd siː ]입니다. 알파벳과 발음 기호는 모두 가로 쓰기로 소리를 배열하는 방법입니다. 한글 표기를 사용하여 가로 쓰기로 표현하면 [ㅋ ㅓ ㅁ ㅐ ㄴ ㄷ ㅆ ㅣ]와 같습니다.

 이 소리를 훈민정음을 활용한 "고제윤 글자"로 표현하면 맨 아래의 글자가 됩니다. 소리를 더하거나 빼는 것 없이 각 소리를 받침 표기의 원리를 적용하여 나타낸 것입니다. 지금의 한글과 다른 표기는 and의 발음 표현입니다. 받침에 니은과 디귿을 함께 나타냈습니다. 실제 한글에도 '삶'과 같이 두 개의 자음을 표기하는 방식을 사용하고 있기도 합니다. 받침으로 두 개의 소리를 나타냈을 때, 소리를 내는 방법 역시 대부분의 한국인들은 이해하고 있을 것입니다. And의 영어 발음 역시 받침으로 니은과 디귿을 표기하였습니다. 소리를 내는 방법은 '앤' 발음 후에 'ㄷ'을 약하게 흘리듯이 발음하는 것입니다. 자음이 겹칠 때의 소리 방법입니다. 나머지 come(컴)과 see(씨)는 한글 표기 방법으로 읽어낼 수 있을 것입니다.

 

2) 일본어 발음 : come and see

 Come and see를 일본인들의 발음으로 적어 보면 '가(카)무 안도 씨(カム アンド シー)' 정도의 발음을 보이고 있습니다. 실제의 영어 발음과 다르게 보이지만 일본어의 특성을 반영한 것입니다. 우선 c는 k소리이며 이 소리는 일본어에서는 기역(키읔)소리와 모음을 연결한 소리입니다. 일본어에서는 자음'k'가 단독으로 소리나지 않기에 모음과 연결합니다. 이때 뒤의 모음 '어'가 일본어에는 없기 때문에 '아'로 바뀌는 것이 일반적입니다. '커' 소리 대신에 '카(가)'로 바꾸어 발음합니다.

 

 다음으로 come을 한글에서는 '컴'으로 표현할 수 있지만, 일본어는 받침 원리가 없기에 받침 '미음'은 새로운 모음과 결합한 소리로 바뀝니다. 위에서 보는 '무(ム)' 발음이 그것입니다.

 

 And의 발음은 [ænd] 입니다. 일본어 발음에서 'æ' 모음이 없기에 이 소리 역시 '아'로 바꾸어 발음합니다. 이어서 'nd'에서 자음 n(ㄴ)은 an으로 연결하여 '아 (ア) +ㄴ (ン) =안)'으로 발음합니다. And의 마지막 소리인 d는 일본어에서는 독립된 자음이 될 수 없으므로 모음과 결합하여 '다, 디, 두, 데, 도' 중의 하나가 됩니다. 여기서는 '도(ド)' 발음으로 표현한 것을 볼 수 있습니다. 이러한 원리를 적용하여 '안도 (アンド)'로 발음합니다.

 

 See의 경우에는 발음 기호에서 볼 수 있듯이 자음 's'와 모음 'ee(i) 가 결합한 [si:]이기에 일본어 역시 '씨(シー)' 발음으로 표현한 것을 볼 수 있습니다.

 Come and see가 일본어 발음에서는 '가(카)무 안도씨'처럼 들리는 원리입니다.

 3. 연음 표기에도 최적화 한 훈민정음 표기

 영어는 단어 단위로 띄어 쓰기를 하고 있지만 실제 소리를 내는 과정에서는 연결하여 발음합니다. 특히 빠르게 말을 하는 경우에는 연결하거나 거의 소리가 안 나는 경우도 존재합니다. Come and see의 경우에는 Come에서는 e가 원래 소리가 나지 않았으므로 "comandsee'처럼 연결하여 발음합니다. 또한 위의 훈민정음을 활용한 "고제윤 글자"에서 제시한 것처럼 자음 두 개가 겹치는 발음 소리에서 nd는 'n'이 비교적 명확하게 소리가 나는 반면에 'd'는 약하거나 거의 소리가 나지 않습니다. 빠르게 말을 하는 경우라면 거의 소리가 나지 않는다고 보는 것이 정확할 것입니다. "Come and see"의 발음을 연결하여 발음을 하면 "Comansee"와 같이 될 수 있다는 의미입니다.

 여기에서 중요한 또 하나의 원리가 있습니다. 영어의 경우에는 특정한 단어들이나 기능만을 담당하는 단어들은 약하게 발음하는 경향을 보입니다. And의 발음이 '언, 은, ㄴ' 등으로 소리가 나는 것입니다. 이러한 원리를 적용하면 "Come and see"의 실제 발음은 "커믄씨, 커먼씨"처럼 될 수 있는 것입니다.

 

 놀라운 사실은 훈민정음의 소리 글자 표기 원리를 적용하면 위에서 제시한 글자 표기처럼 'and'의 발음을 명확하게 표현할 수도 있고, 연결하여 발음하는 경우에도 그 소리를 변화한 소리에 맞춰 표현할 수 있다는 것입니다. 이 글자 원리로 소리의 호흡에 맞추어 발음한면 세계의 모든 소리를 발음 할 수 있을 것입니다.

 

 * 훈민정음을 활용한 "고제윤 글자"로 영어 발음으르 연습하는 원리는 아래의 동영상에서도 보실 수 있습니다.

https://www.youtube.com/watch?v=PTCvw0McTnQ

 

반응형

관련글 더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