상세 컨텐츠

본문 제목

영어 발음 Would you like~ ? 유듈라잌과 우즈유라이크, 고제윤 글자로

고제윤 글자로 영어 발음 이해하기

by 새한글(고제윤) 2025. 5. 2. 12:08

본문

반응형

1. 외국어 학습과 일본어 발음 원리

 Would you like ~?( 드시겠어요?)라는 문장을 학습하는 과정에서 일본어 발음 원리를 적용하는 경우가 있습니다. 예를 들어 'Would you like a sandwich?(샌드위치 드시겠어요?)'와 같은 표현이 그것입니다.

 

 오늘은 한국인의 외국어 학습에서 보이는 뿌리 깊은 일본어 방식의 발음 원리입니다.

 

1) would you~? 발음

 Would you를 발음 기호로 표현하면 [ㅜㄷㅠ]와 같이 표현할 수 있습니다. 훈민정음의 글자 원리를 적용하면 '욷유'와 같이 표현할 수 있습니다. 그런데 이 과정에서 일본어 방식의 발음 원리가 작용합니다. 그 원리는 다음과 같습니다.

(1) would를 '우드'처럼 두 개의 호흡으로 이해하는 것입니다. '욷'과 '우드'는 소리의 호흡에서는 차이가 있습니다. '욷'로 이해하는 것은 글자가 하나이므로 하나의 호흡입니다. 이에 비해서 '우드'에는 디귿을 받침이아니라 또 다른 하나의 소리 호흡으로 보는 것입니다. 훈민정음의 글자 원리는 하나의 글자에 하나의 호흡(음절)입니다.

(2) '우드'로 발음한 것을 다시 일본어의 발음 원리인 '구개음화'를 적용합니다. 디귿이나 티읕을 치읓으로 바꾸는 방식입니다. 원래의 소리를 변형하는 것입니다. 디귿을 지읒으로 바꾸면서 '우즈'발음이 됩니다.

일본어는 구개음화 원리로 영어 발음을 한다. 고제윤 글자로

 * 위의 표에서 볼 수 있듯이 일본인들의 외래어 표기나 외국어 발음은 구개음화를 적용하여 발음합니다. 디귿이 지읒으로 티읕을 치읓으로 바꾸어 발음하는 것을 볼 수 있습니다.

 

(3) 뒤의 you와 연결하여 '우즈유' 혹은  '우쥬'라는 발음으로 변경하여 발음합니다.

2. 훈민정음 원리로 영어 발음하기

 Would you like~?로 연결하는 발음에서는 다음고 같은 원리로 훈민정음을 활용한 "고제윤 글자"에서는 표기하는 원리를 제시하고 있습니다.

 Would you like~?

  우듈라잌?

 위의 글자 표기에서는 받침 글자 원리와 뒤의 단어와 연결되는 연음의 원리를 적용하여 표현한 것입니다. Would you like를 각각의 음소로 표현하면 [ㅜ ㄷ ㅠ ㄹ ㄹ ㅏ ㅣ ㅋ]입니다. 이 소리들이 하나로 연결되어 발음됩니다. 각각의 소리들을 훈민정음의 글자 원리로 표현하면 '우듈라잌'입니다. 물론 영어의 d소리는 엄밀하게는 목젖이 울리는 소리라는 특성이 있기 때문에 우리말 디귿과는 일치하지 않지만 그 외의 소리는 모두 일치합니다. Like의 'l'은 두 개의 리을 소리를 그대로 앞글자에서는 받침으로 뒤의 글자에서는 첫 소리에 배치하여 모든 소리를 담았습니다.

3. 다른 문장에도 확장하여 이해하기

 각각의 소리를 연결하여 발음하는 원리는 보통 연음으로 설명하고 있습니다. 뒤의 단어와 연결하여 발음한다는 원리입니다. 다른 사례로 "What do you want to do?(무엇을 하기를 원하세요?, 무슨 말을 하고 싶으신가요?)"등의 경우에도 '왙두유원트투두'와 같은 발음 대신에 각각의 음운 원리를 적용하여 '와러여워너루'와 같은 발음으로 표현할 수 있습니다. 훈민정음의 글자 원리는 다양한 소리를 모두 담아서 표현할 수 있습니다.

 What do you want to do?가 '와러여 워너루?'가 되는 원리

1) What do에서 t와 d는 같은 위치에서 발음됩니다. 같은 위치에서 발음하는 경우에 하나는 생략합니다. Whato처럼 발음하는 것입니다. 다시 영어의 음운 현상에서 t, d 소리는 모음과 모음 사이에서 '리을'소리로 변화합니다. 여기에 '와루'로 발음이 될 수 있고, 다시 'ㅜ'의 강한 발음 대신 'ㅓ'발음으로 변경되면 '와러'처럼 발음되는 것입니다.

 2) You의 경우도 강한 발음에서는 '유'이지만 약하게 발음하면 '여'와 같은 발음이 됩니다. 이 원리를 적용하면 '와러여'의 발음이 됩니다.

3) want처럼 n뒤에 t가 오는 경우 t는 거의 발음이 되지 않습니다. 당연히 wan to가 연결되고 다시 nt가 결합하므로 wano발음 혹은 'wanna'라고 표현하는 발음이 됩니다. to의 발음 역시 약하게 발음 되면서 '원트투'가 '워너'로 발음되는 것입니다.

4) 마지막으로 do의 발음 역시 모음과 모음 사이에 위치하므로 d가 리을 소리로 변경됩니다. '두' 대신에 '루'가 되는 것입니다.

 

 설명으로는 이렇게 복잡하고 다양한 원리가 들어 있지만 간단하게 '와러여워너루'로 글자로 표기하고 발음한다면 그대로 발음할 수 있을 것입니다.

 

 * 오늘은 일본인들의 구개음화 원리를 우리의 외국어 학습에 적용하는 원리를 살펴보았습니다.

 위의 내용과 관련된 영상은 아래의 동영상에서도 보실 수 있습니다.

https://www.youtube.com/watch?v=bT2gp5QQ1RE

 

 

 

 

반응형

관련글 더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