상세 컨텐츠

본문 제목

mother, father 일본어로 '마자, 화자' 발음하는 원리, 고제윤 글자로

고제윤 글자로 영어 발음 이해하기

by 새한글(고제윤) 2025. 5. 2. 16:32

본문

반응형

1. 일본인들의 영어 발음 원리

 1) 영어 th발음을 지읒으로 하는 원리

 영어 단어 mother, father, algorithm을 일본인들이 '마자, 화자, 아르고리즈무' 등으로 발음하는 것을 듣거나 보게되면 당황스럽게 생각할 것입니다. 엉터리 발음이라고 치부하거나, 왜 그래?, 설마? 등의 반응을 보일 수도 있습니다. 

 

 당황스러운 이 발음이 실제로는 굉장히 중요한 언어학의 원리를 담고 있습니다. 바로 일본어로는 표기하기 어려운 th발음이나 디귿 발음, 티읕 발음을 지읒이나, 치읓으로 대체하는 원리입니다.

 

 이쯤 들으면 제 블로그나 유튜브 "글퍼블릭"을 시청한 분이라면 아래 내용과 원리를. 바로 일본인들이 그토록 한국어에서 집요하게 심어놓은 언어학 이론 중 하나인 구개음화입니다.

 

 *제 블로그나 유튜브 "글퍼블릭"을 처음 방문하신 분들을 위한 구개음화 원리 설명입니다.

 

 2) 구개음화란?

 구개음화는 영어로는 palatalization입니다. 여기에서 palatal은 한국어의 지읒이나, 치읓을 의미합니다. '구개음'인 지읒이나 치읓으로 어떤 소리가 바뀌는 현상을 '구개음화'라는 한자어로 표현한 것입니다.

 굳이 한국어에서는 이 발음이 그렇게 중요한 발음은 아니지만 찾아내고 찾아내면, 굳이가 '구지', 해돋이가 '해도지', 같이가 '가치'로 발음하는 경우가 있습니다.  제가 한국어에서는 '굳이'라고 표현한 이유입니다.

 

3) 일본인들의 구개음화 적용 원리

 우리말에서는 굳이 찾아보고 찾아봐야 보이는, 그리고 글자 표기와는 다른 발음으로 존재하는 것이 구개음화라고 한다면, 일본어는 아예 소리 자체를 바꾸는 구개음화를 시켜버립니다. 무슨말인가 하면, 예를 들어 영어의 t(티읕)소리를 치읓 소리로 바꾸거나, 디귿 계열의 소리를 지읒으로 바꾸어 발음하는 것입니다.

구개음화와 일본어, 고제윤 글자로

 

2. 일본어에 없는 th발음

 일본어의 th발음은 일반적으로 this, that, mother, father, brother,....등의 발음에 해당하는 소리를 지읒으로 바꿉니다. 본 블로그의 다른 글에서 설명한 것처럼 algorithm을 한국인들 역시 '알고리즘'이라고 발음하는 원리도 일본인들의 발음 원리입니다. 

 mother의 발음이 '마자マザー ',father의 발음이 '화자ファーザー'처럼 바뀌는 경우에서 볼 수 있듯이 한국인들에게는 디귿에 가까운 소리를 일본인들은 지읒으로 바꾸어 발음하는 것입니다. 

 실로 엄청난 언어학 표기 원리를 적용하는 사례라고 할 것입니다. 물론 이해는 합니다. 일본어의 글자 표기 원리로는 '어' 발음이나 'th'발음을 표기하는 원리가 없기 때문에 궁여지책으로 만든 원리입니다.

 

father 발음에서 구개음화 제거하기, 고제윤 글자로

 위의 표에서 볼 수 있듯이 일본어 발음에서는 '화자(하자)ファーザー' 발음에서 볼 수 있듯이 영어의 f소리를 히읗으로 바꾸고, th발음을 '지읒'계열의 소리로 바꾼 것을 볼 수 있습니다. 또한 '어' 발음이 없는 일본어의 특성으로 인해서 '어' 대신에 '아' 발음으로 바꾸어 발음합니다. 이 원리를 적용하면 father의 일본어 발음은 '화자(하자)ファーザー'가 됩니다.

 

 곁들여서 일본어 표기에서 적용하는 f를 히읗으로 바꾸는 원리는 현재의 우리말에서도 후레쉬(fresh), 환타(Fanta), 호일(foil), 화일(file),....등의 발음에서 볼 수 있습니다.

 Th발음을 지읒으로 발음하는 경향 역시 '알고리즘'과 '레자(leather)'의 발음에서 볼 수 있습니다. 

 일본어처럼 '어' 발음이 없어서 '아' 발음으로 하는 영어 단어는 '화이바(fiber),  웨하스(wafers), 센타(center), 파마(perm),....'등의 발음에서 볼 수 있습니다.

 

 * 참고로 훈민정을을 활용한 "고제윤 글자"에서 f소리는 우리말에 없는 소리이므로 피읖 아래에 작은 동그라미를 그려 넣은 표기를 사용하여 나타냈습니다. 또한 th발음 중에서 한국인들이 보통 '디귿'소리로 이해하는 father의 th발음 같은 경우에는 디귿 아래에 작은 동그라미를 그려 넣은 글자로 표기했습니다.

 

 

 * 일본어 방식의 소리 표기 원리를 벗어나 훈민정음의 원리를 활용한 "고제윤 글자"표기의 원리는 아래의 동영상에서도 보실 수 있습니다. 언어학 용어가 자주 등장하므로 어려울 수도 있습니다.

https://www.youtube.com/watch?v=TjF3kO1CGKQ

 

 

 

반응형

관련글 더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