Good bye라는 인사말을 보면 Good morning, good afternoon, good night과 같은 계열로 good이 사용되었을 것이라는 생각을 할 수 있습니다. 이들 인사말을 보면 good이라는 단어에 시간을 의미하는 morning, afternoon, evening, night이 붙는 것을 보아 good bye 역시 같은 계통의 인사말로 생각하는 것이 당연할 것입니다. 인간이 언어 표현을 인지하는 자연스러운 흐름이기 때문입니다. 그렇다면 bye 역시 시간을 나타내는 단어로 연결되는 것이 자연스러운 추론의 과정입니다.
그러나 Good bye라는 인사말은 이와 다른 경로를 거친 것으로 위의 추론과는 다릅니다. Bye와 시간의 연관성을 찾을 수 없다는 것을 볼 수 있습니다. Bye라는 말에서 다른 기원을 찾게 되는 이유입니다. Bye가 시간 개념이 아니라면, 그것에 담긴 원래의 의미를 찾아볼 필요가 있습니다.
결론부터 이야기하면 "Good bye!"라는 인사말은 "God be with you(하나님이 당신과 함께 하기를, 신의 가호를!)"의 의미를 갖는 것으로 볼 수 있습니다. "God be with you"의 발음이 줄어서 "Good bye"라는 표현으로 굳어졌을 것으로 보는 것입니다. 세월이 흐르면서, 혹은 역사적 격변기를 거치면서 언어 표현이 바뀌는 경우가 있습니다. Good bye 역시 God이 위에서 보는 Good morning에서 보는 인사말과의 연관성과 발음의 유사성으로 'Good'이 그 세력을 얻은 것으로 볼 수 있습니다.
Good bye라는 인사말이 우리말로 표현되면서 '굿바이'로 표현되는 것을 볼 수 있습니다. '굳'이라는 표현을 사용하는 사람들은 아마도 good에서 g를 기역으로 oo를 '우'로 그리고 d를 디귿으로 표현하는 원리를 생각할 것입니다. 위의 논리 전개에는 오류가 없고 소리 표기의 원리에도 타당합니다.
그런데 영어와 우리말의 근본적 표기 차이는 영어와 같이 알파벳을 사용하는 경우에는 글자를 음소에 맞춰 왼쪽에서 오른쪽으로 하나씩 나열하는 방법입니다. Good에서 보듯이 각각의 글자를 하나씩 왼쪽에서 오른쪽으로 나열해 나가는 것을 볼 수 있습니다. 반면에 우리글은 음절을 단위로 하여 초성, 중성, 종성을 하나의 묶음으로 표현하는 분절음 방식의 표기입니다. 즉 모음을 중심으로 하나의 글자를 완성하는 기본 단위를 가지고 있습니다. [ㄱ ㅜ ㄷ]으로 표현하는 것이 아니라 이들 음소를 하나로 모아서 표현하는 방법입니다.
또 다른 혼란은 현재의 외래어 표기법에서는 기역, 니은, 리을, 미음, 비읍, 시옷, 이응의 7개 만을 받침으로 표기하는 원칙을 유지하고 있습니다. 위의 받침 표기에서 보듯이 디귿을 받침으로 인정하지 않고 있습니다. 가로로 쭉 나열되어 있는 음소를 합쳐서 하나의 글자로 표기해야 하겠지만, 이때 받침에 표기가 안 되는 소리가 생겨납니다. 위의 원칙에서 디귿으로 표기하지 않기로 했으니 그나마 받침에서 가장 비슷한 소리라고 생각하는 시옷으로 바꾸는 것입니다. Get과 같이 티읕으로 소리 나는 t의 경우에도 티읕으로 표기할 수 없기 때문에 시옷으로 바꾸는 원리를 적용할 수밖에 없는 것입니다.
그 결과로 good에 해당하는 외래어 표기는 '굿'이 되고 shoot에 해당하는 표기는 '슛'이 되는 것입니다. '굿'을 받대로 알파벳으로 표기한다면 'goos'라고 될 수도 있고 '슛'은 'shoos'라고 생각할 수 있는 이유입니다.
영어의 알파벳의 표기 원리는 가로 쓰기의 원리입니다. 왼쪽에서 오른쪽으로 읽어가는 음소에 맞춰 소리를 내는 방식입니다. 이에 비해서 우리글은 음소를 각각 모아서 왼쪽 위에서 오른쪽으로 읽은 후 아래에 있는 받침과 결합하여 읽는 방식입니다. 받침으로 표기된 소리는 다시 뒤에 오는 소리가 모음일 경우에는 뒤의 모음과 결합하여 발음됩니다.
cm 단위, centimeter의 의미 : Meaning & Definition (0) | 2023.08.17 |
---|---|
웨이퍼 뜻, 웨이퍼와 웨하스, wafers발음 (0) | 2023.08.15 |
후르츠 영어로, fruits, 영어 f발음 (0) | 2023.08.15 |
동명사 Gerund의 의미와 기능 : 영어 문법 (0) | 2023.08.15 |
영어 서수, 1st, 2nd, 3rd, 4th, th발음 (0) | 2023.08.14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