건설 현장에서 쓰는 큰 망치를 '오함마'라고 부르는 경우가 있습니다.
오늘은 '오함마' 발음의 유래를 통해서 일본어에서 영어 발음 원리가 우리말에 들어온 과정을 살펴봅니다.
오함마는 일본어 '오오함마'에서 유래한 발음입니다. '큰'을 의미하는 '오오'와 영어 단어 hammer를 합친 용어입니다. 일본어 표현에서는 '오오함마おおハンマ [大ハンマ]' 한국어에서는 '오함마'로 발음하고 있습니다.
영어의 발음 원리를 알고 계신분들은 대부분 hammer의 발음이 '해머'아니야?라는 의문을 가질 것입니다. 선뜻 이해하기 어려운 '해머'와 '함마' 발음의 차이로 생각하실 것입니다. '큰'을 의미하는 '오오'는 일본어 표현이라고 하더라도, '함마' 발음이 어떻게 가능하지 하는 의문일 것입니다.
결론적으로 말하면, 일본어에서는 '어' 발음이 없기 때문에 생긴 현상입니다. 무의식적으로 넘기기 쉬운 내용이지만 일본어에서는 '어' 발음과 글자가 없습니다. 엄격하게 말하면 알파벳에서도 '어'를 표기하는 글자는 없습니다. 발음 기호로만 표현 가능한 소리입니다. 이에 비해서 훈민정음은 다양한 모음 표현이 가능합니다.
당연히 일본어의 경우에는 '어'를 다른 소리로 표현하거나 표기하는 방법을 찾을 수 밖에 없습니다. 영어에서는 발음 기호로 나타내는 방법을 사용하고 있습니다. 일본어의 경우에는 다른 모음으로 바꾸는 방법입니다. 영어 단어 중에서 일본을 거쳐 우리말에 들어온 발음을 보면 다양한 증거를 찾을 수 있습니다. Center를 '센타'로, perm을 '파마'로, fiber를 '화이바'로, dollar를 '딸라'로, wafers를 '웨하스'로 표현하는 등등의 무수한 단어에서 동일한 원칙을 적용하고 있습니다.
오늘의 영어 단어 hammer역시 같은 원리로 우리말에 들어온 표현입니다.
1) 영어 발음 : hammer
영어 발음 'hammer'는 글자 만 보고 그 발음을 읽을 수 없으므로 발음 기호로 표현합니다. 알파벳의 한계로 인한 것입니다. 발음 기호로 표현하면 [ ˈhæmə(r) ]입니다. 이 소리를 발음 기호 표기처럼 가로 쓰기 한글로 표현하면 [ㅎ ㅐ ㅁ ㅓ(ㄹ)]입니다. 훈민정음의 원리로 이 소리를 호흡에 맞춰 표현하면 '해머, 해멀'와 같이 쓸 수 있습니다. 그리고 대부분의 한국인들은 이 글자를 소리로 표현할 수 있습니다. 훈민정음을 활용한 "고제윤 글자"에서도 같은 표현을 적용하여 표기하고 있습니다.
2) 일본어 발음 : hammer
일본어의 소리 구조를 보면 발음 기호 [æ]에 해당하는 모음이 없습니다. 한국인들은 '애'와 '에'를 구별하여 표기하고 있습니다. 안타까운 일이지만 일제강점기를 거치면서 한국어에서는 '애'와 '에' 발음 구별이 명확하지 않은 상황이 발생했습니다. 오늘날 저 역시도 이 두 발음으로 인해서 제 이름을 불러줄 때 "글자로 '저'에 '이' 붙인 '제'입니다."라고 말하곤 합니다.
일본어에서는 이런 경우에 글자로 읽는 방법, 즉 a를 소리와 상관없이 '아'로 발음하는 경우가 대부분입니다. 따라서 h(ㅎ)과 결합하여 '해'가 아닌 '하'발음을 합니다.
다음으로 mmer의 경우에는 두 개의 m에서 m은 한국어의 받침 소리처럼 표현합니다. 물론 가로 쓰기로 표현하는 방법입니다. 한글로 표현하면 'ㅎ ㄴ(ㅁ) ハン'입니다. 일본어에서 'ン'은 니은, 미음, 이응의 세 개의 소리를 갖습니다. 실제 소리는 그 단어에 맞춰서 발음합니다. '한, 함, 항'에 해당하는 소리이고, hammer에서는 '함'처럼 발음하는 것입니다. 'mer'발음은 앞에서 말한 것처럼 me에 해당하는 '머' 소리에서 'ㅓ' 소리를 낼 수 없기에 '마(マ)'로 발음합니다. 그리고 마지막 'r' 발음은 약한 소리이거나, 발음하지 않는 경우도 있기 때문에 생략합니다.
이러한 일본어의 표현 원리가 적용되어 '함(한)마ハンマ'로 표현하는 것입니다.
저는 어떤 표현이 일본어이기 때문에 사용하지 말자는 것은 아닙니다. '오함마'라는 표현에서 볼 수 있듯이 우리의 훈민정음 표기를 사용하면 세상의 모든 소리를 그대로 표기할 수 있고, 실제 가까운 소리로 이해할 수 있음에도 불구하고, 일본을 거쳐 들어 온, 혹은 일본어 방식의 원리를 적용하지 말고 훈민정음이 지닌 놀라운 과학적 언어 표현 원리를 적용하자는 것입니다.
1995년 이래로 훈민정음을 활용한 "고제윤 글자"는 세상의 모든 소리 표기 원리를 제시하고 있습니다. 아래의 동영상에서도 보실 수 있습니다. 본 블로그에서는 영어, 일본어, 말레이-인도네시아어를 중심으로 제시하고 있습니다.
https://www.youtube.com/watch?v=3NZoKZXFHWM
수학 영어로, mathematics, math, 數學, 고제윤 글자로 (4) | 2025.04.08 |
---|---|
골뱅이 영어로, at sign = @, at 발음 고제윤 글자로 (0) | 2025.04.08 |
후레쉬-프레쉬, 신선한 영어로, fresh 발음, 고제윤 글자로 (0) | 2025.04.07 |
엘리베이터와 에레베타, elevator발음, 고제윤 글자로 (0) | 2025.04.07 |
지브리 뜻, 지브리 이미지, GHIBLI(사막의 열풍) 발음, 고제윤 글자로 (4) | 2025.04.07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