상세 컨텐츠

본문 제목

The origin of the word banana : 바나나의 어원과 발음

기호 언어학

by 새한글(고제윤) 2023. 8. 17. 15:29

본문

반응형
 목차
1. Banana의 어원 : Origin
2. Banana의 발음
3.모음 a 발음에 대하여

1. Banana의 어원 : Origin

 Banana라는 말은 전 세계적으로 사용되는 표현이며, 전 지구인의 사랑을 받는 과일입니다. 열대작물이면서 지금은 우리나라에서도 쉽게 먹을 수 있는 과일이 되었습니다. 불과 수 십 년 전에는 banana하나가 지금의 바나나 10개 정도의 가격에 거래되기도 했습니다.

 대부분의 과일 이름이 원산지의 이름을 그대로 가지고 오는 경우가 많이 있지만, 현재 banana라는 말의 유래로 가장 강력하게 거론되는 것이 페르시아어 نان [banān]이라고 할 수 있습니다. 발음으로 보더라도 유사성을 지니고 있습니다. 또한 페르시아어에서 그 의미가 손가락(finger)이라는 점에서 바나나 열매가 열려있는 모양과 비슷하다는 것을 볼 수 있습니다. 형태의 유사성과 발음의 유사성으로 페르시아어에서 기원했을 것이라고 볼 수 있습니다.

 Banana를 세는 단위에서 사용되는 hand라는 표현 역시 손가락과 연관 지어 생각해 볼 수 있습니다. 특정한 단위를 세는 기준이 형태를 기반으로 하고 있다는 점에서 banana를 세는 영어 단위 'a hand of banana'와 같은 표현은 쉽게 받아들일 수 있는 용어라고 할 수 있습니다.

 영어의 수량을 세는 단위에서 볼 수 있듯이, 담기는 모양이나 형태를 바탕으로 하고 있습니다. 예를 들어 a piece of paper, a cup of coffee 등의 표현에서 볼 수 있듯이, 사물을 세는 단위는 일정한 형태를 바탕으로 합니다. 그런 면에서 바나나를 세는 단위로 'a hand of banana'는 타당해 보입니다. Banana의 어원이 사람의 '손'과 연관지은 이름이라는 의미와 관련된 것입니다.

2. Banana의 발음

 페르시아어에서 기원한 발음이라고 하더라도, 각 나라별로 다르게 발음되는 것을 볼 수 있습니다. 자신의 언어를 바탕으로 외래어를 받아들이는 특성을 반영하는 것이라고 할 수 있습니다. Banana의 영어 발음은 '버 내 너'로 표현할 수 있습니다. 물론 우리나라에서는 글자를 바탕으로 '바나나'라고 읽고 소리 내는 것을 볼 수 있습니다.

 우리말에서 '바나나'라고 소리를 내는 것은 a를 '아'로 읽는 것이라고 볼 수 있지만, 외래어의 수용 과정에서의 특성을 볼 때 '어' 발음을 사용하지 않는 경향을 보이고 있습니다. 이 현상은 특히 일본어 방식의 외래어 수용에서 두드러진 특성을 보이고 있습니다. 영어로 '어' 발음이 될 경우에 일본어의 기본 모음인 '아, 에, 이, 오, 우'의 다섯 개의 모음에 없습니다. 따라서 '어' 발음이 '아'로 발음하는 원리가 작용합니다.

 영어 발음에서 Center, perm, jumper, keeper(홈 키파)에서 볼 수 있듯이, '어' 발음을 '아'로 발음하는 현상을 보입니다. 언뜻 banana에서는 'a'니까 '아'로 읽었다고 볼 수 있지만, 위의 다른 글자들에서 볼 수 있듯이, '어' 발음의 위치에서 '아'로 발음되는 현상을 볼 때 반드시 그렇다고 볼 수는 없습니다. 또한 우리의 외래어 표기법에서는 '발음'을 기준으로 하고 있다는 점에서 글자에 맞춰 읽었다고만 생각하기는 어렵습니다.

banana의 발음 표기의 원리

3. 모음 a 발음에 대하여

 영어의 글자에서 보면 모음을 나타내는 글자는 a, e, i, o, u가 기본입니다. 이들 모음 글자가 우리말에서 보듯이 '아, 에, 이, 오, 우'의 다섯 개의 모음으로만 표현되는 것은 아닙니다. A라고 표현되어 있다고 하더라도, 우리말의 '어', '아', '에이' 등으로 다양하게 소리가 납니다. 예를 들어 bake에서 a는 '에이'로 소리가 나고, banana에서 보듯이 a가 '어'로도 소리가 나며 또한 '애'로도 소리가 나는 것을 볼 수 있습니다.

 Banana의 경우에서 볼 수 있듯이 같은 글자로 표현되더라도 그 소리는 각각 다르게 표현될 수 있습니다. 같은 글자가 다르게 표현되는 대표적인 경우가 'Great Vowel shift"라고 표현되는 '모음에서 대 변환'이 일어나면서 더 심화되었던 것을 볼 수 있습니다.

반응형

관련글 더보기