영어에서 사용하는 algorithm은 9세기 무렵의 페르시아 수학자 Muhammad ibun Musa al- khwariami라는 사람에게서 시작된 말입니다. 이 수학자는 아라비아숫자 체계를 서양에 소개하였고, algebra(대수학)라는 용어 역시 그의 업적과 연관지어 등장한 것입니다. 그의 이름을 라틴어로 옮기면서 "Algoritmi( al- khwariami )라는 말이 등장하고, 이 말이 영어에 들어와서 지금의 영어 단어 algorithm이라는 말이 된 것입니다.
* 오늘은 영어 단어 algorithm의 일본어 발음과 한국어 발음의 원리입니다.
알파벳으로 표현한 algorithm의 발음은 영어 일본어 한국어가 각각 다음의 원리로 발음하고 있습니다.
1) 영어 발음 algorithm
Algorithm의 영어 발음은 [ ˈælɡərɪðəm ]입니다. 이들 각각의 소리를 훈민정음을 활용한 "고제윤 글자"로 표기하면 위 표의 맨 오른쪽 발음과 같습니다. 각각의 소리 원리는 다음과 같습니다.
æ - 모음 'ㅐ'로 표현하였습니다.
l - 두 개의 '리을'로 표현하였습니다. 영어의 'l'발음은 두 개의 리을(쌍리을) 소리에 해당합니다.
ɡ - 자음 '기역(ㄱ)'으로 나타냈습니다. 물론 영어의 g소리는 한국어의 기역과는 다른 목젖이 울리는 소리입니다.
ə - 모음 'ㅓ'로 표현하였습니다.
r - 자음과 모음이 결합한 '루'로 표현하였습니다. 위에서 말한 'l'과는 다른 소리입니다.
ɪ - 모음 'ㅣ'로 표현하였습니다.
ð - 이 발음은 현재의 한글에는 없는 소리입니다. 양니로 혀를 살짝 물고 계속해서 마찰을 일으키는 소리이며, 우리말 디귿과 비슷하다고 생각하는 경향이 있습니다. 이러한 소리 의식을 반영하여 훈민정음을 활용한 "고제윤 글자"에서는 디귿 아래에 작은 동그라미를 그려 넣은 글자로 나타냈습니다.
ə - 모음 'ㅓ'로 나타냈습니다.
m - 자음 '미음(ㅁ)'입니다.
각각의 소리를 이처럼 대응하는 소리 글자로 나타낸 후 훈민정음의 글자 원리로 표현하면 위의 오른쪽 글자가 됩니다.
2) 일본어발음 algorithm
æ - 일본어에서는 'ㅐ' 발음이 없기 때문에 '아'발음을 하는 것을 볼 수 있습니다.
l - 훈민정음과 같은 받침 글자와 두 개의 자음을 표기하는 방법이 없기 때문에 '르(루)ル'로 표현하는 것을 볼 수 있습니다.
ɡə - 일본어에서는 'ㅓ'발음이 없기 때문에 'ㅓ' 대신 'ㅗ' 발음을 하는 것을 볼 수 있습니다. '고(ゴ)'발음입니다.
rɪ - 일본어에서는 한국어와 비슷하게 '리( リ'로 표현하는 것을 볼 수 있습니다.
ðə - 일본어에서는 구개음화가 일어나면서 한국인들이 '디귿' 계열의 소리로 생각하는 이 발음을 '즈(주) ズ' 발음을 하는 것을 볼 수 있습니다.
m- 일본어에서는 훈민정음의 글자 표기와는 다르게 받침 원리가 없기 때문에 독립된 자음과 모음을 합친 '무(ム)'발음을 하는 것을 볼 수 있습니다.
* 한국어 발음에서도 일본어 발음의 구개음화 원리, 즉 디귿을 지읒으로 발음하는 원리를 적용하는 것을 볼 수 있습니다. 일본인들은 한국어에서 디귿 소리로 인식하는 th발음을 구개음화하여 '지읒'계열의 소리로 나타냅니다. 이러한 소리는 'mother - 마자'. ' father- 화자' 등의 발음과 우리말에서도 사용하는 leather-레자 등의 발음에서도 볼 수 있습니다.
* 아래의 훈민정음을 활용한 "고제윤 글자"에서도 일본인들의 외국어와 외래어 표기 관련 내용을 보실 수 있습니다.
https://www.youtube.com/watch?v=5fNijNepN9M
아젠다 뜻, 어젠더 뜻, '어'가 없는 일본어 원리 고제윤 글자로 (0) | 2025.05.04 |
---|---|
Let's go '레츠고'발음 하는 원리, Let's go 고제윤 글자로 (0) | 2025.05.04 |
QR 코드 뜻, Quick Response, 반응 영어로, 고제윤 글자로 (0) | 2025.05.02 |
mother, father 일본어로 '마자, 화자' 발음하는 원리, 고제윤 글자로 (0) | 2025.05.02 |
영어 발음 Would you like~ ? 유듈라잌과 우즈유라이크, 고제윤 글자로 (0) | 2025.05.02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