상세 컨텐츠

본문 제목

동명사 Gerund의 의미와 기능 : 영어 문법

기호 언어학

by 새한글(고제윤) 2023. 8. 15. 00:56

본문

반응형
 목차
1. 동명사의 의미와 형태
2. 동사+ing의 형태
3. 동명사의 쓰임

1. 동명사의 의미와 형태

 동명사라는 말은 '동사+명사'라는 의미를 갖습니다. Gerund라는 말은 '어떤 행위를 하는 것'이라는 의미를 지니고 있습니다. 행동을 명사형태로 변화시켰다는 의미를 갖습니다. 출발은 행동과 관련되는 동사에서 출발하여 문법적 기능은 명사의 역할을 하는 것이라고 정의할 수 있습니다.

 '동사'라는 말은 '움직일 동, 품사 사'라는 한자어가 결합된 표현입니다. 동사의 한자어 의미는 '움직임을 나타내는 품사'로 정의하고 있지만, 언제나 그런 것은 아닙니다. 예를 들어 be동사와 같은 경우는 '이다, 있다'라는 의미이며, 명백히 동사이지만 움직임을 포함하고 있지는 않습니다. 언제나 적용되는 원리는 아니기에 개인적으로는 영어의 단어 뜻이 '다'로 끝나는 말로 이해하는 것을 추천하고, 저 역시 수업 중에는 말 끝이 '다'로 끝나는 단어들을 동사로 지도하고 있습니다.

 동사가 명사로 바뀐다는 것이 의미하는 것을 좀 더 구체적인 형태로 살펴보면, 단어 자체가 동사와 명사 둘 다로 사용되는 경우가 있습니다. 그 쓰이는 위치에 따라 같은 단어가 동사가 되기도 하고 명사가 되기도 하는 것입니다. 예를 들어 'Love'라는 말이 '사랑'이라는 명사 형태로 사용되기도 하겠지만, '사랑하다'라는 의미로 사용될 수도 있습니다. '사랑하다'는 끝이 '다'로 끝났으므로 동사라고 정의할 수 있는 것입니다.

 동사가 명사로 바뀌어서 사용되는 일반적인 형태는 '동사+ing'입니다. '동사'에 문법적 기능을 하는 'ing'를 붙임으로써 명사의 역할을 하는 경우가 있습니다. '동사+ing'에서 명사의 역할을 하는 것이 바로 동명사가 되는 것입니다. 명사가 하는 역할을 모두 할 수가 있습니다. 문법적으로는 주어, 목적어, 전치사의 목적어와 같은 역할을 하는 경우를 일컫습니다.

2. 동사+ing의 형태

 2.1. 현재분사

 동사에 'ing'가 붙은 형태 중에서 가장 많이 혼동하는 경우가 '동사+ing'가 현재분사(형용사)로 사용되는 경우입니다. 흔히 '진행형'이라는 의미로 "Ing야"와 같은 용어를 사용하는 것을 볼 수 있습니다. 이때 "Ing야"라는 의미는 '진행 중이야."를 의미하는 것을 볼 수 있습니다. 물론 틀린 말은 아니지만 동사에 'ing'가 붙는다고 반드시 '진행형'을 나타내는 것이 아닙니다. 그보다는 동명사의 형태로 쓰이는 것이 더 많기 때문에 'Ing'를 반드시 진행형과 연관시키는 것은 무리가 있습니다.

 진행형과 같은 형태로 사용되는 경우를 문법 용어에서는 현재분사라고 표현합니다. 현재분사의 형태 역시 동명사와 같이 '동사+ing'를 취하고 있습니다. 구별이 쉽지 않을 수 있지만, 현재분사는 최종적 기능이 형용사와 거의 같은 역할을 하는 것이고, 동명사는 명사의 역할을 한다는 점에서 차이를 보입니다.

2. 2. 현재분사=형용사

 현재분사가 형용사 역할을 한다는 것은 영어에서는 '형용사+명사'의 위치와 'Be동사+형용사'의 구조로 생각할 수 있습니다. 예를 들어 'a working mom'에서 보듯이 working(일하는)이라는 현재분사가 뒤에 오는 mom(엄마)라는 명사와 연결되어 설명되는 방식입니다. Be동사 + 형용사의 형태가 앞에서 말한 '진행형'입니다. 예를 들어 He is working에서 is(이다)라는 말이 뒤에 오는 현재분사 working(일하는)과 결합하여 진행의 의미를 갖게 됩니다. 이 문장에서 본다면 우리말로 옮기면서 진행의 의미를 나타내는 '중'이라는 표현을 붙여서 '일하는 중이다.'라는 표현이 되는 것입니다.

동사에 ing가 붙은 경우의 두 가지 문법적 기능

3. 동명사의 쓰임

 동사+ing가 명사 역할을 한다는 의미는 명사와 똑같은 기능을 하는 것을 의미합니다. 예를 들어 Studying is interesting과 같은 경우에 study(공부하다)+ing는 '공부하는 것'이라는 의미로 바뀝니다. 우리말의 명사형을 나타내는 '것'이라는 말을 붙여서 해석을 하게 됩니다. 우리말에서 명사형을 만드는 방법은 'ㅁ, 기, 것'과 같은 말을 붙이는 방법입니다. 영어의 ing에 해당하는 말로 '것, 기, ㅁ'과 같은 표현으로 해석하는 원리입니다. 동사였을 때에는 '다'로 끝나는 말이 이제는 '것, 기, ㅁ' 등으로 변환되는 것입니다. Studying is interesting에서 보면 "공부하는 것은 재미있다."라는 해석이 되는 것을 볼 수 있습니다.

 같은 studying이라는 단어도 "I like studying science(나는 과학 공부하기를 좋아한다)."와 같은 형태로 사용될 수 있습니다. Studying이라는 단어의 위치에 집중해서 본다면 이제는 동사 like 뒤에 오는 것을 볼 수 있습니다. 동명사이기 때문에 마찬가지로 '공부하는 것'으로 해석을 할 수 있습니다.

 Studying is interesting과 I like studying science. 에서 studying이라는 단어는 앞의 문장은 '공부하는 것은'으로 해석이 되고, 뒤의 문장은 '공부하는 것을'로 해석되는 것을 볼 수 있습니다. 앞의 문장에서는 '은'이 붙었고, 뒤의 문장에서는 '을'이 붙은 것을 볼 수 있습니다. '은'이나 '을'은 우리말 문법에서는 '조사'라고 표현합니다. 이렇게 덧붙여지는 말이 바로 문법에서는 '은, 는, 이, 가, 도'가 붙을 경우에 주어라고 하고, '을, 를'이 붙는 경우를 목적어라고 합니다. 주어나 목적어는 명사가 하는 역할이었고, 이제 그 역할을 동명사가 하는 것입니다.

반응형

관련글 더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